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북스닷컴
인티는 오늘의 지성인을 위한 북레터입니다
Show Navigation Hide Navigation
  • 컴북스
  • 지만지
  • 학이시습
  • 지공
  • 기획시리즈
홈 / 중국 홍콩 대만문학 / 유영 사선

유영 사선

z20141117-s
유영, 생생한 현실의 자극과 충동
박홍준이 옮긴 ≪유영 사선(柳永 詞選)≫

문인들은 저속하다 말하지만
유영의 새로운 문학에 대해 당대와 후대의 문단 평은 가혹했다.
인간마저 저속하다고 폄훼했다.
대중의 생각은 달랐다. 모든 계층의
사람이 가장 사랑했던 북송의 작가였기 때문이다.

雨霖鈴

寒蟬凄切.
對長亭晩, 驟雨初歇.
都門帳飮無緖, 留戀處, 蘭舟催發.
執手相看淚眼, 竟無語凝噎.
念去去, 千里煙波, 暮靄沈沈楚天闊.

多情自古傷離別.
更那堪, 冷落淸秋節.
今宵酒醒何處, 楊柳岸, 曉風殘月.
此去經年, 應是良辰, 好景虛設.
便縱有, 千種風情, 更與何人說.

우림령

가을 매미는 애절하게 울고
장정에 해 저무는데
내리던 소낙비도 막 그쳤다.
성문 밖에서 송별연 하는 마음 심란하고
떠나기 아쉬워 머뭇거리는데
배는 출발을 재촉한다.
손잡고 눈물 어린 눈을 바라보며
끝내 말 한마디 못 한 채 목이 멘다.
가야 할 천 리 길 안개 물길을 생각하자니
넓은 남쪽 하늘에 저녁 안개가 짙게도 깔려 있구나.

다정한 사람 예전부터 이별을 아파하거늘
더욱이 쓸쓸한 이 가을은 어떻게 견뎌 낼 수 있으리오.
오늘 밤은 어느 곳에서 술이 깰까?
새벽바람 불고 희미한 달빛 아래 버들 언덕은 아닐는지.
이렇게 떠나면 해를 넘길 것이고
좋은 날씨 멋진 경치도 헛것이 될 터이니
그사이에 온갖 알뜰한 정이 생긴다 하여도
누구와 더불어 얘기한단 말인가.

‘우림령’이 뭔가?
장맛비 속 방울 소리라는 뜻이다.

누가 듣는 소리인가?
당 현종이다. 안녹산의 난을 피해 연일 내리는 빗속을 뚫고 촉으로 도망하다 벼랑길에서 방울 소리를 들었다. 양귀비를 추억하며 <우림령>이라는 음악을 지었다.

유영의 <우림령>은 개작한 것인가?
그렇다. 처음 지어진 <우림령>의 내용은 알 수 없지만, 유영은 송대 당시 평범한 남녀의 이별 이야기로 이를 바꾸어 놓았다.

유영은 누군가?
모든 계층 사람에게 가장 사랑받았던 북송의 사인(詞人)이다.

어떻게 했길래 모든 사람의 사랑을 받았는가?
만사(慢詞)다. 송대 사회와 문화의 변화, 향유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새로운 형식을 창작했다.

송대 사회와 문화의 변화란 무엇인가?
강남 도시 경제가 발달해 인구가 증가했다. 도시민의 오락 생활을 위해 대형 공연장이 곳곳에 들어섰다. 사람들은 함께 즐기고 공감할 수 있는 대중적이고 통속적인 예술을 원했다. 다양한 인간 군상이 생활하면서 복잡한 사회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이러한 인간상과 사건을 자세하게 설명하는 서사적 문예가 환영받기 시작했다.

만사가 뭔가?
박자가 느려지고 자수가 많아진 사의 형식이다.

만사는 유영만의 것이었나?
아니다. 그러나 유영만큼 만사를 많이 사용한 사인은 없다. 판본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유영의 ≪악장집(樂章集)≫에 실린 216수 가운데 약 87%인 185수가 만사다. 비슷한 시기 활동했던 안수(晏殊)나 구양수(歐陽脩), 장선(張先) 등이 지은 사 가운데 만사의 비율은 20%를 넘지 않는다.

유영의 만사는 무엇이 특별한가?
당시 사람들의 기쁨과 슬픔, 그리움과 환희의 감정을 펼쳐 냈다. 모호하고 심각한 관념 세계에서 벗어나 현실 세계를 생생하게 그렸고 자극적이고 충동적인 감각을 담아냈다.

<우림령>에서 그런 특별함을 만날 수 있는가?
보통 시가라면 이별의 한 측면만을 부각해 작품을 형상화했겠지만, 유영은 이별하는 전체 과정을 중계하듯 아주 상세하면서도 생동감 있게 묘사했다. 전반부에서는 헤어지는 사람의 눈에 맺힌 눈물을 크게 확대했다가 다시 떠나갈 아득한 남쪽 하늘로 시야를 돌렸다. 후반부에서는 헤어진 이후 슬픔에 잠겨 떠돌아다닐 모습을 처량하게 묘사하여 현재의 아픔을 극대화했다.

문단은 그를 어떻게 평가했는가?
당시는 물론이고 사후에도 많은 문인들이 그의 작품이 저속하다고 비판했다. 심지어 그의 인품을 폄하하는 발언을 쏟아 내기도 했다.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
유영 사를 논할 때 한 가지 기억해야 할 사실이 있다. 유영 사는 당시 악공(樂工)이나 가기(歌妓)의 청탁을 받아 창작된 작품이었다. 유영 개인의 사상과 감정을 담은 작품으로 파악하기보다는 송대 사회 문화에서 탄생한 하나의 문화 상품으로 파악하는 것이 더 맞다.

이 책은 무엇을 어떻게 뽑아 옮겼나?
쉐루이성(薛瑞生)이 교주한 ≪악장집 교주(樂章集校註)≫에 실린 216수 가운데 사랑, 이별과 그리움, 송대 사회와 풍물을 그린 작품 등 유영의 주요 사 38수를 뽑아 옮겼다.

당신은 누구인가?
박홍준이다. 성신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다.



책 보러가기

※ 이 글에 포함된 이미지 사용에 저작권상 문제가 있다면 연락주십시오. 확인 뒤 바로 처리하겠습니다.

Facebookgoogle_plus


뒤로 : 그녀의 이름은 나비 앞으로 : 옥대신영


 
-->
인티란?
인티 신청

인티 분류

  • 미분류 (1)
  • 인티전체 (3,333)
    • 01 마케팅 (263)
      • SNS (19)
      • 광고 (80)
      • 마케팅 이론 (24)
      • 모바일 (16)
      • 브랜드 (22)
      • 인터넷 (31)
      • 프로모션과 이벤트 (27)
      • 홍보 (54)
    • 02 문학 (1,030)
      • 독일문학 (70)
      • 러시아문학 (85)
      • 스페인 포르투갈 중남미문학 (32)
      • 아시아문학 (13)
      • 아프리카문학 (7)
      • 영국과 미국문학 (76)
      • 유럽문학 (47)
      • 일본문학 (41)
      • 중국 홍콩 대만문학 (126)
      • 프랑스와 퀘벡문학 (81)
      • 한국고전문학 (89)
      • 한국근현대문학 (277)
      • 희곡 (136)
    • 03 미디어 (354)
      • 뉴미디어 (58)
      • 미디어이론 (74)
      • 방송 (95)
      • 저널리즘 (109)
      • 출판 (13)
    • 04 사회과학 (176)
      • 경제와 경영 (56)
      • 법 (30)
      • 사회학 (44)
      • 연구방법론 (22)
      • 정치 (24)
    • 05 역사 (34)
      • 동양사 (19)
      • 서양사 (13)
    • 06 예술 (236)
      • 디자인 (11)
      •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32)
      •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51)
      • 미술 (4)
      • 사진 (3)
      • 연극 (25)
      • 영상 (14)
      • 영화 (105)
      • 음악 (6)
    • 07 인문과학 (151)
      • 교육 (67)
      • 군사 (5)
      • 심리 (10)
      • 언어 (24)
      • 인류 (17)
      • 종교 (27)
      • 지리 (3)
    • 08 자연과학 (33)
      • 물리 (6)
      • 생물 (13)
      • 수학 (1)
      • 천문 (2)
    • 09 철학 (94)
      • 동양철학 (22)
      • 서양철학 (70)
    • 10 커뮤니케이션 (140)
      • 글쓰기 (14)
      • 말하기 (23)
      • 커뮤니케이션 이론 (61)
      • 프레젠테이션 (9)
    • 11 주말판 (204)
    • 12 교재 (67)
      • 2학기 교재 가이드 (8)
      • 강의 고민 해결사 (5)
      • 경쟁하는 교재들 (6)
      • 내 강의엔 이 교재가 좋았다 (12)
      • 대학가 인기 텍스트 탐방 (20)
    • 13 기획물 (628)
      • 2012년, 왜 이 책이었나? (7)
      • 2013년 내게 아주 특별했던 한 해 (4)
      • 2학기에 꼭 권하는 책 (9)
      • 416 커뮤니케이션 (11)
      • 가을에 읽는 책 (10)
      • 가족극장 (5)
      • 내가 홍보수석이라면 (5)
      • 독립 만세 (10)
      • 미리 만나는 봄 (5)
      • 북으로 간 문학 (37)
      • 선택 2012, 커뮤니케이션이… (13)
      • 설을 맞는 마음 (9)
      • 영화를 바꾼 영화 (13)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4)
      • 욕망의 온도 (5)
      • 우화한 세계 (5)
      • 이해총서 (240)
      • 인터넷 쟁점 (11)
      • 인텔리겐치아 (5)
      • 저자와 출판사 (10)
      • 중국 홍콩 대만 근현대문학 특선 (6)
      • 지만지 1000종 기념 지식 여행 (10)
      • 지만지가 발굴 소개한 초판본 (15)
      • 지만지와 겨울 여행 (15)
      • 지만지와 함께 떠나는 유럽 여행 (12)
      • 창조경제를 묻는다 (12)
      • 추석 특집 (16)
      • 커뮤니케이션 연구 현장 (11)
      •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프런티어 (9)
      • 컴북스 올여름 독서 계획 (14)
      • 컴북스가 만드는 학술지 (12)
      • 피서지에서 만난 책 (6)
      • 한국동화 100년 (56)
      • 한글날 특집 (6)
      • 현장 이슈 (17)
  • 전체 (14)
  • 희곡 (32)

 

회사소개   알리는말씀   이용약관  유료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회사약도   페이스북컴북스   페이스북지만지
커뮤니케이션북스(주) 02880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5-11 commbooks@commbooks.com 02.7474.001 02.736.5047
대표이사 박영률 사업자등록번호 105-87-11972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마포-00105호 Copyright ⓒ CommunicationBooks, Inc. All Rights Reserved.
커뮤니케이션북스 홈사이트는 인터넷익스플로러9 이상, 크롬, 파이어폭스를 권장합니다.

이용약관  유료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페이스북컴북스   페이스북지만지
02880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5-11 (성북동1가 35-38) commbooks@commbooks.com 02.7474.001 02.736.5047
대표이사 박영률 사업자등록번호 105-87-11972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마포-00105호 Copyright ⓒ CommunicationBooks, Inc. All Rights Reserved.
커뮤니케이션북스 홈사이트는 인터넷익스플로러9 이상, 크롬, 파이어폭스를 권장합니다.

툴바로 바로가기
    • 컴북스 소개
    • 컴북스 도서
    • 주제로 찾기
      • 커뮤니케이션
      • 미디어
      • 저널리즘
      • 광고·홍보·마케팅
      • 경제경영
      • 문화
      • 영화
      • 정기간행물
      • 한국어
    • 시리즈로 찾기
      • 한국시나리오걸작선
      • 한국의 저널리스트
      •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 컴북스이론총서
      • 만화웹툰이론총서
      • 만화웹툰작가평론선
      • 저널리즘총서
      • 리얼미디어
      • 컴북스팸플릿
      • 아트코리아랩총서
      • 인공지능총서
    • 지만지 소개
    • 지만지 도서
    • 주제로 찾기
      • 문학
      • 사회
      • 역사
      • 예술
      • 인문
      • 자연
      • 철학
      • 기타
    • 지만지드라마 소개
    • 지만지드라마 도서
    • 주제로 찾기
      • 희곡
      • 연극이론
    • 지만지드라마닷컴
    • 지만지한국문학 소개
    • 지만지한국문학 도서
    • 주제로 찾기
      • 동시
      • 동화
      • 평론
      • 수필
      • 소설
      • 시
      • 육필시
      • 첫시집
    • 시리즈로 찾기
      • 초판본 한국소설문학선집
      • 초판본 한국시문학선집
      • 초판본 한국문학평론선집
      • 한국동화문학선집
      • 한국동시문학선집
      • 한국수필선집
      • 육필시집
      • 지역 고전학 총서
      • 한국 고전소설 등장인물 사전
      • 한국 고전소설사 큰사전
    • 학이시습 소개
    • 학이시습 도서
    • 주제로 찾기
      • 인적 자원 개발
      • 새 시대의 공교육
      • 교사를 위한 수업 매뉴얼
      • 문해 학습
      • 학습 이론&역사
      • 진로설계학습
      • 일상에서배우기
      • 외국인을위한한국어읽기
    • 지식공작소 소개
    • 지식공작소 도서
    • 주제로 찾기
      • 경제/경영
      • 달리기/마라톤
      • 인문교양
      • 자기계발
      • 자서전/회고록
    • 오디오북스 소개
    • 오디오북스 도서
    • 시리즈로 찾기
      • 100인의 배우, 우리 문학을 읽다
      • 100인의 배우, 세계 문학을 읽다
      • 길용우가 읽는 박태원 삼국지
      • 법정스님 108법문 (상)
      • 베개 타고 떠나는 이야기 여행
      • 빨강머리 앤 1권 초록지붕 집 이야기
      • 빨강머리 앤 2권 에이번리 이야기
      • 빨강머리 앤 3권 레드먼드 이야기
      • 세계환상문학걸작선
      • 셰익스피어 4대 비극
    • 큰글자책 소개
    • 큰글자책 파트너사
    • 로그인
    • 회원가입
    • 문의
    • 출간문의
    • FA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