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백 천줄읽기
2414호 | 2015년 1월 22일 발행
유일한 인간의 고백
서익원이 옮긴 장 자크 루소(Jean Jacques Rousseau)의 ≪고백(Les Confessions) 천줄읽기≫
루소, 낭만주의 등장
나는 매일 닳아 사라진다.
어디로 사라지는 것일까?
이성은 모른다.
감성이 대답한다.
사회에 속박되고 교육받고 타인을 의식하는 한 우리는 우리를 찾을 수 없다.
“나는 전에 유례(類例)가 없었던 계획, 또 앞으로 실행에 옮기려는 모방자가 없을 그런 계획을 세우고 있다. 내 동포들에게 한 인간을 본성의 참다운 모습 그대로 보여 주고 싶은 것이다. 그리고 그 인간이 바로 나일 것이다.”
≪고백 천줄읽기≫, 장 자크 루소 지음, 서익원 옮김, 22쪽
루소는 뭘 보여 주겠다는 것인가?
“지금 존재하고 있고 또 앞으로도 존재할 수 있을 유일한 인간상”을 보여 주겠다고 한다. 자신의 삶을 밝히고 자신의 마음을 드러내겠다는 것이다.
왜 고백이 필요한가?
타인들이 자신에 대해 갖고 있는 잘못된 이미지에 종지부를 찍기 위해, 그리고 가능한 한 친절하게 총체적으로 그들에게 자신을 알리기 위해서다.
누구에게 말하는가?
볼테르, 루소, 디드로 등 18세기 ‘철학자들’이다.
철학자들을 지목한 이유는 뭔가?
‘철학자들’의 배반을 겪었기 때문이다. 그 이후 그는 ‘철학’을 공식적으로 버린다. 1758년 발간된 ≪달랑베르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반(反) 철학을 표명했다. 이 책에서 옛 친구들인 ‘철학자들’이 의심스러운 도덕성만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며, 철학에 항거한다.
배반은 어디서 시작되었나?
시작은 정신과 지식의 진보, 그리고 감수성에 대한 해석의 차이였다.
루소와 ‘철학자들’의 차이는 뭔가?
볼테르와 백과전서파는 학문, 예술 및 기술의 발달이 인류의 행복에 기여한다고, 사회성은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루소는 ≪학문예술론≫에서 문명과 진보에서 비롯한 잘못된 결과를 비난하고 ≪인간 불평등 기원론≫에서 인간의 불평등과 불의를 사회생활에서 기인하는 죄악으로 파악한다.
감수성 해석의 차이는 뭔가?
백과전서파가 활동하던 시기 감수성은 그다지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다. 1761년 루소의 서간체 소설 ≪신 엘로이즈≫와 더불어 상황이 역전된다. 이 소설은 정열에 불타는 사랑과 그 사랑의 극복, 참된 행복에 대한 열망, 고독과 몽상, 미덕에 대한 사랑, 현실 사회에 대한 혐오, 이상적인 사회, 바람직한 교육 등을 그렸다.
어디까지 갔는가?
결정적인 결별은 디드로가 루소를 공격하면서부터다. 1756년 말 디드로가 루소에게 ≪사생아≫를 헌정했다. 루소는 이 책에서 “악인만이 홀로 있다”라는 문장에 분개한다. 자신을 겨냥했음에 틀림없다고 느낀 탓이다. 이에 대해 루소와 디드로는 서로를 혹독하게 비난한다. 적의와 대립은 점증한다.
그들 대립의 맥락은 무엇인가?
18세기 초는 철학적 합리주의의 영향 아래 있었지만, 점차 감수성과 서정성이 전면에 부상한다. 그중 ≪신 엘로이즈≫는 유례없는 성공을 거둔다. 낭만주의의 싹이 나타난 것이다. 볼테르와 더불어 한 시대가 끝나고, 루소와 더불어 새 시대가 시작되었다.
≪고백≫은 어떤 의미가 있는 책인가?
자아 상실이라는 현대인의 문제가 나타난다. 루소는 자아 상실의 원인을 교육 방식, 사회생활의 속박, 타인의 시선에서 찾는다. 대답은 잃어 가는 자신의 본모습을 찾는 것이다. 이 작품은 이런 문제에 대한 한 인간의 성실한 질문과 대답이다.
어떤 질문인가?
어떻게 억누르지 않고 교육하는가? 어떻게 자연에 어긋나지 않게 교육하는가? 어떻게 현실 경험과 책에서 얻은 지식을 양립시키는가? 어떻게 개인이 자신에 대해 갖는 이미지와 타인들이 그에 대해서 갖는 이미지를 일치시킬 것인가? 어떻게 타인과 진정한 관계를 세울 것인가? 어떻게 사회를 개인이 억압받는 장소가 아니라 자아실현의 장소로 만들 것인가?
≪고백≫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총 12권이다. 1권부터 6권까지는 유년기와 형성기를, 7권부터 11권까지는 성공의 시기를, 12권은 박해의 시기를 묘사한다.
얼마나 뽑아 옮겼나?
원전을 약 20% 발췌해 번역했다. 내용과 내용을 이어 주기 위해 생략한 내용은 요약해 적었다.
당신은 누구인가?
서익원이다. 가천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