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국내 최초로 일본 명작 단편을 인생, 재난, 근대, 동물, 광기, 남녀, 계절, 일상, 허무, 구원 등 10개의 주제로 출판했다. 이처럼 일본 문학을 주제별로 10권 발행한 것은 국내 출판에 전례가 없는 일이다. 작품 127편, 작가 42명, 역자 63명이 참여했다. 대표 기획위원은 최재철 한일비교문화연구소 소장(한국외대 전 일본어대학 학장)이다.
≪일본 명단편선≫을 기획한 의도는 무엇보다도 국내의 일본 문학 소개가 몇몇 현대 인기 작가의 대중적 작품이나 추리 소설류에 편중되어 있다는 사실에 안타까움을 느꼈기 때문이다. 우수한 일본 근현대 단편 명작들을 찾아, 전문가에 의한 질 높은 번역과 적절한 작품 해설 및 작가 소개, 풍부한 주석 등을 독자에게 제공해 가벼운 일본 문학을 소비하는 독서 풍조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번 기획의 목표는 이처럼 국내 독자들의 일본 문학에 대한 편식을 일깨우고자 함이 그 첫 번째다. 그리고 19세기 말 메이지 시대의 작품부터 전후(戰後)의 작품까지를 망라함으로써 일본 근현대 문학의 기본 흐름과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체계적 읽기를 지향하는 것이 두 번째다.전 10권에는 근현대 일본의 주요 작가들이 다 포함되어 있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다자이 오사무, 나쓰메 소세키, 사카구치 안고, 다니자키 준이치로, 시마자키 도손 등 한국에 널리 알려진 작가들의 작품 외에 가지이 모토지로, 니이미 난키치, 도쿠다 슈세이, 우메자키 하루오, 하야마 요시키, 히사오 주란 등 다소 생소한 작가들의 명작들도 포함되었다. 재일 한국인 작가 김사량의 작품도 들어 있다.
특히 일본 근현대 문학사에서 위상에 비해 이제까지 국내에서는 접하기 어려웠던 초역 작품들이 여러 편 포함되었다는 것도 커다란 의미를 지닌다. 초역 작품들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한 줌의 흙> · <의혹>, 사카구치 안고의 <죽음과 콧노래> · <진주> · <전쟁과 한 명의 여인>,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증념> 등을 비롯해 이즈미 교카의 <그림책의 봄>, 이시카와 다쿠보쿠의 <두 줄기의 피> 등 20여 편이다.
‘완성도 높은 명단편선’이 되도록 번역은 원문에 충실하되 한국어로 읽히는 가독성을 고려하고, 각주는 직간접 일본 체험을 반영한다는 ‘문화 번역’을 따랐다. 요즘 일본 문학 작품 번역에 오류가 많고, 쉽게 생략하거나 원문에 없는 어휘를 집어넣어 가독성만을 노리는 세태와는 선을 긋고자 한 것이다.
역자들은 일본 문학을 전공한 전문가들로서,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 등 해외 대학에 재직하고 있는 전공자들도 참여했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
200자평
메이지 시대부터 전후(戰後)의 작품까지, 일본 근현대를 대표하는 작가들의 명단편을 모았다. 주제별 단편집 10권 출간은 그동안 한국 출판계에 전례가 없는 일이다. 그동안 단편적으로 일본 근대 작품들을 읽은 독자라면 이 시리즈를 통해 일본 근현대 문학의 기본 흐름과 전체를 체계적으로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 근현대 문학 전문가의 정확한 번역과 전문적인 해설, 풍부한 주석은 독자를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까지 격동하는 일본 개화기와 근대화, 전후 부흥의 현장으로 안내할 것이다. 8권에서는 도쿠다 슈세이의 <욕조>를 비롯해 12편의 작품을 소개한다.
지은이
도쿠다 슈세이(徳田秋聲, 1872∼1943)
23세에 하쿠분칸(博文舘) 편집부에 취직 후, 이즈미 교카의 소개로 오자키 고요의 문하생이 되어 1896년 처녀작을 발표했다. 1900년 <구름의 행방(雲のゆくへ)>(≪요미우리 신문≫ 연재)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후, 서민의 생활과 여성 묘사에 능했다. 대표 작품은 ≪신세대(新世代)≫, ≪곰팡이(黴)≫, ≪짓무름(爛)≫, ≪거친 사람(あらくれ)≫, ≪가장 인물(仮装人物)≫ 등이 있다. 단편 소설에서도 재능을 인정받아 몇 권의 단편집이 출판되었다.
히구치 이치요(樋口一葉, 1972∼1896)
전통적인 교육 방식으로 문학을 가르치는 ‘하기노야(萩の舎)’에서 고전문학을 배웠다. 어머니와 여동생 등 세 사람의 생활을 책임지는 처녀 가장으로서 궁핍한 삶을 산다. ≪아사히 신문(朝日新聞)≫ 기자이자 문학가 나카라이 도스이에게 사사하며 소설을 발표한다. 대표작은 주로 단편소설로<키대보기(たけくらべ)>,<흐린 강(にごりえ)>,<십삼야(十三夜>, <눈 오는 날(雪の日)>, <섣달 그믐날(大つごもり)>, <처마에 걸린 달(軒もる月)> 등이다. ‘하기노야’의 스승 나카지마 우타코는 이치요를 헤이안 시대의 재녀 세이쇼나곤에 비유했다.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1867∼1916)
1893년 도쿄제국대학을 영문과를 졸업하고 1900년 국비 유학생으로 선발된다. 영국 유학 중 신경 쇠약에 빠진다. 귀국 후 도쿄제국대학 강사로 일했지만 다시 정신 질환을 앓는다. 고양이의 눈을 통해 러일 전쟁 당시의 세태를 풍자한 ≪나는 고양이다(吾輩は猫である)≫가 인기를 끌며 국민 작가로서 입지를 굳혀 대학 교수 직을 그만두고, ≪아사히 신문≫의 전속 작가가 된다. 대표작은 ≪도련님(坊っちゃん)≫, ≪풀 베개(草枕)≫, ≪산시로(三四郎)≫, ≪마음(こころ)≫, ≪노방초(道草)≫ 등.
시마자키 도손(島崎藤村, 1872∼1943)
엄격한 아버지로부터 한학 교육을 받았다. ≪여학 잡지(女學雜誌)≫에 번역을 기고하는 것으로 문단 활동을 시작했다. 그 뒤 ≪일엽주(一葉舟)≫ 등의 시집을 펴내 현실의 고투에서 한발 물러난 장소에서 좌절해 간 심정을 담담한 서정으로 읊는 독자적 시법을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자비 출판한 장편 소설 ≪파계(破戒)≫로 명성을 확립했다. ≪봄≫, ≪집≫, ≪신생≫ 등 일련의 자전적 작품을 잇달아 발표해 자연주의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서 문호의 반열에 올랐다. ≪동트기 전(夜明け前)≫이 대표작으로 꼽힌다. 일본의 근대란 무엇인가라는 화두를 놓지 않은 작가로 명성을 떨쳤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 1892∼1927)
외가에 양자로 들어가 두 이모가 그를 양육하는 환경에서 자랐다. ≪신사조≫ 창간호에 <코(鼻)>를 발표해 나쓰메 소세키의 격찬을 받는다. 초기에는 일본의 고전 작품에서 소재를 얻었다. ‘왕조물’, ‘기독교물’, ‘에도물’, ‘개화기물’, ‘현대물’ 등의 다양한 소재를 가지고, <나생문(羅生門)>,<마죽(芋粥)> 등 150편 정도의 단편 소설을 남겼다. 건강 악화, 염세적 경향의 심화, 어머니의 정신질환, 누이 가족이 연관된 문제, 작품 창작 등의 스트레스로 35세 나이에 수면제 과다 복용으로 세상을 뜬다. 친구인 기쿠치 간이 그를 기념해 제정한 아쿠타가와상(芥川賞)은 일본에서 가장 권위 있는 문학상이 됐다.
다니자키 준이치로(谷崎潤一郎, 1886∼1965)
조부 사망 후 가세가 기울어 고등학교에서 퇴학 위기에 처한다. 숙부의 도움으로 도쿄제국대학에 입학하지만 신경 쇠약으로 집에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신사조(新思潮)≫ 창간호에 ≪문신(刺青)≫을 발표, 나가이 가후의 격찬을 받는다. 그의 문학은 세 시기로 구분되는데, 제1기는 성도착과 개방적인 서양의 미를 추구한 서양 숭배를 다룬 시기, 제2기는 간토 대지진 때문에 간사이로 이주한 후 일본 전통의 아름다움을 추구한 고전 회귀의 시기, 제3기는 노인 문학의 시기다. 대표 작품으로는 ≪문신(刺青)≫, ≪후미코의 발(富美子の足)≫, ≪치인의 사랑(痴人の愛)≫, ≪춘금초(春琴抄)≫, ≪미친 노인의 일기(瘋癲老人日記)≫ 등이 있다.
기쿠치 간(菊池寛, 1888∼1948)
소학교 시절부터 책 읽기를 좋아해 도서관에 있는 책 2만 권을 거의 다 읽었다고 한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와 구메 마사오와 ≪신사조(新思潮)≫ 멤버로 참가했다. 평이하고 솔직한 문체로 테마를 명쾌하게 내세운 작품을 속속 발표하면서 문단에서 작가로서의 지위를 확립했다. ≪진주 부인(真珠夫人)≫은 종래 가정 소설의 틀을 깨고 신문소설과 통속소설의 신경지를 열었다. 그 성공을 계기로 통속소설 분야의 일인자가 되었다. 1935년에는 친구들의 이름을 따 순문학 신인상인 아쿠타가와상과 대중문학 신인상인 나오키상을 창설해 신인의 발굴과 문단의 발전에 공헌했다.
아리시마 다케오(有島武郎, 1878∼1923)
어릴 때부터 미션 스쿨에 다니며 서양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삿포로농업학교에서 수학했다.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포드대학 및 하버드대학에 유학했으며 휘트먼과 톨스토이에 경도되어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동인지 ≪시라카바(白樺)≫ 창간에 참가해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대표작으로 ≪카인의 후예(カインの末裔)≫, ≪어떤 여자(或る女)≫, ≪선언 하나(宣言一つ)≫ 등이 있다. 1923년에 ≪부인공론(婦人公論)≫의 기자이자 유부녀였던 하타노 아키코와 동반 자살했다.
시마키 겐사쿠(島木健作, 1903∼1945)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인해 학교를 중단하고 은행에서 일했다. 도쿄 생활과 병으로 고생한 경험, 간토 대지진의 상처로 귀향하기까지 7년간의 경험이 작품에 녹아 있다. 그의 인생에 영향을 끼친 인물은 농민 운동가 미야이 신이치(宮井進一)로 그로 인해 농민 운동가로서의 삶을 산다. 도호쿠 지방 농민 운동 조직의 주최자를 맡게 되고 마르크스주의를 익히고 학생운동에 가담했다. 1927년 공산당에 입당하고 구속되지만 전향해 석방되고 그 이후에는 소설가로 활동한다. 대표작으로는 ≪감옥(獄)≫, ≪여명(黎明)≫, ≪생활의 탐구(生活の探求)≫(1937), ≪어느 작가의 수기(或る作家の手記)≫(1940) 등이 있다.
옮긴이
최재철(기획위원)
≪일본 명단편선≫(지식을만드는지식, 2015∼2021) 주제별 전10권을 기획했다. 한일비교문화연구소 소장. 한국외국어대학교 및 동 대학원(일본문학) 수료, 도쿄대학 대학원(비교문학비교문화) 박사과정 수료.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일본연구소장, 외국문학연구소장, 도서관장, 일본어대학장과 세계문학비교학회장, 한국일어일문학회장 등을 역임했다. 사회 봉사로는 한국문학번역원, 대산문화재단, 대한민국학술원 등의 심사 위원을 역임하고, 서울시교육청동대문도서관과 협력하여 시민인문대학을 개설 운영한다.
이부용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비교문학·비교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 및 동 대학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대학(東京大學)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에서 ≪겐지 이야기(源氏物語)≫에 나타난 교육에 관한 연구로 학술석사 및 학술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에서 전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이남금
전공은 일본 근대문학·일한 비교문학[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와 이광수(李光洙) 작품을 둘러싼 여성 표상과 일한 비교 젠더론 연구]이다. 일본 도쿄 오차노미즈여자대학 대학원 박사과정을 만기 수료했다. 현재 도쿄 세이토쿠대학 국제학부 강사로 재직 중이다.
임태균
오사카대학에서 문학박사를 취득했다. 현 성결대학교 동아시아물류학부 교수, 현 문화체육관광부 간행물윤리위원회 위원이다. (사)한일협회 협력위원회 위원, 간세이가쿠인대학 일본언어문화학과 객원교수, 한국일본학회 총무이사·학술이사·편집위원, 한국일본문화학회 학술지역회장 등을 역임했다.
최석재
시가 나오야 문학을 전공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석·박사, 일본에서 문학박사를 받았다. ‘21세기 강원도정 기획위원회’ 연구위원이며, 제3회 아시아국제하이쿠제 심사위원 장려상을 수상했다. 강릉원주대학교 문화연구소 소장, 강릉원주대학교 일본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유미선
동국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일문학전공) 석·박사과정을 졸업하고, 극동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역서로 ≪日本語ワークブック 1~3≫, ≪춘금초(春琴抄)≫, ≪다니자키 준이치로 단편집≫, ≪진달래 가리온 1~5≫ 등이 있다.
우성아
아리시마 다케오를 전공했다. 경북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경북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역서로 ≪일본문학, 그 시대를 읽다≫, ≪樂&學 차이를 묻다-일본문학의 특질≫ 등이 있다.
신영언
한국외국어대학교와 와세다대학 대학원을 수료하고, 오차노미즈대학 대학원 문학석사학위를 받았다. 성신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일본단편소설 해설 감상≫, ≪세계문학 전집≫ 14, 15권,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전집≫ I, III권, ≪오타 쥴리아≫, ≪남편 엔도 슈사쿠를 말한다≫, ≪아름다운 사람에게≫ 등의 저역서가 있다.
신중관
도쿄대학 총합문화연구과(비교문학 비교문화전공)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에서 무라카미 하루키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는 <모래의 여자> 등으로 잘 알려진 작가 아베 고보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오현진
중앙대학교에서 일본 근현대문학을 전공, <무라카미 하루키 문학의 동시대성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무라카미 하루키를 연구하고 있다. 발표 논문으로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신의 아이들은 모두 춤춘다≫ 연구-인물들의 지진 후 심리 상태를 중심으로>와 <무라카미 하루키의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 고찰> 등이 있다.
차례
욕조(風呂桶) ― 도쿠다 슈세이 / 최재철
처마에 걸린 달(軒もる月) ― 히구치 이치요 / 이부용
자전거 일기(自転車日記) ― 나쓰메 소세키 / 이남금
출발(出発) ― 시마자키 도손 / 임태균
코(鼻)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 최석재
두 명의 아이(二人の稚児) ― 다니자키 준이치로 / 유미선
M 후작과 사진사(M侯爵と写真師) ― 기쿠치 간 / 우성아
물에 빠질 뻔한 남매(溺れかけた兄妹) ― 아리시마 다케오 / 우성아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子に送る手紙) ― 시마자키 도손 / 임태균
연말의 하루(年末の一日)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 신영언
도모다와 마쓰나가의 이야기(友田と松永の話) ― 다니자키 준이치로 / 신중관
검은고양이(黒猫) ― 시마키 겐사쿠 / 오현진
책속으로
1.
쓰시마는 요즘 무엇을 보아도 길지 않은 자신의 생명을 재는 척도인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것을 어찌할 수 없었다. 좋아하는 화초를 봐도 내년 이맘때가 되어야 같은 꽃이 핀다고 생각하니 그걸 기다리는 마음이 쓸쓸했다. 1년에 한 번밖에 없는 제철의 죽순이나 송이버섯을 먹어도 같은 의미로 왠지 마음이 쓸쓸해졌다. 평소 산책 다니는 길의 가로수 나무줄기가 눈에 띄게 굵어진 걸 보면, 옮겨 심었을 때로부터 벌써 10년쯤의 세월이 흐른 것이라 또 그만큼 자신의 생명이 단축되었다는 생각이 들어 기분이 좋지 않았다. 그러나 쓰시마와 같은 나이가 되면 죽음에 직면해 있는 폐병 환자가 통상 죽음의 관념 반대쪽에 멀찍이 피해 있을 수 있는 것처럼, 비교적 나이의 관념에서 벗어나 지내기 쉬웠다. 먹구름에 길을 재촉하는 듯했던 젊을 때의 초조가 낡은 용수철처럼 느슨해지고 느낌이 무디어져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또 하나는 생명의 연속인 아이들의 성장을 기뻐하는 마음과 애달파하는 마음이 자신의 걱정을 용인해 주고 있는 것이었다.
-도쿠다 슈세이, <욕조>
2.
그 후작의 농담에, 유쾌함에, 성급하고 단순한 스기우라가 다짜고짜 달려든 것입니다. 세상에 사탕발림에 넘어간다는 말이 있습니다만, 스기우라는 완전히 그것을 문자 그대로 실행한 것입니다. 그렇게 생각하니 빈말로 한 말을 진심으로 받아들여 제시간에 집사를 협박하면서까지 찾아온 스기우라를 상대로, 후작이 마지못해, 아마도 미간을 찡그리면서 자라 요리를 먹는 광경이 우스꽝스러운 캐리커처같이 머릿속에 떠올랐습니다.
그렇게 생각하니 또 이렇게도 생각이 되는 것입니다. 후작, 서민적인 후작은, 후작을 추종하는 사람들에게 스기우라에게 말한 것 같은 빈말을 하고 있는 게 틀림없다고 생각되었습니다.
-기쿠치 간,
3.
시게조의 남편 마쓰나가라는 사람과 도모다 사이에는, 최초에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조금 더 깊은 관계가 숨어 있는 듯한 인상이 있다. 왜냐하면 시게조의 편지에 의하면 마쓰나가라는 사람이 두 번째로 고향에 돌아온 것은 1915년 가을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 사람은 1918년 여름까지는 시골에 있다가 다시 가출했다고 한다. 그러나 딱 그 기간, 1915년 가을부터 1918년 여름에 이르는 사이에 나는 도모다를 한 번도 본 기억이 없다. 내 쪽에서도 역시 햇수로 4년 사이에 도모다를 만나지 않았던 것이다. 나는 이에 생각이 미치자 갑자기 엄청나게 호기심이 일었다.
-다니자키 준이치로, <도모다와 마쓰나가의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