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별산수록 천줄읽기
2493호 | 2015년 3월 16일 발행
조선의 봉건과 반봉건의 알레고리
김동건이 옮긴 ≪토별산수록≫
조선의 봉건과 반봉건
거북은 용왕의 충신이다.
조선의 봉건 체제를 신봉한다.
토끼는 용왕을 속인다.
목숨을 구하고 자유를 꿈꾼다.
거북은 순수하나 미련하다.
토끼는 불온하나 꾀바르다.
누가 이기는가?
“네 말도 옳다마는 고금에 일렀으되 ‘남이 죽는 것이 내 고뿔만 못하다’ 하니 너는 충성하려니와 나는 무슨 일이뇨? 내 일을 생각하면 만경창파(萬頃蒼波)에 이내 몸이 네 등에 올라앉아 무사히 돌아오니 일단 정표 바이없이 그저 돌아가는 것이 도리어 섭섭하다. 용왕이 무도하지, 너야 무슨 죄 있느뇨? 우리 둘은 혐의(嫌疑) 마세.”
≪토별산수록≫, 작자 미상, 김동건 옮김, 118쪽
≪토별산수록≫은 ≪토끼전≫ 아닌가?
120여 종에 달하는 ≪토끼전≫ 현전 이본 중 하나다.
어떤 이본들이 있나?
≪토끼전≫은 토끼전·별주부전·별토전·토별전·수궁용왕전·중산망월전·수궁가·수궁록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내용과 결말이 다양하다.
이본이 120여 종이나 되는 이유가 뭔가?
조선 후기는 역사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혼재하던 시기다. 양반 문학과 서민 문학의 혼융으로 향유층의 다양한 이해도 한몫했다.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우화의 특성 때문에 당대의 다양한 지향을 반영하기도 쉬웠을 것이다.
≪토별산수록≫은 다른 이본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김동욱 소장 ≪토별산수록≫은 이제까지 한 번도 현대역되어 출간된 적이 없는 이본이다. 여러 이본 중 풍부한 이야기가 있어서 토끼전의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다.
≪토끼전≫의 뿌리는 무엇인가?
인도의 본생설화(本生說話)와 육도집경(六度集經) 등의 불전설화다. 본생설화는 석가가 깨달음을 얻기 위해 수행하던 때의 이야기다. 불교가 전파되면서 많은 불교 경전이 한역된다. 불전 설화가 우리나라에 전파되어 <구토지설>과 같이 문헌으로 정착되거나 구전되다가 ≪토끼전≫의 모태가 되었을 것으로 본다.
<구토지설>은 무슨 이야기인가?
용왕 딸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거북이가 토끼를 구슬려 용궁으로 데려온다. 오는 길에 사실은 간이 필요해서 가는 것이라 바른말을 한다. 토끼는 간을 씻어 바위에 널어 두었다 하고 육지로 돌아가 달아난다.
어디에 있는 이야기인가?
≪삼국사기≫ ‘열전’에 있다. 신라의 김춘추가 고구려에 청병하러 간다. 보장왕은 마목령(麻木峴)과 죽령(竹嶺)을 요구한다. 춘추는 신하가 국가의 토지를 마음대로 할 수 없다고 대답하고 옥에 갇힌다. 이때 선도해가 찾아와 춘추에게 <구토지설>을 들려준다.
김춘추는 거북이와 토끼의 이야기를 어떻게 이용하는가?
고구려 왕에게 자신이 귀국하면 맹세코 신라 왕에게 청해 마목령과 죽령을 돌려주겠다고 약속한다. 그러고는 적지를 빠져나온다. 토끼의 계교를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구토지설>은 어떻게 ≪토끼전≫이 되었는가?
민간설화가 되면서 종교성은 완전히 탈색되었다. 토끼와 별주부의 지략 대결을 중심으로 한 설화로 자리 잡았다. 여기에 용궁 설화, 나이 다툼 설화, 토끼의 위기 극복 설화를 수용하면서 부연·변용되어 판소리·소설로 발전했다.
이 작품에서 토끼와 별주부는 어떤 존재인가?
토끼는 용왕으로 표상되는 봉건 체제를 부정한다. 개인의 자유로운 삶을 꿈꾼다. 별주부는 유교 사회의 전통 규범인 충을 정당화한다. 봉건 체제를 신봉하고 고수하는 보수 이념을 반영한다.
이들에 대한 조선조의 평은 무엇인가?
토끼와 별주부에 대한 평가는 갈린다. 19세기 중엽 이유원은 판소리 <수궁가>에 대한 감상을 시로 남겼다. <관극팔령 8수(觀劇八令八首)> 중 한 수에 토끼에 대한 긍정적이고 우호적인 태도가 보인다. 이런 시다.
龍伯求仙遣主簿 용왕이 약 구한다 별주부를 보내려고
水晶宮闢朝鱗部 수정궁에 물고기 모여 회의를 한다.
月中搗藥兎神靈 달에서 약 찧는 신령스런 토끼를
底事凌波窺旱土 어찌하여 업신여겨 육지 엿봤나.
반대 평은 무엇인가?
거의 같은 시기 송만재는 <관우희(觀優戱)>라는 시에서 토끼를 비판하고 별주부의 충을 부각한다. 이런 시다.
東海波臣玄介使 동해의 자라가 사신이 되어
一心爲主訪靈丹 임금 위한 충성으로 약 구해 나섰네.
生憎缺口偏饒舌 얄미운 토끼는 요설을 펴서
愚弄龍王出納肝 간 두고 왔다고 용왕을 우롱하네.
당신은 누구인가?
김동건이다.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