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과 한국문학 10. 논설
2655호 | 2015년 6월 26일 발행
한국전쟁과 한국문학 10. 논설
유혈의 중지를 다행이라 생각하지만
전쟁 발발 3년 1개월 2일 19시간 만에 휴전 협정이 조인되었다.
1953년 7월 27일이다.
20여만 명의 전쟁미망인과 10여만 명의 전쟁고아를 만들고 휴전되었다.
1000여만 명의 이산가족과 한반도는 이날부터 분단의 운명을 지게 되었다.
休戰은 마침내 成立되었다. 共産軍이 南침을 開始한 지 三 年과 또 一 개月 그리고 ‘쏘련’의 ‘만리ㅋ’이 休戰을 提案한 지 滿 二 개年과 또 十一 日 慘담하다면 그 類를 史上에서 찾기 어렵고 또 休戰 交涉으로서는 記錄을 깨트리는 長歲月을 虛費한 戰爭은 이에 끝나고 우리 江山에서의 포聲은 오늘로 거두게 되었다. 這間에 敵我 쌍方의 人命 損실은 누百萬으로 헤아리고 韓國이 입은 物的 破損은 거의 國土를 초土化하다싶이 하였던 것이니 이제 銃火가 거두어지고 殺륙의 悲慘이 그쳤다고 하는 데서 流血의 中止를 多幸히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休戰 成立>, ≪동아일보≫, 1953. 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