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언, 이 땅의 모든 말
학문적 의미에서 ‘방언’은 ‘이 땅의 모든 말’이 되지만 일상적 용법에서 ‘방언’의 개념은 이와 사뭇 다르다. 보통 사람들에게는 ‘방언’보다 ‘사투리’가 더 익숙하고 어떤 사람은 ‘시골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방언의 개념’, ≪방언, 이 땅의 모든 말≫, 6쪽.
일상에서 방언은 어떤 의미인가?
표준어의 상대 개념이다.
표준어는 뭔가?
언어는 지역이나 사회 변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정해진 것이 표준어다.
어떻게 정하나?
대개는 한 나라의 수도를 비롯한 정치, 문화의 중심지에서 쓰이는 말이 기준이 된다. 우리나라는 현대 서울말을 바탕으로 제정되었다. 서울 이외의 지방에서 쓰는 말을 사투리, 시골말이라고 부르는 이유기도 하다.
왜 그것을 사투리, 시골말이라고 부르나?
다분히 비하적 뜻을 품고 있다. 비규범적이고, 덜 교육 받은 사람들의 말을 의미한다.
사투리, 시골말의 대안은 뭔가?
학술 연구에서 주로 쓰는 말이기는 하지만 ‘지역어’란 용어가 새롭게 만들어졌다.
지역어가 뭔가?
특정 지역에서 쓰고 있는 말이다. 지역에는 선호, 비하의 의미가 담겨 있지 않다. 어떤 지역에서 쓰는 말이든 대등한 관계가 설정될 수 있다.
지역어 관점에서 방언을 정의하면?
서울말, 시골말의 구분이 사라진다. 서울말은 서울 지역어, 경상도말은 경상도 지역어가 된다. 모든 지역의 말을 아우를 수 있게 되어 ‘이 땅의 모든 말’이란 의미를 제대로 반영한다.
방언을 ‘이 땅의 모든 말’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뭔가?
한국어가 언어의 하나이듯 방언도 한국어의 하나다. 한국어는 개개의 방언이 모여 이뤄진 언어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지역방언은 어떻게 구분하는가?
남북 방향을 축으로 북부·중부·남부로, 동서를 축으로 동부와 서부 방언으로 나눈다. 여기에 제주를 더해 중부 방언, 동남 방언, 서남 방언, 서북 방언, 동북 방언, 제주 방언의 여섯 개 대방언으로 나눈다.
이 책, ≪방언, 이 땅의 모든 말≫은 무엇을 다루는가?
방언의 참모습을 제시한다. 방언의 개념과 가치, 우리나라 지역방언을 소개하고 있다.
당신은 누구인가?
한성우다. 인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다.
언어, 역사, 법제를 아우르는 이해총서 4차분 20종
광고 언어_김정우
기만적인 표시 광고_조재영
러시아 언론 법제_선봉희
문자의 발달_김하수·연규동
미디어렙_김재철
방언, 이 땅의 모든 말_한성우
사전과 정보란 무엇인가_안의정
소외계층과 미디어 정책_유승관
스토리 아키텍처_서상희
슬로건, 짧은 카피 긴 감동_류진한
언어와 권력_송영빈
오스트레일리아의 TV 방송_곽기성
원소스멀티유스와 저작권 침해_최승재
음악저작권 침해_최승재
천관우의 언론사상_조맹기
출판기획물의 세계사 2_부길만
포털을 바라보는 리걸 프레임: 10대 판결_김윤명·이민영
한국 광고의 역사_신인섭·서범석
한국 방송과 규제 법령_조맹기
한국 인터넷 표현 자유의 현주소, 판례 10선_황성기
2807호 | 2015년 11월 27일 발행
이 땅의 모든 말
한성우가 쓴 ≪방언, 이 땅의 모든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