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트인 데로 가는 길≫(1908)은 아르투어 슈니츨러의 첫 장편소설이다. 베를린의 월간지 ≪노이에 룬트샤우≫의 사전 연재를 거쳐 피셔 출판사에서 출간되었고, 놀라운 판매량을 기록하며 빠르게 각국의 언어로 소개되었다. 이웃 나라 일본에서도 1920년대에 이미 번역되었을 정도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소설 속 배경은 19세기의 저물녘, 합스부르크 제국의 황혼 무렵 빈. 오스트리아ᐨ헝가리 이중왕국의 수도이던 당시 이곳은 프로이트, 말러, 클림트, (오토) 바그너 등 학문과 예술 여러 분야의 우뚝한 이름이 빛나던 곳, 유럽의 지적 문화적 사랑방과도 같던 곳이었다. 등장인물들은 빈의 황궁, 성당, 커피하우스, 링슈트라세, 빈 시민의 휴양지라 할 프라터, 교외의 전원적 공간, 아름다운 소풍 명소 등을 부지런히 오간다. 세기말 빈의 풍경화가 초기 영화를 보는 듯 펼쳐진다.
세기말 빈에서는 여러 종족들에서 높아 가는 민족주의적 자의식과 맞물려 독일계의 민족주의 움직임 또한 뚜렷해져 범게르만주의가 세를 넓힌다. 위기감을 느끼는 유대인들은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에 표를 던지고 시오니즘도 등장한다. 세기 전환기 빈의 정치 지형에서는 이 모든 정치적 움직임이 서로 엇비슷한 화력으로 타오르고 있었다. 대부분이 유대인인 등장인물들은 무엇보다도 이 안에서 정체성 문제와 씨름해야 한다. 소설은 각각의 목소리가 대등하게 등장하고 복수의 목소리가 토론하고 논쟁할 수 있는 모두의 포럼을 제공한다. 수많은 입장들이 명쾌하게 구분되지 않음을, 동시에 어설픈 공통분모로 묶일 수는 없음을 보여 주며 일상적으로 풍부한 계조를 그려 낸다.
제목의 ‘트인 데’는 2천 년 디아스포라의 지난한 문제가 종국적으로 해결된 장, 지극히 유토피아적인 공간의 비유다. 또 유대인이 아닌 주인공 게오르크에게 어디로나 갈 수 있고 어디에도 갇히지 않은 ‘트인 데’는 성찰과 책임에서 자유로운 상태다.
애초 이 작품은 슈니츨러 자신과 한때의 연인 마리의 사랑 이야기를 담은 노벨레로 계획되었다. 결혼을 자유의 제약으로 받아들이던 젊은 슈니츨러는 마리가 임신하자 이 사실을 빈에 숨기고 아이는 후에 어딘가에 양육을 맡기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 그는 마리가 사람들의 눈을 피해 시간을 보내고 출산할 집을 찾아낸다. 마리는 사산한다. 그리고 2년 뒤 패혈증으로 사망한다. 이런 일들을 겪은 슈니츨러는 자책감을 안고 있었으면서 이 경험을 문학으로 형상화하고픈 욕구가 있었다. 불혹에 들어선 슈니츨러의 첫 장편소설 집필은 이렇게 개인적인 체험과 동기에서 시작되었다.
200자평
프로이트가 경탄했을 정도로 인간 심리 묘사에 탁월했던 아르투어 슈니츨러가 남긴 단 두 편의 장편소설 중 첫 작품. 합스부르크 제국의 황혼 무렵의 풍경화가 초기 영화 장면처럼 펼쳐진다. 하루가 다르게 날카로워져 가던 세기 전환기 반유대주의의 분위기에서 정체성 문제와 씨름하는 유대인들 이야기 그리고 귀족 가문의 딜레탕트인 게오르크의 연애를 두 축으로 해 당대 사회 전반에 퍼져 있던 위선과 가식, 나른한 관성 등 정신적으로 위태한 분위기를 문학적으로 생생하고도 밀도 있게 그린다.
지은이
아르투어 슈니츨러(1862∼1931)는 1885년에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빈 시립병원에서 일한다. 1886년부터 문학 잡지에 꾸준히 글을 발표한다. 1893년 아버지 요한 슈니츨러가 세상을 떠나 슈니츨러는 빈 종합병원을 떠나 개업한다. 아버지의 부재는 문학 창작에 마음 편히 집중할 수 있게 되는 전환점이 된다. 같은 해 단막극 연작 ≪아나톨(Anatol)≫이 출간된다. 1895년 베를린의 피셔 출판사에서 노벨레 ≪죽음(Sterben)≫이 출간된다. 같은 해 희곡 <사랑의 유희(Liebelei)>가 부르크 극장에서 초연되며 일약 극작가로서 이름을 알린다. 1900년 크리스마스 때 ≪신자유신문≫에 독백 노벨레인 <구스틀 소위(Leutnant Gustl)>를 발표한다. 1902년 배우 올가 구스만과의 사이에 아들 하인리히가 태어나며, 1903년 올가 구스만과 결혼한다. 1908년에는 첫 장편소설 ≪트인 데로 가는 길≫을 출간하며, 같은 해 그릴파르처상을 수상한다. 1909년에 딸 릴리가 태어난다. 1911년에는 희곡 <광활한 대지(Das weite Land)>가 독일어권 내 아홉 개의 큰 무대에서 동시 상연된다. 1912년, 유대인 병원장을 축출하려는 반유대주의적 모략을 내용으로 하는 희곡 ≪의학교수 베른하르디(Professor Bernhardi)≫를 출간한다. 작품은 오스트리아에서 상연 금지된다. 1914년에는 라이문트상을 수상한다. 1차 대전 중에 자서전 ≪빈의 유년시절(Jugend in Wien)≫을 집필한다. 1920년에 <윤무(Reigen)>가 베를린에서 공연된다. 1921년에는 올가 구스만과 이혼한다. 1924년에는 독백 노벨레 ≪엘제 아씨(Fräulein Else)≫, 1926년에는 ≪꿈의 노벨레(Traumnovelle)≫가 출간된다. 1928년 두 번째 장편소설 ≪테리제(Therese)≫가 출간된다. 1931년 뇌출혈로 사망한다.
옮긴이
김윤미는 서울대학교 독어교육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마르부르크대학교에서 독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로베르트 발저의 촌극 <재투성이 하녀>−또 다른 “동그란 0”>, <음악 이해의 어려움에 관한 이야기로 본 에테아 호프만의 <돈 후안>(1813)>, <토마스 베른하르트의 <무지한 자와 미치광이>에서 변주되는 모차르트의 <마술피리>>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 영남대학교 학술연구교수로 있다. 옮긴 책으로 ≪마법 분필≫(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4), ≪타너가의 남매들≫(지식을만드는지식, 2017)이 있다.
차례
1장
2장
3장
4장
5장
6장
7장
8장
9장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사랑한다는 건요, 사랑하는 이에게서 우리가 발견한 결점들이 남들 눈에도 드러날까 저어하는 겁니다. 사랑한다는 건요, 미래를 들여다볼 수 있는 것 그리고 이런 축복을 저주하는 것입니다…. 사랑한다는 건요, 누군가를 아는 것입니다. 그러느라 파멸할 지경으로요.
−122~123쪽
제가 정말로 증오하는, 유대인으로서 증오하는 유대인들은 분명 있어요. 다른 사람들 앞에서 그리고 때에 따라서는 자기 자신 앞에서조차 마치 자기가 유대인이 아닌 척하는 사람들이죠. 자신의 적들과 자신을 백안시하는 자들한테 닳아빠지고 비굴한 방식으로 자신을 갖다 바치려 하며, 이런 식으로 비용을 치러서 자기들을 짓누르는 영원한 저주로부터 혹은 자기들이 저주라 느끼는 것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요. 말이 났으니 부연하자면 그런 사람들은 거의 늘 어떤 유대인이냐면요, 자기 자신이 볼품없다는 극히 사적인 감정을 갖고 배회하면서 그걸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자기 종족의 책임으로 돌리고 싶어 하는 유대인들입니다.
−256쪽
“늘 옛날부터 하던 서글픈 일 하지요. 무가치한 것의 무가치함을 증명하느라 바빠요.”
“한 번쯤 변화를 주면 어떻겠나, 랍.” 하인리히가 말했다. “한번 운을 시도해 보는 셈 치고 장려한 것의 장려함을 칭송해 봐.”
“뭐 하러?” 랍이 말하고 코안경을 얹었다. “그건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입증이 돼. 그러나 날림작은 대개 행운과 명성만 얻는다고, 그리고 세상이 드디어 그것의 진상을 알아볼 때엔 그건 일찌감치 무덤 속으로 혹은… 이른바 불멸성 속으로 피신하고 없어.”
−270쪽
게오르크는 미동 없이 서 있었고, 계속하여 그 작은 존재를 응시했다. 그리고 그 존재는 그에게 예기치 못한 아름다움의 형상처럼 보였다. 그는 뺨, 어깨, 팔, 손, 손가락을 만져 보았다. 이 모든 것이 얼마나 수수께끼스러우리만치 완성되어 있었던지. 그런데 그 존재는 저기 이제, 살아 본 적 없이 죽어 누워 있었다. 하나의 어둠으로부터 허무맹랑한 무를 통과해 또 다른 어둠 속으로 들어가도록 운명 지워져. 저기 이 귀엽고 작은 몸뚱이가 누워 있었다. 그 몸뚱이는 삶을 위한 채비를 마쳤으되 움직일 수 없었다. 저기 커다란 푸른 눈이 빛나고 있었다. 그 눈은 동경하듯 하늘의 빛을 들이마셨으되 한줄기 광선을 보기도 전 죽음으로 멀어 버렸다. 저기 목마르기라도 한 듯 작고 둥근 입이 벌어져 있었다. 그 입은 하지만 어머니의 젖 한 번 먹어 봐선 안 되었다. 저기 이 창백한 아이 얼굴이 완성된 사람 윤곽을 하고 무념히 쳐다보고 있었다. 그 얼굴은 어머니의 키스, 아버지의 키스 한 번을 받거나 느끼지 못하게 되어 있었다. 얼마나 그는 이 아이를 사랑했던가! 얼마나 그는 이 아이를 지금, 너무 늦어 버린 지금 사랑했던가. 조여 오는 절망이 그의 목구멍에 솟구쳤다.
−49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