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조직 이해
신병현이 옮긴 수잔 티체(Susanne Tietze)·로리 코헨(Laurie Cohen)·질 머슨(Gill Musson)의 <<언어와 조직 이해(Understanding Organizations Through Language)>>
언어는 조직의 그물코
우리 조직은 시계인가, 코끼리인가, 신경망인가, 느티나무인가, 패놉티콘인가? 무엇이든 될 수 있지만 은유의 단어에 따라 성격과 역할과 의미는 전혀 다르다. 조직은 언어로 엮이고 언어는 조직을 드러낸다.
언어를 통해 조직을 이해할 수 있는가?
있다. 조직이 사용하는 언어와 기호를 해석하고 분석하면 그 조직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조직이 언어와 어떤 관계가 있다는 말인가?
조직은 언어와 기호를 매개로 구성되는 문화 텍스트다. 조직을 이해하려면 텍스트를 조직하는 의미 형성 원리를 반드시 알아야 한다.
조직이 문화 텍스트라는 말은 비유인가, 사실인가?
사실이다. 사람은 기계나 동물처럼 행동하지 않는다. 의미 있는 문화 행동을 추구한다. 인간의 조직 행동은 특정한 문화 텍스트다. 구성원의 인식과 해석, 의미 부여와 상호작용은 사회 구성 과정의 산물이자 매개다.
조직을 이해하려면 기호학을 배워야 한다는 말인가?
우리는 문법이나 언어학을 의식하지 않은 채 말을 배우고 사고하고 얘기한다. 조직 이해에 필요한 언어와 기호에 대한 지식은 그렇게 심오한 것이 아니다. 기본 원리와 활용 방법을 이해하고 분석 기법을 익히는 것으로 충분하다.
정말 쉬운가? 이 책은 기호학과 조직을 어떻게 연결하는가?
쉽다. 조직 분석에 필요한 언어학과 기호학의 기초 개념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전달한다. 문화 텍스트 분석에 유용한 지침을 제공한다.
언어는 어떻게 의미를 만들어 내는가?
사물은 다른 사물과의 관계 속에서 의미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언어도 다른 기호나 언어와의 차이를 통해 특정한 의미를 획득한다.
기호학으로 조직을 분석하는 방법은 어떤 것인가?
두 가지다. 하나는 은유, 스토리, 담론에 초점을 둔 언어 텍스트 분석이다. 다른 하나는 사회기호론 관점이다. 언어를 넘어 조직의 모든 측면을 문화 텍스트로 가정하고 기호를 분석한다.
언어 텍스트 분석은 어떻게 진행되나?
조직을 기계, 유기체, 두뇌, 식물, 감옥으로 리프레임한다. 이렇게 해서 조직 은유에 대한 관심을 높인다. 은유는 두 개의 기호나 주제를 새롭게 연결시키는 수사법이다.
은유는 어떤 방법으로 의미를 만들어 내는가?
리프레이밍을 통해 혁신적이고 새로운 관점이 나타난다. 정서적 실재를 포착해 표현할 수도 있다. 특정 가치를 표현하거나 지지할 수도 있다. 세계를 보는 방식을 규범화하고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확립시키는 이데올로기 가치를 생성할 수도 있다.
‘시간은 돈이다’라는 은유는 우리 일상에 어떤 이데올로기 가치를 요구하는가?
우리가 지각하고 세상을 돌아다니고 다른 사람들과 관계 맺는 방식을 구조로 정착시킨다. 은유는 개념 체계를 형성해 삶의 실재를 규정하는 핵심이다.
조직에서 스토리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스토리는 문화의 핵심 요소이고 기본 형성 인자다. 문화 가치를 재현하고 반영한다. 행동과 도덕 판단의 본보기다. 스토리의 발화 과정에서 문화유산은 잠을 깨고 스스로 일어난다. 스토리텔러와 수용자는 특별한 전통과 맥락에 위치한다. 공적, 사적 영역에서 스토리는 광범하게 실행된다.
스토리와 스토리텔링이 조직에 기여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스토리는 암묵적 지식과 가치, 정보를 나른다. 조직 비전이나 가치를 전달하고 조직과 고객을 묶는 보이지 않는 접착제다. 스토리 고유 기능은 마케팅, 전략 분야로도 확대된다.
담론은 무엇으로 정의되는가?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 자신도 모르게 암묵적으로 동원하는 문화 자원이다. 어떤 문화 텍스트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암묵적으로 의존하는 보다 넓은 맥락과 연결된 문화 지식이다.
담론으로 조직을 이해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담론은 특정 주제에 관한 문화 지식과 규칙을 제공한다. 조직 구성원들이 복잡한 조직의 상황을 이해하고 대처하도록 처방을 제시한다. 어떤 담론이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치고 담론끼리는 어떻게 관계를 맺으며 그 관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하면 조직을 이해할 수 있다.
스토리와 담론의 차이는 무엇인가?
스토리는 줄거리를 지닌 연속적인 형식이다. 담론은 어떤 이슈를 어떤 식으로 이해하고 말해야 하는지 처방하거나 규정하는 문화적 자원 또는 지식이다.
스토리와 담론은 실제 이야기 속에서 어떻게 연결되나?
하나의 이야기 속에 여러 이슈가 있을 수 있다. 그 이슈를 말하기 위해 여러 담론이 동원될 수 있다. 담론은 스토리가 말하는 이슈가 어떤 식으로 다루어져야 하는지를 사전에 규정한다. 이때 스토리텔러가 그것을 아는지, 모르는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스토리와 담론은 조직 전략에서 각각 어떤 기능을 위해 채택되는가?
스토리는 설득력 있는 의미 전달과 공유를 위한 방법이다. 말하기 형식과 관련된 수사학 도구다. 담론은 조직의 다양한 직무 영역과 관련된 현실을 이해하는 지식이다. 구성원의 행동을 규제하기 위한 보다 거시적이고 심층적인 성격을 띠는 문화 자원이다.
사회기호론은 조직에서 무엇을 분석 대상으로 보는가?
조직 맥락에서 건물, 대지, 사무실, 장식, 복식의 시각 유무에 따른 중요성, 조직에 배태된 권력과 위세, 사회적 관계에 대한 기호학적 단서에 초점을 둔다.
드레스 코드로 읽을 수 있는 조직 의미는 무엇인가?
복식은 직업과 지위를 상징화한다. 영국 법정에서 가발과 법복은 판사의 권력과 권위의 상징이다. 미국과 독일 판사는 가발을 쓰지 않는다. 나라에 따라 가발이 권위의 상징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판사 가발이 일반 가발과 함께 놓이면, 법복과 의사봉 옆에 놓일 때와는 의미가 전혀 달라진다.
조직에서 성별 권력 관계는 언어를 통해 어떻게 반영되는가?
성별화된 사회, 문화, 정치적 맥락에서 여성성과 남성성이 각각 다른 언어로 재현된다. 성별 관계의 변화를 추구하는 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직에서 여성적 언어 사용 방식은 언제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가?
여성은 조직 내 대화, 토론, 회의에서 부가의문문을 사용하거나 자주 끼어들기를 당하거나 주저하는 말투를 사용한다. 성에 대한 고정관념이 일상적 실천에서 언어 정치의 기호나 문화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조직에서 리더십의 기능은 무엇인가?
효과적인 리더는 추종자를 위한 세계를 창조하고 발견한다. 조직의 의미 형성자다. 구성원을 위해 미래를 프레이밍하고 의미 있게 해 준다. 말로 사물을 존재하게 한다.
조직 언어에서 리더의 언어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리더십은 행위에 대한 설명과 의미 부여, 설득이 중요하다. 리더는 반복, 리듬, 두운법과 같은 설득 기법을 자주 구사한다.
리더의 언어에서 나타나는 현대의 특징은 무엇인가?
과거에는 주도적인 자질을 강조했다. 지금은 문화적 의미를 강조한다. 리더 중심의 개인주의적이고 본질주의적인 견해는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사이버 공간에서도 언어는 의미 형성의 핵심인가?
그렇다. 그 공간에서 존재하는 것은 모두 말이다. 언어나 기호를 통해 말하는 것은 곧 행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온라인 의미 형성의 특징은 무엇인가?
내가 누구고 누구와 상호작용하는지를 의미하기 위해 의존하는 많은 기호가 필요 없다.
온라인에서는 지금 어떤 기호가 만들어지고 있나?
성별 확인이나 감정 표현, 축약을 위한 기호 사용 방식이 발달한다. 이모티콘은 새로운 기호다. 새로운 언어로 발전할지 더 지켜봐야 한다.
언어와 조직연구에서 현재 이슈는 무엇인가?
정보 기술의 적용과 그것의 의미 해석이 조직화 과정에서 어떻게 결합될 것인가의 문제다. 조직을 문화 텍스트로 보는 해석적 접근, 조직의 물리적 측면에 대한 사회기호론적 연구에도 관심이 쏠린다.
당신은 누구인가?
신병현이다. 홍익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