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상원 작품집
2355호 | 2014년 12월 12일 발행
한국전쟁과 오상원의 미시세계
세계 인권의 날 특집 5. 유승환이 엮은 ≪오상원 작품집≫
죽음조차도 무의미한 세계
나는 인간 본연의 자세를 지키기 위해 전향을 거부한다.
사형대에 섰다.
총알이 몸을 지나갔다.
의식은 점점 어두워 간다.
그들은 돌아갔다.
난롯가에서 담배 연기가 부산하게 피어오른다.
그것이 전부였다.
“흰 눈이 회색빛으로 흩어지다가 점점 어두워간다. 모든 것은 끝난 것이다. 놈들은 멋쩍게 총을 다시 거꾸로 둘러메고 본부로 돌아들 갈 테지. 눈을 털고 추위에 손을 부벼가며 방 안으로 들어들 갈 것이다. 몇 분 후면 화로불에 손을 녹이며 아무 일도 없었던 듯 담배들을 말아 피고 기지게를 할 것이다. 누가 죽었건 지나가고 나면 아무것도 아니다. 모두 평범한 일인 것이다. 의식이 점점 그로부터 어두워갔다. 흰 눈 위다. 햇볕이 따스히 눈 위에 부서진다.”
<유예>, ≪오상원 작품집≫, 오상원 지음, 유승환 엮음, 55~56쪽
그의 의식이 점점 어두워 가는 이유가 뭔가?
이 소설의 마지막 장면이다. 전장에서 낙오된 국군 소대장이 인민군에게 포로로 잡히고, 사상 심문을 받은 끝에 공산주의로 전향하라는 권유를 뿌리친다. 스스로 총살을 선택한다.
이 장면으로 작가는 뭘 이야기하는 것인가?
독자는 전쟁 그 자체, 그리고 이념 갈등의 폭력을 느낄 것이다. 또 “인간이 태어난 본연의” 자세를 지키기 위해 스스로 죽음을 선택하는 주인공의 행동으로부터 비장과 숭고라는 단어를 떠올리지 않겠나?
비장이 전쟁의 현실에서 할 수 있는 것이 뭔가?
생각해 보면 인간다움을 지키기 위해 총살 직전에도 “정확한 걸음걸이”로 눈길을 걸어가는 주인공의 행동은 하나의 포즈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주어진 현재를 변화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죽음을 택하는 극단적인 실천마저도 전쟁하는 군인에게는 적들이 “아무 일도 없었던 듯 담배들을 말아 피고 기지게”를 펴는 일에 불과하다.
오상원에게 한국전쟁을 전후한 한국 사회는 어떤 것이었나?
이미 모든 것이 결정되었고 개인의 실천은 불가능한 폐쇄 정체된 결정론적 공간이다.
결정과 폐쇄를 해결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이 책에 실린 또 다른 단편 <균열>을 보라. 이 단편은 해방 직후 신의주에서 벌어진 정치적 암투를 다룬다.
<균열>은 어떤 이야기인가?
자립당 당수인 ‘그’는 소련의 프락치인 신진당에 의해 형을 잃고 우여곡절 끝에 신진당 당수를 암살한다. 문제는 ‘그’가 복수하는 과정에서 끝없이 “무의미함”을 느낀다는 점이다.
무의미의 뿌리에 무엇이 있는가?
해방 직후 신의주라는 공간을 지배하는 ‘쏘련’이 있다. “밀파된 자들을 아무리 죽여도” “다시 더 강력한 자를 밀파할” 수 있는 소련의 힘이 존재하는 한 신의주에서 공간 구성원 스스로 발전의 계기를 찾을 수는 없다.
신의주와 소련의 관계는 다른 작품에서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가?
남한과 미국의 관계로 바뀐다. 미국의 원조에 절대 의존하면서 지탱된 1950년대 한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이다.
한반도에서 1950년대는 어떤 시간인가?
반공 이데올로기 위에 선 국가 기구의 억압이 강화되면서 공산주의 같은 정치 이념을 진지하게 검토할 수 없는 시대였다. 정치 이념에 대한 오상원의 절대적인 불신, 결정론적 디스토피아에 대한 전망, 그 배후에는 침묵할 수밖에 없었던 당대 한국 사회의 현실이 놓여 있다.
개인은 이념과 헤어질 수 없는가?
오상원의 전망은 어둡다. 전후 사회 참전자의 삶을 다루는 그의 다른 단편에서 개인은 이념의 대립과 전쟁의 폭력을 학습한다. 그 결과 신체 변형을 겪게 된다. 전쟁에 의해 훈육된 삶의 방식은 신체를 통해 각인된다. 벗어날 수 없는 어떤 것이 된다.
오상원이 모색하는 개인 행동의 제일 원리는 무엇인가?
개인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수행하면서 느끼는 쾌락이다. 여기서 출발해 자신의 실천을 재조직하는 것이 오상원이 생각하는 주체의 훼손된 자율성을 회복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이것이 개인 행동의 장기 전략으로 가능한 것인가?
그렇지 않다. 오상원의 행동 논리는 극도로 침체된 1950년대 사회에서 개인의 실천 가능성을 복원하기 위한 절망적인 노력이다.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행동의 결과를 통제하기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현실적 변혁을 불러오는 데는 결정적인 한계가 있다.
작가 오상원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그의 소설이 모색한 실천 원리가 분명한 한계를 가졌다는 점, 그가 자신의 협소한 세계에 머문 채 7년 정도의 활동 이후 문단에서 사라졌다는 점을 고려하면 오상원을 한국 문학사의 대표 작가로 자리매김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그가 전후 한국 사회의 문제점을 가장 미시적으로 관찰한 작가 중 하나라는 점은 확실하다.
2014년에 바라보는 오상원의 의미는 무엇인가?
폐색된 사회 속에서 쾌락에 기초한 새로운 행동의 원리를 창출하려고 했던 오상원의 절망적인 노력과 그러한 노력 속에서 나타나는 한계는, 고도화되고 복잡화된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정치적, 윤리적 실천의 가능성을 찾지 못한 채 쾌락이라는 울타리 속에 갇혀 사는 지금 우리 사회의 삶의 양식을 바라보는 데 유의미한 유비를 제공한다.
당신은 누구인가?
유승환이다. 문학평론가다. ≪오상원 작품집≫을 엮고 해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