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여론은 “편협한 해석의 집합”
민주주의 근간 뒤흔든 정치사상가 월터 리프먼의 전언
가짜뉴스로 덮인 탈진실 시대, ‘진정한 의미의 여론’ 고찰 필요
20세기 최고의 정치사상가 월터 리프먼이 1922년에 펴낸 Public Opinion은 여론의 현대적 개념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여론의 본질과 여론 형성의 메커니즘을 면밀하게 밝히고 여론 형성 과정에 미치는 언론의 역할을 날카롭게 논의한다. 리프먼은 이 책으로 1962년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탈진실(post-truth) 시대다. 탈진실이란 ‘여론을 형성할 때 객관적인 사실보다 개인적인 신념과 감정에 호소하는 것이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현상’을 뜻한다. 접두사 ‘post’는 ‘이후’가 아니라 진실이 무의미할 정도로 퇴색됐다는 의미다. 이런 경향은 나날이 짙어졌다. 우리는 오늘도 언론이 사실을 왜곡하고, 여론이 비합리적인 의견을 전파하는 것을 마주한다. 가짜뉴스가 난무하고 거짓 정보가 홍수처럼 범람한다. 악성 루머나 왜곡된 정보가 전염병처럼 퍼지는 현상을 의미하는 인포데믹스(infodemics)는 그 어떤 전염병보다도 빠른 속도로 일상에 틈입한다. 우리는 무엇을 믿어야 하는가?
한 세기 전, 월터 리프먼은 같은 물음을 던졌다. 우리는 언론을 신뢰할 수 있는가? 여론은 과연 합리적인가? 리프먼에 따르면 언론은 실제 세상의 모습을 그대로 드러내지 않는다. 여론은 합리적인 의견의 합이 아니라 편협한 해석의 집합일 뿐이다. 그는 언론을 신뢰하지 않았다. 여론이 보통 사람들의 지혜라고 불리는 것에도 의문을 가졌다. 오히려 민주주의가 보통 사람들의 의견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치명적인 실수라고 지적했다. 당시 민주주의자들이 가진 믿음에 커다란 균열을 남긴 것이다. 물론 지난 한 세기 동안 언론을 비롯한 사회 제도, 민주주의와 시민의식은 크게 변화했다. 누구나 양질의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시대가 됐다. 그러나 여전히 언론은 왜곡된 상을 제공하고 여론은 불확실한 정보에 휩쓸린다. 리프먼의 사상은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단단한 용골(龍骨)이다. 이제 리프먼을 넘어 ‘진정한 의미의 여론’이 무엇인지 새롭게 고찰해야 한다.
이 책은 리프먼의 사상에 옮긴이(이동근 조선대 신방과 교수)가 풍부한 해제를 더해 자신이 번역한 기존 번역서와 완전히 다르게 구성했다. 이동근 교수는 해제에서 리프먼의 메시지를 재해석하고 디지털미디어 시대에 맞는 올바른 여론이 무엇인지 묻는다. 리프먼의 전언은 21세기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검증되지 않은 정보의 홍수에 휩쓸리지 않으려면 리프먼이 남긴 메시지에 귀 기울여야 한다.
200자평
20세기 최고의 정치사상가라 불리는 월터 리프먼이 1922년 펴낸 고전이다. 리프먼은 여론에 기대는 민주주의에 의문을 갖고 여론의 비합리성을 파헤쳤다. 리프먼은 이 책으로 1962년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여론은 과연 합리적인가? 언론은 실제 세상의 모습을 여실히 드러내지 않으며, 여론은 사실 그 자체가 아니라 해석의 집합일 뿐이다. 민주주의의 근간을 뒤흔든 리프먼의 사상은 21세기에도 유령처럼 우리 곁을 배회한다. 이 책은 여론의 본질과 여론 형성의 메커니즘, 그리고 여론 형성 과정에 미치는 언론의 역할을 날카롭게 논의한다. 탈진실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올바른 여론이 무엇인지 묻는다.
지은이
월터 리프먼 Walter Lippmann
미국 뉴욕 출신의 저널리스트이자 사상가다. 만 17세에 하버드대학교에 입학해 3년만에 졸업했다. 1913년과 1914년에 각각 『정치학 서문(Preface to Politics)』과 『표류와 지배(Drift and Mastery)』를 펴내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으로부터 ‘미국에서 가장 유망한 청년’이란 찬사를 들었다. 1914년 잡지 ≪뉴 리퍼블릭(The New Republic)≫의 창간 멤버로 사설과 칼럼을 쓰면서 언론계에 입문했다. 1917년 ≪뉴욕 월드(The New York World)≫에 입사해 10여 년간 논설기자로 이름을 떨쳤고, ≪뉴욕 헤럴드 트리뷴(The New York Herald Tribune)≫으로 자리를 옮겨 40년 가까이 신디케이트 칼럼 <오늘과 내일(Today and Tomorrow)>을 통해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평론을 발표했다. 1958년 칼럼 <오늘과 내일>로 퓰리처상을 수상했고, 1962년 『여론(Public Opinion)』으로 또 한차례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1947년 출간한 『냉전(Cold War)』으로 ‘냉전’이라는 용어를 세계에 퍼뜨렸으며, ‘고정관념(stereotype)’이라는 용어를 유행시킨 것으로도 유명하다.
옮긴이
이동근
조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서강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대학교(블루밍턴) 저널리즘스쿨에서 석사학위, 미국 텍사스대학교(오스틴) 저널리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싱가포르 국립 난양공과대학교 커뮤니케이션스쿨 조교수, 아일랜드 국립 더블린대학교 트리니티컬리지 한국학 강의교수, 미국 머레이주립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위원,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보도교양방송특별위원회 위원,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 및 ‘한국 기자상’ 심사위원, ≪한국언론학보≫ 편집위원을 역임했다. 월터 리프먼의 『Public Opinion』을 번역해 한국언론학회 학술상 ‘희관언론상’을 수상했다. 주요 저·역서로 『여론』(저서, 2015), 『여론』(역서, 2013), 『통신위성시대의 국제커뮤니케이션』 (2010), 『Communication and Culture』(공저, 1996), 『Digital Media, Online Activism, Social Movements in Korea』(공저, 2021)가 있다.
차례
해제
페이 리프먼(Faye Lippmann)에게
1장 서론
2장 외부 세계에 접근하는 방식
3장 고정관념
4장 이해관계
5장 공통의지의 형성
6장 민주주의의 이미지
7장 신문
8장 조직화된 정보
책속으로
만약 리프먼이 극한 대립 양상으로 치닫고 있는 우리 사회의 이념적 양극화 현상을 본다면, 보수주의자나 진보주의자 가릴 것 없이 모든 국민들의 정치적 신념이 과연 정치 현실, 즉 세상에 대한 정확한 인식에 근거한 것인지, 아니면 자신들이 선별적으로 접하는 기성 언론 및 각종 디지털미디어를 통해 인식한 머릿속 상에 근거한 것인지에 대한 진지한 자아성찰을 요구할 것이고, 이러한 이성적 자아성찰을 바탕으로 감정에 휩싸인 이념적 양극화를 극복할 것을 제안할 것이다.
_ “해제” 중에서
나는 중요한 생물학적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심하지 않는다. 인간도 동물이므로 그렇지 않다면 이상한 일이다. 그러나 이성적 존재로서 행위를 유발한 두 개 환경 간에 측정 가능한 유사성이 발견될 때까지, 비교되는 행위를 일반화하려는 것은 매우 얄팍한 생각이다.
_ “1장 서론” 중에서
위대한 사회의 규모에서 일어나는 정치적 견해는 어느 누구도 거의 가질 수 없는, 사심 없는 마음의 평정을 요구한다. 우리는 공적인 일에 관여하지만 사적인 일에도 빠져 있다. 의견을 당연하게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노력에 들이는 시간과 집중력에는 한계가 있으며 끊임없이 방해를 받기도 한다.
_ “2장 외부 세계에 접근하는 방식” 중에서
우리는 신문이 거짓말을 했다고 증명할 것이다. 그리고 싱클레어의 설명도 거짓이라고 입증할 것이다. 결국 싱클레어가 누군가가 거짓말을 했다고 말했을 때 싱클레어의 말 자체가 거짓말이었고, 또 누군가가 싱클레어가 거짓말을 했다고 말했을 때 그 사람의 말도 거짓이라는 사실을 보여 줄 것이다. 우리도 감정을 터뜨릴 것이지만, 우리는 감정을 대기(大氣)에 발산한다.
_ “7장 신문” 중에서
우리는 모든 경우에 선의가 작동한다고 입증할 수 없으며, 미움, 참을성 없음, 의심, 고집, 비밀유지, 공포, 그리고 거짓말이 여론에 대한 7가지 가공할 죄목이라는 사실도 입증할 수 없다. 우리는 그런 것들은 이성에 호소할 여지가 없으며, 기간이 길어지면 결국 독약이 된다고 주장할 수 있을 뿐이다. 그리고 우리의 상태나 생명보다 더 오래가는 세계관의 입장을 취할 때, 우리는 마음으로부터 그것들에 편견을 품게 된다.
_ “8장 조작화된 정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