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츠 카프카
2392호 | 2015년 1월 8일 발행
겨울밤에 좋은 책 4. 카프카 연구의 전범, ≪프란츠 카프카≫
편영수가 옮긴 빌헬름 엠리히(Wilhelm Emrich)의 ≪프란츠 카프카: 그의 문학의 구성 법칙, 허무주의와 전통을 넘어선 성숙한 인간(Franz Kafka: Das Baugesetz seiner Dichtung, Der mündige Mensch jenseits von Nihilismus und Tradition)≫
완전히 예속된 영혼
가려 애쓰지만 결코 도달하지 못하는 저승.
눈을 뜨는 곳은 이승의 물 위에 박혀 있는 나룻배.
아무도 그를 이해하지 못하고 그를 이해하는 사람도 없다.
소외되고 소외하는 현대인, 카프카와 우리들.
“카프카의 작품에서 결코 서로 이해할 수 없는 두 개의 세계, 즉 사냥꾼 그라쿠스와 손님, 보편적 세계 관청과 카(≪소송≫과 ≪성≫) 등은 카프카가 자의적으로 또는 공상적으로 만든 것이 아니라 우리의 현실이다. 이 두 세계는 근본적으로는 유일한 세계이며 다름 아닌 인간 세계다.”
≪프란츠 카프카≫, 빌헬름 엠리히 지음, 편영수 옮김, 59쪽
이 두 세계의 이름은 무엇인가?
삶과 죽음, 현실과 비현실, 전체성과 개별성과 같은 이율배반의 세계다. 카프카는 이것을 현대사회의 모습으로 인식하고 문학으로 형상했다.
<사냥꾼 그라쿠스>를 놓고 카프카의 이율배반을 설명할 수 있는가?
1917년에 쓴 미완성 단편소설이다. 이승과 저승 사이에 있는 그라쿠스의 이야기다. 1500년 전 슈바르츠발트에서 영양을 쫓다가 절벽 아래로 떨어져 죽었다. 그를 저승으로 데려가야 하는 나룻배는 방향을 잃었다. 그가 탄 배는 바람이 이끄는 대로 이승을 떠돈다. 그러다 어느 날, 리바의 시장 살바토레를 만난다. 살바토레는 그에게 지금 상황과 지나온 삶을 묻는다.
그라쿠스는 대답하는가?
자신이 살았던 시대, 즐거웠던 삶, 만족스러웠던 죽음, 이승을 맴도는 불행을 이야기한다. 그의 이야기는 과거에 존재했고 현재에 존재하는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다. 곧 보편 진리다. 그러나 살바토레는 눈앞의 행복과 이익에 정신이 팔려 있어 그를 이해하지 못한다. 보편 진리를 망각한 채 살아가기 때문이다.
여기서 현대는 어떤 모습인가?
그라쿠스의 상황이다. 저승에 가려 애를 쓰지만 결코 도달하지 못한다. 눈을 뜨는 곳은 이승의 물 위에 황량하게 박혀 있는 나룻배 위일 뿐이다. 아무도 그를 이해하지 못하고 동시에 그도 산 사람을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
무슨 뜻인가?
지상 세계에 완전히 예속되었고 서로에게 소외된, 서로를 소외한 현대인의 모습이다.
엠리히는 어떻게 분석했는가?
이 작품을 카프카 작품 구조의 본보기로 제시했으며 그라쿠스를 카프카와 비교해 설명했다.
그라쿠스는 카프카인가?
타당한 추측이다. 그라쿠스라는 이름과 카프카의 처지 때문이다. ‘그라쿠스(Gracchus)’는 라틴어로 ‘까마귀’라는 뜻인데, 체코어 ‘카프카(kavka)’도 그렇다. 카프카는 자신을 자주 ‘까마귀’로 부르곤 했다.
카프카는 스스로를 어떤 시선으로 보았는가?
이렇게 썼다.
“나는 아주 이상한 새다. 나는 까마귀다. 한 마리 까마귀. 나는 정신없이 사람들 사이를 뛰어다닌다. 사람들은 아주 의심스러운 눈초리로 나를 쳐다본다. 실제로 나는 아주 위험한 새, 도둑 까마귀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겉보기에 그럴 뿐이다. 실은 나는 빛나는 것들에 대한 감각이 없다. 나는 재처럼 거무스레하다. 돌 틈으로 사라지기를 갈망하는 한 마리 까마귀.”
당시 카프카의 처지는?
이 작품을 쓰기 몇 해 전 이탈리아의 항구도시 리바 델 가르다에서 휴가를 보냈다. 당시 그는 아버지와 약혼녀 펠리체 바우어 등 주변인과 갈등을 겪었고 철저하게 단절되었다. 독일어를 쓰는 유대인으로서 프라하에 거주하는 상황에서 오는 소외 등도 작품의 중심 주제와 모티브로 활용되었다.
≪프란츠 카프카≫는 어떤 책인가?
카프카의 전체 작품을 체계적으로 다룬 최초의 연구서다. 전 세계 카프카 연구자가 빠짐없이 인용하는 책이다. 기존 카프카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신학적·정신분석학적·사회학적 해석을 소개한다.
무엇이 한계였나?
카프카 문학의 수수께끼를 그저 경험적으로 규정할 수 있는 현상들로 해명하려 한 것이다. 그의 문학은 특정 종교 관념이나 신앙 내용, 특정 사회 현상과 자서전적 현상의 반영이 아니다. ‘보편성(das Universelle)’을 형상화한 것이다.
카프카에게 ‘보편성’이란 뭘 말하나?
특정할 수 없다. 다양한 형상으로 등장하며 언제나 새로운 해석을 요구하는 그 무엇이다.
빌헬름 엠리히는 누구인가?
독일에서 영향력이 대단한 문예학자다. 1933년 사도 바울을 연구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괴테와 카프카를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괴팅겐, 쾰른, 베를린 대학교에서 독문과 교수를 지냈다. 문헌학적 연구를 수단으로 삼아 문학을 그 시대의 사회적·정치적 상황과 연결했다.
당신은 누구인가?
편영수다. 전주대학교 명예교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