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만화웹툰총서를 소개합니다.
인기 작가와 작품을 분석하고 학문적 체계를 구축해 나갑니다.
<만화·웹툰이론총서>, <만화·웹툰작가평론선>
만화·웹툰 이론화를 시도한 국내 최초의 기획
만화와 웹툰, 애니메이션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독자에게 드리는 기초 이론서입니다. 장르론, 장르사, 기술론, 산업론, 작가론 등 만화·웹툰 전 분야에 걸쳐 주제를 선정하고 학계와 현장의 권위 있는 전문가들이 기초 개념을 중심으로 엮어 만화·웹툰의 학문적 기초를 제공합니다. 커뮤니케이션북스와 한국애니메이션학회(ASKO)가 함께하는 <만화·웹툰이론총서>와 <만화·웹툰작가평론선>은 각각 2017년 20종을 시작으로 2019년 말까지 각각 50종이 발간됩니다.
만화·웹툰학의 기본 개념을 키워드 열 개로 정리
대학 교수와 연구소 연구자들이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기초 이론과 유명 작가들에 대한 작가론을 100여 쪽으로 정리했습니다. 각 이론과 작가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 열 개를 선정해 해설했습니다. 주제와 필요에 따라 시리즈 전체를 아이템 유닛 기준으로 분해하고 재조합할 수 있습니다. 만화·웹툰에 학문적으로 접근하려는 독자들에게 좋은 교재가 됩니다.
200자평
리얼리즘 만화의 대표 작가다. 1983년 초반 만화 잡지 ≪보물섬≫에 연재한 <악동이>로 사랑을 받았다. 1986년 만화 잡지 ≪만화광장≫ 창간과 함께 연재한 단편 <간판스타>, <성질수난>, <운수좋은날>, <승부>, <왕과 졸개>, <새벽길> 등은 대한민국 만화의 역사에 리얼리즘 만화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만화도 예술로서 삶의 질에 기여하는 사회적 형식이어야 한다’는 작가정신이 50년 만화 인생에 어떻게 녹아 있는지, 한국 리얼리즘 만화가로서 이희재 작가의 행보가 한국 만화사에 어떤 족적을 남겼는지를 살펴본다.
이희재
1952년 전라남도 완도 인근 작은 섬 신지도에서 태어났다. 역사만화의 대가 김종래 작가 문하생으로 만화 인생을 시작했고, 삶의 울림을 주는 만화를 창작하기 위해 노력했다. ‘실재’하는 이야기에 힘이 있고, 만화는 우리가 발 디디고 사는 현실을 담는 그릇이라고 생각한 현실참여 작가다. 1981년 단행본 출판만화 『명인』과 『억새』로 데뷔했고, 만화잡지 ≪보물섬≫에 <악동이>(1983)를 연재하며 큰 사랑을 받았다. 이후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1987), 『저 하늘에도 슬픔이』(1992), 『아홉 살 인생』(1992), 『무기 팔지 마세요』(2002) 등의 작품으로 어린이 만화를 새롭게 조망하는 작가로 주목받았다. 특히 대표작 <간판스타>(1986), <민들레>(1987), <새벽길>(1988)과 같은 사회성 짙은 작품들을 발표하며 리얼리즘 만화의 대표 작가로 한국 만화사에 커다란 족적을 남겼다.
지은이
김종옥
한림대학교 융합문화콘텐츠연구소 수석연구원이다. “전환기 한국애니메이션 창작 소재 연구”(2017)로 중앙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한국근대만화 특징에 관한 연구”(2006)로 상명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SICAF 사무국장으로 페스티벌을 기획·총괄했으며, 다수의 만화 전시 및 만화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현재 상명대학교, 남서울대학교에서 만화·애니메이션 이론을 강의하고 있으며, 한국 만화애니메이션학회 학술위원장, 우리만화연대이사, 한국 만화영상진흥원 만화포럼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 만화사구술채록연구⑰ 박부성』(2018), 『만화창작』(2013), 『만화전시와 카투노믹스』(2009), 『세계만화 그 정체성과 다양성을 뒤집어보다』(2007), 『한국 만화사구술채록연구③ 박기정』(2007) 등이 있고 “다양성만화 창작지원사업의 현황과 제언”(2018), “1980년대 리얼리즘 만화 특징연구”(2018), “산업화시대 한국 하청애니메이션에 대한 연구”(2016), “1960년대 한국단편애니메이션 연구”(2015) 등 다수의 연구논문이 있다.
차례
01 리얼리즘 만화로 상처받은 삶을 위무하다
02 ≪만화광장≫과 이희재의 단편만화
03 산업화 시대의 비애, <간판스타>
04 허세에 담긴 냉소, <성질수난>·<승부>
05 절망 속에 꾸는 꿈, <민들레>·<새벽길>
06 어린이 만화의 다른 시선, 『골목대장 악동이』
07 원작의 재해석, 『아홉살 인생』
08 삶의 지혜를 담은 교육만화, 『아이코 악동이』
09 사실적인 그림체에 공감을 담은 연출
10 ‘바른 만화’를 위한 삶
목록
<만화·웹툰이론총서>
가상콘텐츠와 에듀테인먼트_유해영
공공 캐릭터_류유희
그래픽 노블_백란이
넥스트 콘텐츠, VR 웹툰의 프레즌스_정성식
도시와 캐릭터_류유희(근간)
마법소녀_세종대학교 융합콘텐츠산업연구소(근간)
만화 팬덤 문화_이선영(근간)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의 OSMU 전략_김용관·이광현
만화비평 _강신규(근간)
문화 원형으로 본 애니메이션_임용섭
브랜드 웹툰_류유희(근간)
비디오 게임의 역사_김용관
성인만화 계보학_조익상(근간)
슈퍼 빌런_이선영
스핀오프_강은원
애니메이션 기술론_김효용
애니메이션 미학과 연출론_이상원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영웅 메커니즘_이혜원
애니메이션 영상 미학_류재형
에세이만화_조윤숙
예술로서의 만화_이화자(근간)
웹툰 열 가지로 보기_이승진
웹툰 콘텐츠 플랫폼_박석환
웹툰 퍼포먼스와 독자의 즐거움_홍난지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가능성_박기수
웹툰의 매체 전환_채희상
웹툰의 서사 공간_양혜림(근간)
웹툰의 여성 캐릭터_박성희(근간)
웹툰의 영화화_이상원(근간)
웹툰 큐레이션_강태진(근간)
의인화 캐릭터_신홍주
이모티콘 커뮤니케이션_이선영(근간)
인 게임 애니메이션의 기능과 콘텐츠의 확장_이선영
중국 만화의 역사_석향란
지능형 웹툰_한창완(근간)
캐릭터 라이선싱_김영재·김종세
콘텐츠 카니발_이선영(근간)
크라우드소싱 웹툰 스토리텔링_황선태
키덜트 캐릭터_백란이
판타지 복합장르 애니메이션의 구조_이혜원
한국 TV 애니메이션의 역사_황선길
한국 근대 만화사_윤기헌(근간)
한국 웹툰 공간 스토리텔링_장은진(근간)
한국 일상툰에 나타난 풍자_김유나(근간)
한국만화 영화사_박석환(근간)
할리우드 장편 애니메이션의 내러티브 구조_박재우
4.0시대 애니메이션 브랜드 전략_박란
4차 산업혁명 시대 만화와 기술의 융합_양지훈(근간)
BL과 GL_류유희(근간)
VR 영상 콘텐츠_김상일·유미·김광집
<만화·웹툰작가평론선>
강경옥_김소원
강도하_박기수
강철수-김성훈(근간)
강풀_이승진
고우영_김봉석
고행석_김성훈
곽백수_채희상
길창덕_박인하
김동화_김성훈
김성환_방희경
김수정_장은진(근간)
김진_김소원
김진태_서찬휘
김칸비_구자준
김혜린_한상정
네온비_김은정
무적핑크_김소원
문정후-한창완(근간)
박기정_서은영
박봉성_정재현
박수동_박기수(근간)
박흥용_박기수(근간)
박희정_이주라(근간)
방학기_박기수(근간)
백성민_박석환(근간)
스노우캣_오영진(근간)
신문수_장은진
신일숙_김은혜
양영순_이기진
원수연_장민지
윤승운_서찬휘
윤태호_박기수
이빈_김소원
이두호_박인하
이말년_홍난지
이상무_박석환·김성훈
이원복_박세현
이은혜_허윤
이정문_서은영
이충호_송경원(근간)
이현세_박인하
이희재_김종옥
조석_김성훈
주호민_서은영
천계영_하효숙
하일권_한상정
한승원_류수연
한혜연_서찬휘
허영만_박석환
황미나_이기진
책속으로
이희재의 작품은 현실의 모순을 담고 있지만 선언적이거나 교훈을 강제하지는 않는다. 작가는 『만화와 시대』(1987)에 카툰 연작을 실었다. 독재 권력의 ‘고문’을 풍자한 <자백하라>는 그 내용의 ‘잔혹함’에도 불구하고 위트 가득한 상징과 은유로 본질을 투영하고 오래도록 기억에 남게 한다. 총 열 개의 연작인 시리즈는 포장마차 참새구이 앞에 새장에 갇힌 참새를 두고 자백을 강요하거나, 호랑이 가죽이 장식된 고문실에서 호랑이를, 온통 맞아서 상처투성이인 돼지에게 전기 코드를 들어 위협한다. 초점 없이 텅 비어 있는 카툰 속 동물들의 눈은 현장의 가혹함을 드러내는 작가의 예민한 감성이다.
-‘리얼리즘 만화로 상처받은 삶을 위무하다 ’ 중에서
이희재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내는 작가다.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화려한 도심의 그늘에서 소외되고 억압받는 약자들이다. 한국 사회가 ‘아시아의 네 마리 용’으로 압축적인 고도성장의 화려한 성공담을 이야기할 때, 성장의 밑거름이 되었지만 소외받고 부조리한 현실에 내던져진 인물들이다. <간판스타>(1986)의 주인공 ‘경숙’이도 그런 인물이다. 고향 마을의 ‘미스코리아이며, 동촌리의 꽃’이자 ‘아버지를 위해 어린 나이에 객지 생활을 감당하는 효녀’로서 동촌리의 ‘간판스타’지만, 서울에서의 경숙이는 술집 동백섬의 노래 잘 부르는 ‘간판스타’다.
-‘산업화 시대의 비애, <간판스타>’ 중에서
이희재의 만화는 당시 성인 만화에서 보여 주는 역동적 앵글이나 칸 연출을 보여 주지는 않는다. 그러나 클로즈업된 인물들이 전달하는 감정선과 칸과 칸에서 보이는 명암 연출 등으로 말보다 깊은 이야기를 담았다. 행복하고 환한 표정도, 암울하고 슬픔 가득한 일상도 사실적으로 그려 낸 것이다. 이희재의 작품 속 풍부한 표정과 사실적인 묘사는 대사가 필요 없이 모든 것을 보여 준다. 이런 표현력은 카메라를 들고 발로 뛰며 세밀한 관찰을 담아 작품을 그리는 작가의 창작 정신이 고스란히 담긴 결과다.
-‘사실적인 그림체에 공감을 담은 연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