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십엇소
보고십엇소
티브이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 여주인공의 애틋한 인사다. 그는 총을 든 의병이자 ‘러브’에 빠진 애기씨다. 중국 우국시인 육유도 나라를 걱정하면서 남녀의 정을 노래했고, 제주 선비 장한철은 표류하는 절박한 상황에서도 꿈속 여인과의 하룻밤 사랑을 이야기한다. 우주의 섭리도 사랑이 없다면 무슨 의미가 있을까.
![]() 최일남은 구분과 구획에 주목하고 단절의 극복을 고민한 작가다. 그의 단편 <서울 사람들>, <타령 다섯 마당>, <흐르는 북>, <꿈길과 말길>을 엮었다. 20여 년간 언론인으로 지내며 관찰한 동시대인의 삶을 핍진하게 그렸다. 남과 북, 중심부와 그에 속하지 못한 주변부로 나뉜 이 땅에서 살아가는 인간 군상을 엿볼 수 있다. 최일남 지음, 손보미 엮음 |
![]() 옛 선비들의 교제는 어떠했을까? 담헌 홍대용이 사신단을 따라 북경에 갔다가 사귄 중국 학자들에게 보낸 편지를 모았다. 당시 학자들의 관심사, 학문에 대한 자세는 물론, 선비들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벗이란 어떤 것인가도 살필 수 있다. 홍대용 지음, 박상수 옮김 |
![]() 제주 선비 장한철이 과거를 보러 한양으로 향하다 풍랑을 만나 표류한 기록이다. 로빈슨 크루소가 무색할 정도로 파란만장한 사연이다. 극한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다양한 감정들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국내 처음으로 국립제주박물관에 있는 장한철의 필사본을 직접 촬영하고, 이를 저본으로 삼아 그 정확성과 생생함을 더했다. 장한철 지음, 김지홍 옮김 |
![]() 소식, 황정견과 더불어 송대 문학을 대표하는 육유의 사선이다. 그는 제사상에서라도 조국 통일의 소식을 듣기를 바랐던 애국자였으며, 헤어진 첫 부인을 평생 잊지 못한 다정남이었으며, 1만 수의 작품을 남긴 중국 최다작 문인이었다. 애국지정이 가득한 우국사, 산수풍월을 노래한 한적사, 남녀의 깊은 정을 노래한 연정사를 고루 맛볼 수 있다. 육유 지음, 이치수 옮김 |
![]() 사카구치 안고는 다자이 오사무와 함께 ‘무뢰파’로 불린다. 타락을 통해 진정한 구원을 찾을 수 있다는 타락론으로 전후 좌절에 빠진 젊은이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안고의 출세작이자 대표작인 <백치>부터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파란 도깨비의 훈도시를 빠는 여자>까지, 인간의 본질을 파헤치는 대표작 다섯 편을 골라 엮었다. 사카구치 안고 지음, 유은경 옮김 |
![]() 서양 과학을 모르던 시절, 우리 조상들은 우주를 어떻게 생각했을까? 조선 시대 성리학자인 장현광은 우주가 ‘이(理)’의 원리에 따라, ‘기(氣)’로 구성되었다고 보았다. 서구 사상이 들어오기 전 순수한 유학 사상을 바탕으로 17세기 조선 지식인이 생각한 우주 구조론과 생성론, 그리고 그 우주 안에서 인간이 행해야 할 도리를 밝히고 있다. 장현광 지음, 이기복 옮김 |
![]() 욘 포세는 최근 몇 년간 가장 유력한 노벨문학상 수상 후보로 거론되는 노르웨이 희곡 작가다. 가족 관계와 세대 간 관계를 통해 볼 수 있는 인생, 사랑과 죽음 같은 보편적 삶을 주로 다룬다. 그의 대표작 <어느 여름날>, <가을날의 꿈>, <겨울>을 수록했다. 서정적이고 시적인 대사가 매력적이다. 욘 포세 지음, 정민영 옮김 |
2971호 | 2018년 8월 14일 발행
보고십엇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