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을 불어넣는 예술과 기술
생명을 불어넣는 예술과 기술
애니메이션의 어원 ‘아니마(anima)’는 생명을 불어넣는다는 뜻이다. ‘움직이지 않는 것을 움직여 살아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한다.’ 잔상 효과와 환등 기술 등 태생부터 과학기술과 함께한 애니메이션은 CG, 3D의 발달로 더욱 생생히 살아 움직이고 있다. 착시에 기댄 애니메이션을 바로보기 위한 안내서들이다.
![]() 애니메이션은 예술과 기술의 융합 장르다. 그림 그리기는 예술 영역, 그림 잇기는 과학과 기술 영역에 속한다. 오늘날 애니메이션이 중흥할 수 있는 것은 다양한 기술 지원 덕분이다. 이 책은 애니메이션과 연계된 기술과 애니메이션 기술 담론을 소개한다. 김효용 지음 |
![]() 인 게임 애니메이션의 일차적 기능은 게임 메커니즘의 가시화다. 게임 장르가 다양해지고 사운드, 애니메이션, 이펙트 같은 요소에도 섬세함이 더해졌다. 이 책은 인 게임 애니메이션이 감각 확장을 위한 상호작용적 도구로 진화하며 콘텐츠가 확장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선영 지음 |
![]() 애니메이션의 매력은 어디서 비롯하는가? 이 책은 애니메이션의 예술적 가치와 미장센 요소를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이미지와 디자인, 캐릭터와 배경, 색채와 선, 이미지와 사운드, 타이밍, 특수효과에 주목해 애니메이션의 운동 이미지와 움직임이 어떤 방식으로 창조되는지 살펴본다. 이상원 지음 |
![]() 애니메이션의 원리와 미학, 문화 변동과 애니메이션 제작 양식 변화의 상관관계,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애니메이션으로의 변화 과정에서 제기된 미학적 이슈를 다룬다. 열 개의 관련 개념을 추출해 그 대표 작품 사례를 살펴보고 애니메이션 영상 미학의 주요 이슈를 정리한다. 류재형 지음 |
![]() 1987년 국산 만화영화가 처음 전파를 탔다. KBS의 <떠돌이 까치>와 MBC의 <달려라 호돌이>다. 시청자의 반응은 뜨거웠다. 하청 제작만 했던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계에 자체 제작 바람이 불었다. 그러나 그 바람은 곧 수그러들었다. 한국 TV 애니메이션의 역사를 간략히 살펴보고 재기 방안을 모색한다. 황선길 지음 |
![]() 오랜 시간 대중의 욕구를 반영한 결과물인 원질 신화는 문화 상품의 소스로 활용된다.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는 이 원형 구조를 활용해 그들의 목적에 부합하는 영웅을 완성한다. 영웅의 소명, 그가 추구하는 유토피아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변형된다. 대표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영웅 구축 메커니즘을 살펴본다. 이혜원 지음 |
2948호 | 2018년 3월 6일 발행
생명을 불어넣는 예술과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