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버 트위스트 천줄읽기
이선주가 골라 옮긴 찰스 디킨스(Charles Dickens)의 ≪올리버 트위스트(Oliver Twist)≫
천천히 죽든지 급히 죽든지
자본주의가 영국 사회에 만연하면서 공동체 사회는 계급 사회로 변한다. 가난한 사람을 위한 구빈원의 운영 원칙도 바뀐다. 가난은 게으름의 결과라는 주장은 무산자의 즉각적인 또는 점진적인 죽음을 의미했다. 그의 부음을 접한 노동자들이 “우리의 친구가 죽었다”고 외친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이 이사 양반들은 매우 현명하고 심오하고 철학적인 분들로, 그들의 관심을 구빈원에 돌리자마자 보통 사람은 죽어도 알 수 없는 중대한 사실을 발견했다. 사실인즉 가난한 사람들은 구빈원에 있기를 좋아한다는 것이다! 가난한 계급에게 이곳은 공공 오락을 즐기는 단골 장소다. 공짜로 술 마시는 주막이요, 국가에서 내는 아침·점심·간식·저녁을 얻어먹는 곳이며, 1년 내내 놀고먹고 일하지 않아도 되는, 벽돌과 회반죽으로 지은 낙원인 것이다. “그렇군!” 이사회는 잔뜩 아는 척하며 말했다. “우리야말로 바로 이것을 시정할 위인들이다. 즉시 모든 것을 다 중지하자.” 그래서 이들은 규칙을 정했으니, 가난한 사람은 양자택일을 해야만 한다. 구빈원에 들어와 점차적으로 굶어 죽든지, 구빈원에 안 들어오고 바깥에서 즉각 굶어 죽든지, 둘 중의 하나를 택하도록 한 것이다. 이런 목적으로 하루 세끼 묽은 죽과 일주일에 두 번 양파 조금, 일요일엔 둥근 빵 반 덩어리를 지급하게 했다. 그들은 또한 가난한 부부를 이혼시키는 일을 친절하게도 떠맡아서 법원의 엄청난 소송비를 면하게 해 주었고, 종전처럼 남편이 가족을 부양하도록 강요하는 대신에 처자식을 남편에게서 떼어놓아 다시 독신자로 만들어주었던 것이다!
≪올리버 트위스트≫, 찰스 디킨스 지음, 이선주 옮김, 23~24쪽
당시 영국 구빈 제도 비판인가?
영국은 전통적으로 교구(敎區)의 빈민이나 취약 계층에게 책임감을 느끼는 온정주의 전통을 이어온 신분제 사회다. 지역 교구는 미혼모에게는 아이의 아버지를 찾아 양육 책임을 부과하고 지원하며 빈민에게는 생존 수준의 원조를 해 왔다. 한때는 빈민 가족 수에 따라 지원하기도 했다.
인용 구절은 전통 구빈 제도를 비판하지 않는가?
자본주의가 확산되면서 빈민에 대한 온정적 지원은 부담으로 느껴진다. 종래의 지원 방법은 빈민들의 의존심만 키워 사회악을 유발한다는 비판이 거세졌다.
과잉복지 주장은 구빈법을 어떻게 바꾸었나?
1834년 개정한 신구빈법은 구빈원에 수용된 빈민만을 교구가 지원한다. 자립 능력이 없는 사람은 구빈원에 들어가야만 교구의 원조를 받을 수 있게 됐다. 구빈원은 수용된 빈민들을 노동과 통제로 혹독하게 다루었다.
신구빈법에 대한 디킨스의 의견은 무엇이었나?
‘과잉복지’를 주장한 ‘높으신 분’들을 조롱한다. ≪올리버 트위스트≫를 신구빈법 비판 소설로 보는 평자도 있다. 고아인 올리버가 구빈원에서 겪는 굶주림, 빈민을 범죄자로 취급하는 사회 시선을 묘사하는 소설 내용이 이런 평가의 증거로 제시된다.
여론은 그의 의견을 지지하는가?
신구빈법은 가난한 사람을 ‘원조 받을 만한’ 빈민과 ‘원조 받을 자격이 없는’ 빈민으로 구분한다. 전자만을 구빈원에 수용하고 안락한 생활을 할 수 없도록 관리한다. 강제로 일을 시켰으므로 감옥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가난한 사람을 ‘거지 근성’의 소유자로 본 신구빈법 입법자들은 정당한가?
신구빈법은 가난과 타락을 동일시했다. 그러나 디킨스는 작품을 통해 ‘가난한 사람은 타락한 사람’이라는 단정을 깨뜨린다.
작가는 가난과 도덕의 관계를 어떻게 생각했나?
올리버가 구빈원 출신 아이면서도 완전히 도덕적인 소년임을 보여 준다. 도덕적으로 선한 거지를 보여 줌으로써 신구빈법과 구빈원의 공식을 비틀어 놓았다.
인기와 예술을 동시에 거머쥔 디킨스의 비결은?
대중성과 시사성이다. 디킨스는 당시 독자의 흥미를 끌던 범죄소설의 플롯을 사용했다. 다른 저급한 범죄소설과는 달리 당대의 중요한 사안을 작품 속에 끌어와 시사 담론의 장을 마련했다.
≪올리버 트위스트≫의 인기 비결은 무엇인가?
작품은 경찰조차도 혼자서는 순찰 가기 꺼리던 당대 영국 뒷골목의 세계를 그렸다. 뒷골목에 사는 올리버가 ‘젠틀맨’ 품성을 지켜 가는 모습에 독자는 즐거움을 느꼈다. 젠틀맨을 국민의 이상으로 생각하는 영국인에게 자부심을 주었다.
디킨스의 어린 시절과 관계 있는 내용인가?
말단 공무원이었던 그의 아버지는 낙천적 성격으로 돈의 씀씀이가 커서 항상 빚을 졌다. 열한 살 때에는 아버지가 채무자 감옥에 수감되어 온 가족이 1년가량 감옥살이를 한다.
학업은 마칠 수 있었는가?
학업을 중단하고 구두약 공장에 취직한다. 디킨스에게는 아팠던 기억이지만, 작가로서는 유익한 경험이었다.
그와 같은 어린 노동자가 많았나?
산업혁명 시대에는 열 살도 채 안 된 수많은 어린이들이 산업 현장으로 내몰렸다. 디킨스의 작품에는 가장(家長) 역할을 하면서 학대받고 고통스러워하는 어린이들이 많이 등장한다.
소설사상 처음으로 도시 빈민이 작품의 주인공으로 등장한 작품이라는 것이 사실인가?
그렇다. 이 작품의 출현과 성공을 계기로 사회 계급 전체가 예술적 위엄을 부여받는 예술 민주주의가 시작된다.
청년 시절 디킨스는 어떻게 살았나?
법률 사무소 서기, 신문사 기자 등으로 일한다. 스물네 살 때부터 자신이 편집위원으로 있는 잡지에 ≪픽윅 문서≫를 삽화와 함께 기고한다. 중년 신사 픽윅이 영국을 여행하며 겪는 모험 이야기인 이 소설은 인기를 얻었다.
그의 대표작은 어떤 작품인가?
≪올리버 트위스트≫ 이후로 생애 마지막까지 평균 2년에 장편소설 한 권을 써냈다. 여타 대표작으로는 ≪크리스마스 캐럴≫, ≪위대한 유산≫, ≪데이비드 코퍼필드≫, ≪두 도시 이야기≫, ≪황폐한 집≫, ≪리틀 도릿≫이 있다.
디킨스와 대중의 관계는 어떤 모습이었나?
평생 대중과 연애하듯이 교감했다. 생애 마지막 10년 동안은 소설 낭독을 위해 영국 곳곳과 미국을 여행했다. 가는 곳마다 대대적인 성공이었고 대중의 눈물 어린 환대와 지역 유지의 영접을 받았다.
인기 작가의 마지막 길은 어떠했나?
디킨스 사망 소식이 알려지자 노동자들은 “우리의 친구가 죽었다”며 울부짖었다. 신문과 잡지들은 며칠 동안 그의 일대기로 가득했다. 한 신문은 ‘디킨스가 쓴 소설은 그날의 토픽이었다. 그의 소설은 정치나 뉴스와 거의 흡사하게 보였다. 마치 그게 문학이 아니라 사회적 사건인 것처럼’이라고 썼다.
이 책의 원전은 무엇이며 특징은 무엇인가?
번역 원전은 1961년 ‘뉴 아메리칸 라이브러리’에서 나온 책으로 총 494쪽 53장이다. 이 책은 원전에서 3분의 1가량을 발췌했다. 생략된 부분 중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대목은 줄거리 요약을 덧붙였다.
당신은 누구인가?
이선주다. 이화여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디킨스의 소설에 나타난 근대성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HK연구교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