게잡이 공선
2351호 | 2014년 12월 10일 발행
일본 프롤레타리아문학의 정수
세계인권선언일 특집 3. 황봉모가 옮긴 고바야시 다키지(小林多喜二)의 ≪게잡이 공선(蟹工船)≫
눈 돌릴 수 없는 현실
과로와 영양실조, 그리고 폭력이 뱃사람들에게 쏟아진다.
자본에 항거하지만 기다리는 것은 제국 군대의 총검이다.
몸밖에 없는 노동자의 마지막 선택은?
다시 한 번 일어서는 것뿐이다.
“게잡이 공선은 ‘공선(공장선)’이고, ‘항선’이 아니다. 그러므로 항해법은 적용되지 않았다. 20년 동안이나 매어 놓은 채로 있어, 침몰시키는 것밖에 방법이 없는 비틀거리는 ‘매독 환자’와 같은 배가, 부끄러운 기색도 없이 겉에만 화장을 짙게 하고 하코다테에 돌아왔다. 러일전쟁에서 ‘명예롭게도’ 절름발이가 되어 물고기 창자처럼 방치된 병원선과 운송선이, 유령보다도 죽음이 임박해 보이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 조금만 증기의 압력을 세게 하면 파이프가 터져 뿜어 나왔다. 러시아 감시선에 쫓겨 스피드를 올리면(그런 경우는 몇 번이나 있었다), 배의 모든 부분이 우지직 소리가 나면서 당장이라도 하나하나가 분해되어 풀려 버릴 것 같았다. 중풍 환자처럼 전신을 떨었다.”
≪게잡이 공선≫, 고바야시 다키지 지음, 황봉모 옮김, 52~53쪽
게잡이 공선에는 누가 타는가?
가난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전직 농민, 어부, 광부였다. 그들과 함께 아사카와가 탔다.
아사카와는 누구인가?
감독이다. 돈을 위해서라면 사람 죽는 것쯤은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배에서 사람이 죽는가?
과로, 영양실조, 아사카와의 폭력 때문이다. 노동자가 병으로 쓰러져도 일터로 내몰린다.
노동자들은 왜 당하고만 있는가?
부당함을 알면서도 일본 제국을 위한다는 말에 설득되어 분을 삭인다. 하지만 사람이 계속 죽어 나가자 무언가 이상하다는 것을 느낀다.
이상한 느낌, 그다음은 무엇인가?
야마다가 각기병으로 숨지자 더는 참지 못하고 폭발한다. 노동자들은 노동 환경 개선을 요구하며 태업과 파업에 들어간다.
아사카와 감독은 어떻게 대응하는가?
노동자를 자신의 힘으로 제지할 수 없다고 여기고 일본 제국 군함을 부른다. 노동자들은 군인들에 의해 순식간에 진압된다. 노동자들은 일본 군대가 자신들을 도울지 모른다고 생각했다. 물론 착각이었다.
여기가 게잡이 공선 이야기의 끝인가?
아니다. 노동자들은 그대로 있다가는 ‘살해’되리라는 것을 깨닫는다. 죽음을 각오하고 다시 한 번 궐기한다.
이 작품의 주인공이 누구인가?
주인공이 없다. 게잡이 공선에서 착취와 학대를 당하는 노동자들의 모습이 집단으로 그려진 점이 이 작품의 특징이다.
노동자의 모습은 어떤 것인가?
굴종밖에 몰랐던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힘에 눈을 뜨고 자신들의 손으로 자본가의 착취에 대항한다. 군대에 의해 일단 진압되지만 다시 한 번 일어서는 모습에서 제국주의적인 자본주의에 대항하는 노동자들의 정신을 만날 수 있다.
일본 근대문학사에서 이 작품의 위치는?
고바야시 다키지의 대표작이다. 일본 프롤레타리아문학계뿐만 아니라 일본 근대문학사에서 획기적인 작품이다.
이 작품의 획기성은 어디서 찾을 수 있는가?
일본 프롤레타리아문학을 사상의 영역으로까지 넓혀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이 작품에서는 노동자의 구체적인 행동이 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묘사된다. 일본 프롤레타리아문학운동이 이 작품을 계기로 앙양기를 맞는다.
실제로 게잡이 공선이 있었나?
그렇다. 1926년 홋카이도(北海道)의 게잡이 공선에서 있었던 사건이 이 작품의 소재다. 게잡이 공선은 조난 사건과 어부 학대 등으로 커다란 사회문제를 일으켰다. 다키지는 4년에 걸쳐 게잡이 공선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북양어업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통해 작품을 완성했다.
고바야시 다키지는 누구인가?
일본의 대표적인 프롤레타리아문학 작가다. 그는 언제나 큰 사회문제를 작품으로 쓰려 했다. 중요한 것은 ‘현실’이었다. 자신의 눈앞에 펼쳐진 비참한 사회의 현실, 그는 항상 현실 문제를 고민했다.
당신은 누구인가?
황봉모다. 한국외대에서 일본 문학을 가르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