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과 미디어 생활 7. 드라마
2648호 | 2015년 6월 23일 발행
한국전쟁과 미디어 생활 7/10 드라마
전우, 세 번의 변신 그 이후
텔레비전에 한국전쟁이 전면 등장한 것은 1975년이다.
<전우>는 국군의 정의와 인민군의 무자비를 대비한다.
1983년에 다시 태어난 <전우>는 남한과 북한의 동질성을 찾는다.
2010년 이후 전우는 드라마를 떠났다.
어디로 갔을까, 우리의 전우는?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반공과 한국전쟁은 중요한 소재였다. <실화극장>(1964)을 필두로 반공 드라마가 일상화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간첩 잡기’를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한국전쟁을 깊이 있게 다룬 드라마는 많지 않다. 한국전쟁을 드라마의 중심축으로 삼은 작품은 <전우>(1975)다. <전우>는 한국전쟁 25주년 특집으로 기획되어 KBS에서 1975년 6월부터 1978년 4월까지 방영되었다. 포화가 빗발치는 급박한 전장에서 인간적 면모를 잃지 않는 소대장(나시찬 분)을 중심으로 국군의 무용담을 보여 준다. 1983년과 2010년에 리메이크되기도 했다. |
<전우> 원작과 리메이크작을 비교해 보면 한국전쟁이 시대에 따라 다르게 재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75년은 ‘육영수 피살 사건’(1974), ‘베트남 공산화’(1975)라는 맥락에서 정부가 국가 안보를 최우선 과제로 삼던 시기다. 이러한 상황에서 1975년의 <전우>는 ‘반공’에 초점을 맞춘다. 위 장면에서도 촌락민들의 의로움과 인민군의 무자비함을 대비해 보여 주고 있다.
반면 1983년의 <전우>는 종래의 적대적 대치 상황을 줄이고 한국전쟁에서 승리한 작전들을 극화하여 박진감 넘치는 전투 장면을 재연하고 뜨거운 인간애를 보여 준다. 이러한 변화는 1983년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방송 이후 남북을 다루는 드라마가 그동안의 대치·대결·갈등 대신 민족 아픔의 포용을 앞세우면서 만들어진 결과다. 이처럼 현실과의 관계 속에서 재해석되어 재현된 한국전쟁은 1990년대 들어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거의 사라진다. 이후 이 소재는 영화로 넘어간다.
정영희, 고려대학교 정보문화연구소 연구원, <<한국 사회의 변화와 텔레비전 드라마>> 지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