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 이론
2489호 | 2015년 3월 13일 발행
축제를 해석하는 열 가지 이론
류정아가 쓴 <<축제 이론>>
축제와 인간의 행방
즐겁자고 하는 축제가 즐겁지 않다.
규모는 커지지만 만족은 작아진다.
참여자 숫자와 번 돈을 세다 보니 사람이 사라졌다.
인간은 소외가 싫어 축제를 만드는 존재다.
“관광형 축제나 화려한 스펙터클의 축제들이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관리자와 기획자는 축제를 일회성 이벤트나 관광 상품으로만 본다. 이런 관점은 축제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 연구자가 축제의 경제 효과에만 관심을 둔다. 축제 연구가 왜곡된 채로 동시다발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축제학’은 여전히 체계 있는 학문의 틀을 갖추지 못하고 방황하고 배회하고 있다.”
‘대화와 소통을 실현하는 축제 현장’, <<축제 이론>>, vi쪽.
축제학은 어디서 방황하고 있나?
연구자 대다수가 축제를 관광 상품으로 보고 경제 활성화 효과, 특산물 판매로 인한 수익 증대, 관광객 유입 효과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축제의 외형적 부가 효과만 바라보는 것이다.
관광형 축제가 많아진 이유가 뭔가?
지역 축제를 통해 지역을 알리겠다는 자치단체장들의 욕망이 확산되었다. 중앙정부에서도 관광축제 육성 정책을 폈다. 정책 지원과 관광 수요 증대가 맞물리면서 지역 축제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축제는 여전히 외형 효과만 바라보고 있는가?
2010년대 들어 조금씩 달라졌다. 마을 단위의 소박한 축제에 관심을 돌리기 시작했다.
변화의 원인은?
스스로 즐기는 축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기존 축제 연구의 분석 관점이 우리 주변에서 벌어지는 축제 현상을 정확하게 설명하는 데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음을 알게 되었다.
축제를 정확하게 설명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인류학과 문화 이론의 관점에서 축제를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이 있다. 축제는 비일상의 시공간에서 순간의 일탈을 경험하는 것이라고 흔히 말하지만, 그런 축제의 순간을 설명하는 이론적 논의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축제의 순간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무엇이 있는가?
아널드 반 제넵의 통과의례 개념은 축제 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통과의례를 무엇이라 정의하는 것인가?
인간의 삶이 전환되는 순간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본다. 좁은 의미로는 개인의 성장과 함께 행해지는 출생, 성인식, 결혼, 장례 같은 인생 의례를 통과의례라 한다. 넓은 의미로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옮겨가는 통과나 국왕이나 족장의 취임같이 신분이 변할 때 행하는 의례가 있다.
통과의례가 축제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통과의례의 순간에 비일상적인 의례 행위들이 일어난다. 바로 이 순간이 축제 형태를 띠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의례와 축제는 같은 것인가?
의례는 축제 연구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축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 현상을 설명할 때도 통과의례는 중요한 관점과 전략 개념으로 인용되는 키워드다.
축제를 설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이론은 어떤 것이 있는가?
빅터 터너의 리미날리티와 코뮤니타스, 에드먼드 리치의 시간의 패러독스, 미하일 바흐친의 반구조적 카니발과 소통 시스템은 축제를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어떤 도움이 되는가?
이들은 축제를 성스러운 것과 세속적인 것의 변증법으로 이해한다. 그래서 축제에서 일어나는 일상 파괴, 또는 전도되는 상징을 연구해 성과 속의 변증법을 읽어 낸다.
당신이 생각하는 축제는 무엇인가?
축제는 평상시에는 보이지 않는 인간의 다양한 삶이 모습을 구체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표현한다. 무용해 보이거나 소외되어 구석에 방치된 삶의 단편을 세상 밖으로 끌어내 숨은 가치를 발견하게 한다.
축제에서 어떻게 삶의 숨은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가?
인간은 소외되고 싶지 않아서 축제를 만드는 존재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축제가 커지면 커질수록 더욱 더 큰 소외감을 느낀다. 이 모순의 고리를 하루라도 빨리 끊어내지 않으면 우리의 축제 문화는 모래성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축제는 허상이 아니라 바로 우리의 삶 그 자체다. 축제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이 삶에 대한 이해도 깊게 한다.
이 책, <<축제 이론>>은 무엇을 말하나?
축제 연구를 시작하는 사람이 반드시 알아야 할 이론적 논거를 제시한다. 축제는 단순한 여흥거리가 아니고 일회성 관광 상품도 아니다. 축제가 홍보성 이벤트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든든한 버팀목이 되는 책이다.
당신은 누구인가?
류정아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