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현대 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는 무엇인가? 현대 사회에서 소통은 거의 미디어를 통해 매개된다. 미디어 이용능력은 현대인의 핵심 생존 기술의 하나다. 미디어에 대한 교육은 왜 필요한가? 미디어 환경은 엄청난 변화를 겪고 있다. 인터넷, 소셜 미디어, 스마트폰 등 새로운 테크놀로지들이 등장했다. 정보 사회가 진전될수록 미디어가 우리 삶에 미치는 파장은 커진다.
미디어의 바른 이해와 활용 능력이 요청된다. 이 책은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개념, 기능, 효과, 유형, 내용, 구조, 쟁점을 다룬다. 일반 교양과 미디어 전공 수업에 맞게 설계된 개론서다. 미디어 전공 교수가 입문자를 위해 쉬운 설명과 구체적 사례로 현대 사회와 미디어의 관계를 밝힌다.
개정판의 특징
모바일 미디어와 같은 새로운 미디어 현상을 해석하기 위한 이론과 개념을 보완했다. 최근 미디어 산업의 통계와 사례를 추가하고, 각종 표와 이미지를 최신 자료로 교체했다. 새로운 연구 사례와 해외 미디어 사례를 수록해 독자들이 날로 진화하는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에 대한 사회적 트렌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했다.
200자평
인공지능과 가상현실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을 맞아 미디어 지형과 사회현상은 급속히 변하고 있다. 변화의 방향과 규모는 아무도 모른다. 복잡하고 다양한 미디어 현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 이 책은 현대사회 미디어의 특징과 진화 과정, 관련된 미디어 이론과 논쟁, 다양한 사건과 이슈를 통해 미디어가 우리 일상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탐색하는 데 길잡이가 될 것이다.
지은이
한균태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유타주립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 텍사스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를 취득했다. 한국언론학회 회장, 편집위원장, 신문발전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신문의 공정성에 대한 고찰: 미디어 관련법 개정보도에 대한 프레임분석을 중심으로”(2010), “대선보도와 여론조사: 여론조사 공표 금지조항 개정을 중심으로”(2009) 등이 있다.
홍원식
동덕여자대학교 교양교직학부 부교수다.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에서 저널리즘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SBS 편성책임연구원을 역임했고, 2011년부터 동덕여자대학교에서 언론학 분야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박사 학위논문은 “Toward Understanding of the Cyclical Formation of Public Opinion(여론의 순환적 형성에 관한 연구)”이다.
이인희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경희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볼주립대학교와 럿거스대학교에서 정보방송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경희대학교에서 뉴미디어와 방송영상 분야를 가르치고 있다. 2012년 세계인명사전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에 등재되었다. 저서로 『미디어는 왜 중요할까요?』(2012), 역서로 『뉴미디어 올드 뉴스: 디지털 시대의 언론과 민주주의』(2011), 『뉴스의 역사(개정판)』(2010, 공역) 등이 있다.
이종혁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주리대학교에서 저널리즘 석사와 시라큐스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전공 분야는 저널리즘과 정치커뮤니케이션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뉴스 미디어 레퍼토리와 주제 관심도 관계 분석”(2017), “다매체환경에서의 뉴스 가치 판단 기준에 대한 종합적 구조적 접근”(2013, 공저), “News values, media coverage, and audience attention”(2009) 등이 있다.
채영길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다문화주의, 대안 미디어, 커뮤니티 미디어 등이다. 주요 저서로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실천』(2015), Understanding Journalism in Korea(공저, 2015)이 있고 최근 논문으로 “네이버·다음 모바일 포털 뉴스 플랫폼의 19대 대통령 선거기사 분석”(2017) 등이 있다.
이기형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와 동 대학원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전공 분야는 미디어연구와 문화연구, 민속지학과 생산자연구 등이다. 주요 저서로는 『TV 이후의 텔레비전』(2012, 공저), 『한국사회의 소통 위기』(2011, 공저), 『Asian Media Studies』(2004, 공저), 『미디어 문화연구와 문화정치학으로의 초대』(2011) 등이 있다.
이두황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조지아대학교와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언론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앨라배마대학교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HCI)에 기반을 둔 뉴미디어 이용과 사회심리적인 효과이다.
이훈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조교수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정치학 학사를, 미시간대학에서 통계학 석사와 언론정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3년부터 2014년까지 미시간대학교 방문조교수를 지냈고, 2015년부터 경희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박사 학위 논문은 “The Affect Effect of Late-Night Humor(심야 정치풍자 프로그램의 감정적 영향력에 대한 연구)”이다. 최근 논문으로 “Mobile use, personal values, and connectedness with civic life”(2018) 등이 있다.
이정교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무역학을 전공하고,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에서 광고학 석사를 미주리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노스플로리다대학교에서 교수직을 지냈고, 2004년부터 경희대학교에서 광고와 소비자 심리 관련 강의를 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광고모델 전략과 효과, 소비자 심리, 브랜드 관리, 뉴미디어 광고다. 저서로 『유명인 광고의 이해: 이론과 전략』(2012) 등이 있다.
박종민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독립기념관 이사다. 미국 미주리대학교에서 광고PR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학회, 한국광고홍보학회, 한국PR학회의 총무이사, ≪홍보학연구≫, ≪사회과학연구≫의 편집위원장을 역임했다. 국가안전보장회의 위기관리센터, 기획재정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국가보훈처, 국민권익위원회의 정책홍보자문위원, 독립기념관 이사를 지냈다. 저서로 『정책PR론』(2015, 공저) 등이 있다.
이상원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조지워싱턴대학에서 통신학 석사, 플로리다대학에서 미디어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제전기통신연합 컨설턴트, 미국 센트럴미시간대학교 교수와 한국언론학회 총무이사를 지냈다. 주요 저서로는 Beyond Broadband Access: Developing Data-Based Information Policy Strategies(2013, 공저)가 있으며 “An Empirical Analysis of Fixed and Mobile Broadband Diffusion”(2011) 등의 국제 논문이 있다.
정낙원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에서 저널리즘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전공 분야는 정치커뮤니케이션, 저널리즘, 미디어효과론, 디지털미디어다. 미국 테네시공과주립대학교에서 웹 커뮤니케이션 전공 주임교수를 지냈다. 주요 논문으로는 “소셜미디어 이용 정도 및 이용 동기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개방형/폐쇄형 소셜미디어 비교”(2014) 등이 있다.
홍지아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1988년부터 1997년까지 CBS 프로듀서로 일했다. 미국 아메리칸대학교에서 영화 및 전자 미디어 제작으로 제작석사(MFA)를,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문화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3년부터 경희대학교에서 TV비평, 영상제작, 문화연구를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 『TV 이후의 텔레비전』(2012, 공저), 『현대사회와 언론』(2014,공저) 등이 있다.
임병국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객원교수다.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언론중재위원회 본부장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언론법과 미디어 저작권이다. 저서로 『언론법제와 보도』(2009), 『현대사회와 언론』(2006, 공저)가 있다.
차례
개정판 서문
1부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이해
01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정의와 특성
1.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본질
1) 커뮤니케이션 과정
2)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3)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특징
2.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유형, 범위와 특성
1)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중요성
2)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융합 유형
3)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범위와 주요 특성
3. 매스미디어 사회적 기능
4. 미디어 환경의 변화
1) 미디어 산업의 변화
2) 뉴미디어의 발전과 사회 변 화
02 매스미디어의 이론과 효과
1. 매스미디어 효과 이론의 발전 과정
2. 매스미디어 효과 이론의 출발점
1) 대중사회의 등장과 마법의 탄환이론
2) 과학적 효과 연구의 등장
3. 제한 효과 이론의 등장
1) 라자스펠드의 선거 연구와 2단계 흐름 모델
2) 선택적 지각과 준거집단
3) 제한 효과 이론에 대한 비판
4. 효과 이론의 확장
1) 문화 계발 효과(cultivation effect)
2) 의제 설정(Agenda setting theory)
3) 제3자 효과 이론(Third Person Effect)
5 강효과 이론
1) 침묵의 나선 이론(The Spiral of Silence)
2) 프레이밍 이론(Framing Theory)
6 디지털 시대의 효과 이론
03 정보사회의 패러다임
1. 정보사회의 유래
2. 정보사회와 정보의 개념
3. 정보기술 발달과 사회적 특징
1) 인터넷: 개인 소통과 네트워크
2) 디지털: 새로운 기술 논리
3) 개인화: 인간의 존재 의미
4)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하는 세계관
4. 정보사회의 쟁점
1) 정보격차
2) 디지털 통합
3) 저작권과 정보 공유
4) 콘텐츠와 정보 접근
5) 감시사회
5. 정보사회의 전망
6. 정보사회의 진화
1) 소셜 미디어의 등장
2) 소셜 미디어의 영향
3) 소셜 미디어와 정보사회
2부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유형과 내용
04 인쇄 미디어
1. 인쇄 미디어의 발달
1) 신문의 역사
2) 잡지의 역사
2. 인쇄 미디어의 특징
1) 인쇄 미디어의 소재
2) 인쇄 미디어 작성
3) 인쇄 미디어의 제작 과정
4) 인쇄 미디어의 효과와 영향
3. 인쇄 미디어의 역할
4. 인쇄 미디어의 미래
1) 신문, 잡지의 위기
2) 인쇄 미디어의 대응과 변화
05 방송과 현대사회
1. 방송의 개념과 이념
1) 방송의 개념
2) 방송의 이념과 공공성
2. 방송의 역사
1) 방송과 방송 산업의 탄생
2) 우리나라의 방송
3. 방송과 문화
1) 대중문화
2) 방송과 시청자 문화
4. 방송과 통일
1) 통일과 방송의 역할
2) 통일 방송과 정책
5. 공영방송의 정체성과 위기
6. 뉴미디어 기술과 방송
1) 방송 생태계의 변화
2) 새로운 방송 서비스
06 복합적인 문화양식의 영화: ‘재현의 정치학’과 영화보기 습속의 변화상
1. 영상 문화의 확장과 ‘간학문적’ 관심들
2. 영화라는 시각 텍스트와 대중문화물의 부상
3. 영상문법의 형성과 특징들
4. 영화라는 재현의 문화 형식과 맥락성: 멜로드라마를 중심으로
5. 영화분석과 문화연구의 영향: 텍스트 중심의 해독에서 수용과 사회 문화적인 맥락성의 긴밀한 추구로
6. ‘초기 영화’의 부상과 ‘역사화된 문화연구’의 등장: 재현의 차원을 넘어서 영상의 ‘사회적 배치와 활용’이라는 문제에 주목하기
7. 역사화된 문화연구와 초기 영화의 재조명: ‘볼거리, 놀람과 경악의 영화’
8. 결론을 대신해: 영화 분석과 방법론, 대안 그리고 상상력의 결합으로서 문화연구
07 디지털 미디어와 인터넷
1. 디지털 미디어 혁명
1) 디지털의 의미
2) 디지털 미디어의 개념
2. 디지털 미디어의 특징
1) 상호작용성
2) 멀티미디어화
3) 비동시성
4) 개인화
3. 미디어 융합
4. 인터넷의 태동과 발전
1) 인터넷의 개념
2) 인터넷의 태동
3) 인터넷의 성장 배경
5. 인터넷의 진화
1) 국내 인터넷 이용 실태
2) 인터넷 이용의 진화
6. 소셜 미디어의 등장: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중심으로
1)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출현과 의미
2) SNS의 탄생과 발전
3)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국내 이용 현황과 이용 동기
4) SNS와 소셜 미디어의 미래
08 모바일 미디어
1. 모바일 기술의 진보와 혁명
1) 세대별 이동통신 기술의 진화: 1∼3G
2) 4G 모바일 기술의 확산
3) 모바일 인터넷
2. 스마트폰 시대의 도래
1)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2) 모바일 전자상거래
3. 태블릿 PC
4. 모바일 미디어와 사회변동
09 광고
1. 광고의 개념과 특성
1)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광고의 개념
2) 마케팅 관점에서 광고의 개념
3) 광고와 유사 개념들과의 차이점
2. 국내 광고 시장의 현황
1) 매체별 국내 총 광고비
2) 국내 광고 대행사의 현황
3. 광고 콘셉트와 크리에이티브
1) 광고 콘셉트의 개념
2) 광고 콘셉트의 도출 방식
3) 광고 크리에이티브와 콘셉트
10 PR
1. 조직의 PR 부서와 PR 회사
2. 조직(기업) 내에서 PR 부서의 중요성
3. 조직 내 PR 부서의 주요 업무
4. 최근 PR 회사의 사회적 역할과 국제적 추세
5. PR 회사의 주요 업무 영역
6. PR의 개념Ⅰ: PR는 조직의 대공중관계 관리다
7. 공중의 개념
8. PR의 개념 Ⅱ: PR는 조직의 대스테이크홀더 관계 관리다
9. PR와 마케팅
10. PR 프로그램 기획
1) 환경 분석(Environmental Analysis)
2) 목표 공중 분석(Target Public Analysis)
3) PR 목표와 실행 과정 분석
4) PR 프로그램 실행 과정 분석 및 평가(Evaluation)
3부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현대적 쟁점
11 미디어 산업
1. 융합 시대의 미디어 산업
2. 미디어 상품의 특성
3. 미디어 시장의 구조
1) 시장집중도
2) 상품 차별화
3) 시장 진입장벽
4) 비용 구조
5) 수직적 통합
6) 시장 구조의 유형
4. 미디어 시장의 환경적 요인
1) 기술적 요인
2) 경제·산업적 요인
3) 정책적 요인
4) 소비자적 요인
5) 세계화적 요인
5. 미디어 산업과 경영 전략
1) 미디어 기업의 전략
2) 미디어 기업 경영 전략에 관한 이론적 관점
3) 전략적 네트워크
6. 미디어 산업의 변화와 미래
1) 미디어 산업의 변화
2) 미디어 산업의 미래
12 매스미디어와 정치
1. 정치 커뮤니케이션
2. 매스미디어의 정치적 효과
1) 의제 설정과 프라이밍 효과
2) 프레이밍 효과
3) 여론의 인지와 형성 효과
4) 정치 참여 효과
3. 언론의 선거 보도
1) 바람직한 선거 보도
2) 바람직하지 않은 선거 보도
4. 정치 홍보
5. 정치 광고
1) 정치 광고의 기능
2) 정치 광고의 분류
6. 후보자 TV 토론회
1) 후보자 TV 토론회의 기능
2) 우리나라와 미국의 후보자 토론회
3) 후보자 TV 토론회의 형식
7. 뉴미디어와 정치
1) 뉴미디어의 정의와 특징
2)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정치 캠페인 사례
13 문화연구와 젠더
1. 문화연구란 무엇인가?
1)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대중문화 비판
2) 문화와 이데올로기
3) 남과 다른 나, 구별 짓기의 수단으로서 문화 자본
2. 페미니즘에 대한 몇 가지 질문들
1) 페미니즘과 여성혐오
2) 여성문제는 왜 복잡한가?
3) 문화연구와 페미니즘의 만남
3. 문화연구와 페미니즘의 만남
1) 미디어가 재현하는 여성의 모습에 대한 연구
2) 여성의 문화적 경험에 대한 관심
3) 여성적 시각으로 낯설게, 혹은 다르게 보기
14 언론 자유와 법
1. 언론의 자유
1) 언론 자유의 중요성
2) 헌법적 보장과 제한
3) 언론 자유의 내용
4) 표현의 자유의 확대
2. 명예훼손
1) 형법과 명예훼손
2) 민법과 명예훼손
3) 정보통신망법에 의한 명예훼손
3. 프라이버시 침해
1) 법규와 보호 법익
2) 프라이버시권의 내용
3) 프라이버시침해에 대한 구제
4. 초상권 · 퍼블리시티권
1) 초상권
2) 퍼블리시티권
5. 음란표현과 언론자유
1) 음란의 의미
2) 음란표현물의 평가방법
3) 음란표현의 헌법적 보장
4) 법률
5) 음란물유포죄
6)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업자의 책임
책속으로
주지하다시피 디지털 기술의 등장은 미디어 환경을 급격히 변화시켰다. 흔히 미디어 빅뱅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미디어 플랫폼과 채널은 가히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더욱이 인공지능(AI)과 가상현실(VR)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아 미디어 지형은 앞으로 양적, 질적으로 계속 진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커뮤니케이션 관련 테크놀로지가 빠른 속도로 진화하면서 사회 또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이 점에서 이전과 질적으로 전혀 다르게 변모할 사회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융합적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역할과 기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라 하겠다. 물론 앞으로 어떠한 방향과 규모로 사회변혁이 일어날지 아무도 정확히 모른다. 다만,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오늘날 각종 디지털 플랫폼과 채널을 스마트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분야에서 벌어지고 있는 다양하고 복잡한 현상에 대한 개념적 이해가 매우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는 이전까지 우리가 전혀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사회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인터넷이나 SNS의 개인정보 유출은 물론 신상 털기, 막말이나 욕설의 난무뿐 아니라 게임 중독과 주의력 분산, 사이버테러, 페이크 뉴스 등이다.
_ “개정판 서문” 중에서
애플과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세계 IT 시장의 강자들은 거의 모두 앱스토어 시장에 뛰어들어 경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를 이용한 콘텐츠 및 서비스 이용이 대부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2016년 한해 애플의 앱스토어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수가 280억 회에 달했으며, 앱스토어가 보유한 iPad 애플리케이션도 약 200만 개로 추정되는 반면, 애플과 경쟁구도를 이루고 있는 구글의 앱스토어는 안드로이드 OS를 기반으로 한 애플리케이션 장터인 구글 플레이로 2017년 1월 기준으로 약 300만 개가 넘는 애플리케이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6년 한해 누적 다운로드 수가 600억 회를 넘어 앱스토어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Business of Apps, 2018.1.8).
이처럼 애플과 구글의 앱스토어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2016년 1조3000억 달러 규모였던 시장이 2021년까지 6조3000억 달러로 네 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TechCrunch, 2017.6.27).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그 자체가 하나의 훌륭한 콘텐츠가 되기도 하고 이용자와 콘텐츠를 연결해 주는 플랫폼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날씨나 지도, 내비게이션 서비스처럼 애플리케이션이 하나의 콘텐츠처럼 쓰이는 예도 있으나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SNS나 카카오톡, 네이버 라인과 같은 모바일 메신저와 같은 특정 서비스를 연결해 주는 ‘통로’의 측면이 강한 애플리케이션도 있다. 그 어떤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이든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모바일 앱스토어에서 검색해 다운로드할 수 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이용자들의 수요가 몰리는 시장이 생기고, 그 수요에 따라 공급이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익이 발생하는 시장이 형성되었다.
_ “08 모바일 미디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