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기 미디어와 사회
2591호 | 2015년 5월 18일 발행
한국전쟁의 미디어 현상을 분석한 최초의 책
김영희가 쓴 ≪한국전쟁기 미디어와 사회≫
한국전쟁과 미디어의 현실
서울의 방송과 신문은 군의 손에 들어갔다.
부산의 언론이 빠르게 발전한다.
전황이 궁금한 국민은 뉴스에 매달렸다.
25억 장의 삐라가 하늘을 수놓았고 <<학원>>과 <<사상계>>도 이때 창간되었다.
“1950년 6월 27일 저녁 9시 대전으로 피난을 간 이승만 대통령이 특별 담화를 녹음해 방송으로 발표했다. “서울 시민은 대통령과 함께 서울에 남아서 서울을 사수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이 방송으로 서울 시민은 대통령이 서울에 있는 것으로 생각했다. 6월 28일 새벽 2시 넘어 한강 다리가 폭파되었고, 그날 오후 5시 북한군이 서울을 완전히 점령했다. 정부 발표와 대통령의 담화 내용은 사실과 너무 달랐다.”
‘전쟁 보도’, ≪한국전쟁기 미디어와 사회≫, 138~139쪽.
방송이 어떻게 거짓말을 할 수 있었는가?
전쟁 다음 날부터 국방부 정훈국 보도과가 당시 유일한 라디오 방송국인 중앙방송을 감독했다. 정훈국의 발표 내용만 방송했고 그랬기 때문에 사실과 다른 내용이 방송되었다.
방송 내용이 무엇이었나?
전쟁 발발은 알렸으나 자세한 전황은 일체 밝히지 않았다. 이승만 대통령이 대전으로 간 것, 정부가 한강대교를 폭파한 것도 알리지 않았다.
신문은 어땠나?
사전 검열해 정부 발표만 보도했다. 북한군이 서울을 점령하자 신문사 건물과 시설이 파괴되었다. 피살되거나 납북된 언론인도 있었다. 서울의 신문사들은 임시 수도 부산으로 피난 갔다.
부산의 사정은?
대구, 부산의 지역 신문과 피난 간 서울의 신문사가 사무실과 윤전기를 임대해 신문을 발행했다. 부산 지역 언론이 비약적으로 성장했다.
성장의 모습이 어땠는가?
전쟁이 길어지면서 전황이 궁금한 독자가 크게 늘었다. 부산 지역 신문인 ≪국제신보≫는 전쟁 기간 일일 최대 10만 부, ≪민주신보≫는 8만 부를 발행했다.
뉴스의 품질은?
서울의 언론인, 문인, 대학교수를 필자로 참여시켰다. 해설 기사의 권위가 높아졌다. ≪국제신보≫는 헤리크라프트라는 수신기로 세계 각국의 방송을 청취해 전달했다.
서울에 남은 시민들은 어떻게 정보를 얻었는가?
북한은 서울을 점령한 날부터 중앙방송을 장악해 방송을 시작했다. 점령 5일째인 7월 2일에는 ≪조선인민보≫와 ≪해방일보≫를 창간했다. 그러나 매일 똑같은 내용을 반복해 시민의 신뢰를 잃었다. 사람들은 믿을 만한 다른 정보원을 찾았다.
믿을 만한 정보원, 그게 뭔가?
미 육군 극동군사령부가 1950년 6월 29일 일본 도쿄의 NHK 방송 시설을 이용해 시작한 한국어 라디오 방송인 유엔군총사령부방송과 1942년 8월 29일 처음 시작한 미국의 대외 선전방송인 미국의소리 한국어 방송이다.
믿을 만했나?
전황은 비교적 정확하게 보도했던 것으로 보인다.
방송의 다른 목적이 있었나?
전황 보도보다 더 중요한 방송 목적이 따로 있었다. 대한민국을 도운 시혜자로서 미국의 이미지를 만드는 것, 동아시아에서 영향력을 넓히는 것이다. 적의 기강과 마음을 흔들어 분열시키는 심리전 매체의 기능도 중요했다.
심리전의 메시지는 무엇이었나?
미국은 한국 군대 훈련을 지원하고 평화를 원하며 아시아에 호의적이다, 유엔은 아시아의 난민을 돕는다, 공산주의자들은 잔인하고 비인간적이며 포로를 학대한다, 중공은 가뭄과 굶주림에 시달린다. 이런 내용을 방송했다. 이런 메시지를 삐라에도 담았다.
삐라는 어떻게 사용되었나?
심리전의 대표 매체가 바로 삐라다. 삐라는 ‘들리지 않는 총성’이고 ‘종이폭탄’이었다. 6월 28일 미 극동군 심리전과가 처음 살포한 삐라는 1176만 장이었다. 그해 10월 말에 1억 장, 1951년 1월에 2억 장, 같은 해 11월 말에 8억 장을 돌파했다. 전쟁 기간에 모두 25억 장 이상의 삐라를 살포했다. 북한군과 중국군도 삐라를 적극 활용했다.
메시지는 뭔가?
‘살려면 지금 넘어오시오’라는 문장으로 시작하는 ‘안전보장 증명서’다. 귀순 권유 삐라로 이 증명서를 들고 오면 안전을 보장한다고 설득한다. 전황과 국내외 소식을 전달하는 신문 형식의 ‘낙하산뉴스’와 ‘자유세계주간신보’도 있다. ‘자유세계주간신보’는 창간사와 사설을 게재한 신문의 축소판 같은 형태였다.
이 책 <<한국전쟁기 미디어와 사회>>는 무엇을 설명하는가?
풍부한 사료로 한국전쟁 기간 미디어의 역할, 정부의 미디어 정책, 사회 현상을 고찰했다. 이승만정부의 입장을 대변하고 반공 이데올로기를 설파한 미디어의 역할을 살펴본다. 당시 라디오, 신문 등의 자료에서 서울 시민이 미디어를 어떻게 인식했는지 확인한다. 부산 언론의 발전과 전쟁 기간 출판, 잡지가 큰 성장을 이룬 배경을 짚는다. VUNC, VOA 한국어 방송, 삐라 살포로 미국이 동아시아에서 영향력을 강화한 현상을 이해하고, 설득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쓰인 남북한 삐라의 메시지를 분석한다. 북한이 전개한 선전선동사업과 언론 활동도 살펴본다. 한국전쟁 기간 미디어 현상과 사회를 다룬 최초의 책이다.
한국전쟁기에 우리 미디어는 무엇을 했는가?
이승만정부의 입장을 대변하고 옹호했다. 냉전 시대 반공 이데올로기를 강화하고 확대 재생산했다. 전황 정보를 제공해 전쟁 소식에 대한 수용자의 갈증을 해소했다. ≪희망≫, ≪학원≫, ≪신태양≫, ≪사상계≫가 부산과 대구에서 창간되었다. 즐거움과 오락을 제공하는 미디어이면서 교양과 지식을 제공하는 정보원이었다.
당신은 누구인가?
김영희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책임연구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