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북스닷컴
인티는 오늘의 지성인을 위한 북레터입니다
Show Navigation Hide Navigation
  • 컴북스
  • 지만지
  • 학이시습
  • 지공
  • 기획시리즈
홈 / 북으로 간 문학 / 임학수 시선 초판본

임학수 시선 초판본

z20121207-1

한국시 신간 ≪초판본 임학수 시선≫

오, 자유! 일체가 평등!
일제가 물러가면 새 세상이 열리는 줄 알았지만, 자유로운 세상에서 평등하게 살리라 희망했지만, 일하고도 먹을 수 없는 현실 그리고 채찍과 배고픔은 여전했다. 자유와 평등은 누구나 부를 수 있는 흔한 이름이지만 한 번도 그냥 주어진 적이 없는 최고가의 역사재라는 사실을 그때 우리는 아직 몰랐던 것일까?

<새날을 맞음>

꿈에서 살던 그대 이제야 오는다?
구름으로 繡놓아 별로 아로삭인
그대 象牙의 상자를 열으라.
하나는 自由.
하나는 平等.

꿈에서 살던 그대 이제야 오는다?
혹독한 쇠사슬과 주림, 暗黑,
이 두꺼운 獄門을 깨치라.
거리에는 넘치는 旗ㅅ발, 松門의 洪水,
씩씩한 行進과 嚠喨한 軍樂으로
가장 호사로히 嚴肅히 그대를 맞으리.

피는 뛰나니!
그대 맞는 기꺼움에
몸은 떨리고 귀에는 요란한 鐘소리 끊임없나니!
이 밤이 지내는 아침,
붉은 太陽이 山과 山 바다와 바다를 휩쌀 지음,
그대 燦爛한 金冠을 쓰고
蕯水 옛 싸움에 저 風雲을 희롱하던 칼을 춤추어
가장 儼然히
步武堂堂 내 앞에 나타나오리.

오, 自由!
一切가 平等!
隸屬과 傲慢과 缺乏과 이 악착함이
어찌 호사로운 그대 앞에야 다시 용납되오리?
이제 마침내 그대는 오나니,
이 地球의 가시덤불 위에
왼갓 罪惡을 淸算할 새날은 왔나니,
내 꿈에 살던 그대 永遠히 내게 있으라.
그대 華麗한 상자를 열어 흩으라.

≪초판본 임학수 시선≫, 임학수 지음, 윤효진 엮음, 66∼67쪽.

기쁨과 기대가 과하지 않았을까?
암흑시대가 끝나고 광복의 날이 왔다. 자유와 평등의 기회가 열렸다. 행복을 꿈꾸는 시인의 마음이다. 바로 ‘필부의 노래’다.

임학수가 누구인가?
시인이자 영문학자고 번역가다.

문학의 출발은?
1931년 <우울(憂鬱)>과 <여름의 일순(一瞬)>으로 ≪동아일보≫에서 등단했다. 시집을 다섯 권 냈고, ≪시문학≫, ≪문학≫, ≪신인문학≫, ≪인문평론≫에도 적극 참여했다.

번역 업적은?
≪현대 영시선≫, ≪19세기 초기 영시집≫, ≪초생달≫, ≪챠일드 하롤드의 편력기≫ 등의 시, ≪일리어드≫, ≪이도애화(二都哀話)≫ 등의 소설을 번역했다.

못 보던 이름이다.
1930년대 후반에 ≪전선시집≫ 등으로 일제에 협력했다. 6·25 전쟁 중에 납북되어 북한에서 영문학자로서 활동했다. 친일과 납북은 양대 금기 사항이었다.

≪전선시집≫은 무엇을 말하고 있나?
황군작가 위문단으로 전선 시찰 후 쓴 시집이다.

지금 임학수를 추천한 당신의 의도는 무엇인가?
그의 시를 정당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다. 우리 현대 문학사를 온전히 세우기 위해서는 납·월북 문인을 정확히 연구해야 한다.

시는 어떤가?
서정성을 기초로 낭만적 세계관을 보인다.

배경은?
경성제대 영문학부에서 접한 영국 낭만주의 시인 바이런이나 셸리, 키츠다. 민족의식과 역사의식이 그의 특징이다. 일제 치하 우리 민족의 슬픔과 절망을 그렸다.

≪팔도풍물시집≫은 기행시 아닌가?
팔도 풍물을 단순히 묘사하지 않았다. 문화를 통해 민족 자긍심과 조국에 대한 애정을 드러낸다.

민족애는 그의 시에 어떻게 조형되는가?
<남한산성>과 <남해에서>의 마지막 연이 이렇다.

“丈夫의 鐵石 氣槪를/ 애닲다 써 볼 곳이 없고나!”,
“여기가, 여기가/ 북 울려 旗폭 날려/ 소스라친 波濤를 먹피로 물디리던 곳이어늘!/ 아, 孤島의 저믄 봄/ 나는 이제 무엇으로 이바지할꼬?”

나라 잃은 지식인의 깊은 고민과 갈등이다.

어디까지 갔나?
행동에는 닿지 못했다. 무기력하고 나약한 지식인에 머물렀다.

≪필부의 노래≫는 어떤가?
서문에서 “嘵箭이 나타나기 前 匹夫의 焦燥한 祈願일러라”고 밝혔듯 “왼갓 죄악을 청산할 새날”이 왔기에 꿈에 그리던 날에 대해 행복한 꿈을 노래한다.

그가 기다린 새날은 어떤 날인가?
<언제나 오느냐>에서 기다리는 ‘살기 좋은 날’, 자유가 보장되고 일한 만큼 보상받는 ‘보람 있는 날’이다.

그날은 어떤 모습으로 등장했는가?
해방이 되어도 일제시대와 별로 달라지지 않았다.
“채찍과 배고픔에 신음”하는 삶은 그토록 기대했던 새날이 아니었다. 시인은 이렇게 한탄한다.
“에익 亡할!/ 일하고도 먹을 수 없는 건 무슨 일이람?”,
“우리들은 아직도 옛날과 다름없는/ 채찍과 배고품에 呻吟하고 있답니다.”

좌절했나?
우수한 민족정신이 우리를 희망의 날, ‘새날’로 인도할 것이라고 끝까지 믿었다.

형식 특징은?
기행시, 산문시, 풍물시 등 실험 정신이 엿보이는 시를 썼다.

어떻게 살았나?
할아버지는 부농이었고 아버지는 신식 문명에 깨어 있어 유복하게 자랐다. 경성제대 졸업 후 교원으로 재직했으며 해방 후 고려문화사 주간과 ≪민성≫ 편집장을 지냈다. 서울사범대 교수, 숙명여대 강사, 이화여대 강사, 고려대 교수를 지냈다.

북한에서는 뭘 했나?
김일성대학 어문학부 교수와 학장, 평양 외국어대학 영어과 강좌장을 지냈다. 말년까지 교편을 잡고 후학 양성에 힘썼다고 한다. 외국 문학을 번역 소개하는 일에 적극 나섰다고 한다.

≪초판본 임학수 시선≫에서 우리는 뭘 볼 수 있을까?
민족 자긍심과 애국심, 조선과 조선 풍물에 대한 애정, 민족의 설움과 절망, 민족의식과 역사의식을 만나 보길 바란다. 이제 그의 문학이 정당한 평가를 받을 때가 되었다.

 



책 보러가기

※ 이 글에 포함된 이미지 사용에 저작권상 문제가 있다면 연락주십시오. 확인 뒤 바로 처리하겠습니다.

Facebookgoogle_plus


뒤로 : 초판본 상록수 앞으로 : 김상옥 시선 초판본


 
인티란?
인티 신청

인티 분류

  • 미분류 (1)
  • 인티전체 (3,333)
    • 01 마케팅 (263)
      • SNS (19)
      • 광고 (80)
      • 마케팅 이론 (24)
      • 모바일 (16)
      • 브랜드 (22)
      • 인터넷 (31)
      • 프로모션과 이벤트 (27)
      • 홍보 (54)
    • 02 문학 (1,030)
      • 독일문학 (70)
      • 러시아문학 (85)
      • 스페인 포르투갈 중남미문학 (32)
      • 아시아문학 (13)
      • 아프리카문학 (7)
      • 영국과 미국문학 (76)
      • 유럽문학 (47)
      • 일본문학 (41)
      • 중국 홍콩 대만문학 (126)
      • 프랑스와 퀘벡문학 (81)
      • 한국고전문학 (89)
      • 한국근현대문학 (277)
      • 희곡 (136)
    • 03 미디어 (354)
      • 뉴미디어 (58)
      • 미디어이론 (74)
      • 방송 (95)
      • 저널리즘 (109)
      • 출판 (13)
    • 04 사회과학 (176)
      • 경제와 경영 (56)
      • 법 (30)
      • 사회학 (44)
      • 연구방법론 (22)
      • 정치 (24)
    • 05 역사 (34)
      • 동양사 (19)
      • 서양사 (13)
    • 06 예술 (236)
      • 디자인 (11)
      •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32)
      •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51)
      • 미술 (4)
      • 사진 (3)
      • 연극 (25)
      • 영상 (14)
      • 영화 (105)
      • 음악 (6)
    • 07 인문과학 (151)
      • 교육 (67)
      • 군사 (5)
      • 심리 (10)
      • 언어 (24)
      • 인류 (17)
      • 종교 (27)
      • 지리 (3)
    • 08 자연과학 (33)
      • 물리 (6)
      • 생물 (13)
      • 수학 (1)
      • 천문 (2)
    • 09 철학 (94)
      • 동양철학 (22)
      • 서양철학 (70)
    • 10 커뮤니케이션 (140)
      • 글쓰기 (14)
      • 말하기 (23)
      • 커뮤니케이션 이론 (61)
      • 프레젠테이션 (9)
    • 11 주말판 (204)
    • 12 교재 (67)
      • 2학기 교재 가이드 (8)
      • 강의 고민 해결사 (5)
      • 경쟁하는 교재들 (6)
      • 내 강의엔 이 교재가 좋았다 (12)
      • 대학가 인기 텍스트 탐방 (20)
    • 13 기획물 (628)
      • 2012년, 왜 이 책이었나? (7)
      • 2013년 내게 아주 특별했던 한 해 (4)
      • 2학기에 꼭 권하는 책 (9)
      • 416 커뮤니케이션 (11)
      • 가을에 읽는 책 (10)
      • 가족극장 (5)
      • 내가 홍보수석이라면 (5)
      • 독립 만세 (10)
      • 미리 만나는 봄 (5)
      • 북으로 간 문학 (37)
      • 선택 2012, 커뮤니케이션이… (13)
      • 설을 맞는 마음 (9)
      • 영화를 바꾼 영화 (13)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4)
      • 욕망의 온도 (5)
      • 우화한 세계 (5)
      • 이해총서 (240)
      • 인터넷 쟁점 (11)
      • 인텔리겐치아 (5)
      • 저자와 출판사 (10)
      • 중국 홍콩 대만 근현대문학 특선 (6)
      • 지만지 1000종 기념 지식 여행 (10)
      • 지만지가 발굴 소개한 초판본 (15)
      • 지만지와 겨울 여행 (15)
      • 지만지와 함께 떠나는 유럽 여행 (12)
      • 창조경제를 묻는다 (12)
      • 추석 특집 (16)
      • 커뮤니케이션 연구 현장 (11)
      •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프런티어 (9)
      • 컴북스 올여름 독서 계획 (14)
      • 컴북스가 만드는 학술지 (12)
      • 피서지에서 만난 책 (6)
      • 한국동화 100년 (56)
      • 한글날 특집 (6)
      • 현장 이슈 (17)
  • 전체 (14)
  • 희곡 (32)

 

회사소개   알리는말씀   이용약관  유료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회사약도   페이스북컴북스   페이스북지만지
커뮤니케이션북스(주) 02880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5-11 commbooks@commbooks.com 02.7474.001 02.736.5047
대표이사 박영률 사업자등록번호 105-87-11972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마포-00105호 Copyright ⓒ CommunicationBooks, Inc. All Rights Reserved.
커뮤니케이션북스 홈사이트는 인터넷익스플로러9 이상, 크롬, 파이어폭스를 권장합니다.

툴바로 바로가기
    • 컴북스가기
    • 주제로찾기
      • PR
      • 광고
      • 뉴미디어
      • 마케팅커뮤니케이션
      • 문화콘텐츠
      • 미디어산업과정책
      • 미디어론
      • 방송/영상
      • 스피치와작문
      • 영화
      • 저널리즘
      • 정기간행물
      • 커뮤니케이션학
      • 한국어
    • 컴북스는?
    • 지만지가기
    • 주제로찾기
    •    지구촌고전
      • 문학
      • 사회
      • 역사
      • 예술
      • 인문
      • 자연
      • 철학
    •    한국문학
      • 동시
      • 동화
      • 문학평론
      • 수필
      • 소설
      • 시
      • 육필시
      • 첫시집
      • 희곡
    •    기타
    • 상세주제로보기
    • 청소년특선
      • 청년고전247(모바일)
      • 청년고전247(PC)
    • 태그
    • 지만지는?
    • 학이시습가기
    • 주제로찾기
    •    HRD
    •    공교육개혁과대안
    •    교수학습방법
    •    문해학습과실천
    •    이론&역사연구
    •    일상에서배우기
    •    진로설계학습
    • 외국인을위한한국어읽기
    • 학이시습은?
    • 지식공작소
    •    경제/경영
    •    달리기/마라톤
    •    인문교양
    •    자기계발
    •    자서전/회고록
    •    지식공작소는?
    • 노마
    •    노마는?
    • 기획시리즈
    • 오디오북
      • 100인의 배우, 우리 문학을 읽다
      • 100인의 배우, 세계 문학을 읽다
      • 길용우가 읽는 박태원 삼국지
      • 법정스님 108법문 (상)
      • 베개 타고 떠나는 이야기 여행
      • 빨강머리 앤 1권 초록지붕 집 이야기
      • 빨강머리 앤 2권 에이번리 이야기
      • 빨강머리 앤 3권 레드먼드 이야기
      • 셰익스피어 4대 비극
      • 세계 환상문학 걸작선
      • 커뮤니케이션 이해총서
      • 한국동화 문학선집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 지만지 한국희곡 선집
    • 로그인
    • 회원가입
    • 문의
    • 출간문의
    • FAQ
    • 자료실
    • 컴북스닷컴
    •    저자
    •    철학
    •    혁신
    •    편집
    •    디자인
    • 튜토리얼영상
    •    열람서비스
    •    컴북스캐시충전
    •    리딩패킷
    • 도서관의친구
    • 도서관을위한강연
    • 도서관을위한도서목록
    • 사서를위한FA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