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국내 최초로 일본 명작 단편을 인생, 재난, 근대, 동물, 광기, 남녀, 계절, 일상, 허무, 구원 등 10개의 주제로 출판했다. 이처럼 일본 문학을 주제별로 10권 발행한 것은 국내 출판에 전례가 없는 일이다. 작품 127편, 작가 42명, 역자 63명이 참여했다. 대표 기획위원은 최재철 한일비교문화연구소 소장(한국외대 전 일본어대학 학장)이다.
≪일본 명단편선≫을 기획한 의도는 무엇보다도 국내의 일본 문학 소개가 몇몇 현대 인기 작가의 대중적 작품이나 추리 소설류에 편중되어 있다는 사실에 안타까움을 느꼈기 때문이다. 우수한 일본 근현대 단편 명작들을 찾아, 전문가에 의한 질 높은 번역과 적절한 작품 해설 및 작가 소개, 풍부한 주석 등을 독자에게 제공해 가벼운 일본 문학을 소비하는 독서 풍조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번 기획의 목표는 이처럼 국내 독자들의 일본 문학에 대한 편식을 일깨우고자 함이 그 첫 번째다. 그리고 19세기 말 메이지 시대의 작품부터 전후(戰後)의 작품까지를 망라함으로써 일본 근현대 문학의 기본 흐름과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체계적 읽기를 지향하는 것이 두 번째다.전 10권에는 근현대 일본의 주요 작가들이 다 포함되어 있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다자이 오사무, 나쓰메 소세키, 사카구치 안고, 다니자키 준이치로, 시마자키 도손 등 한국에 널리 알려진 작가들의 작품 외에 가지이 모토지로, 니이미 난키치, 도쿠다 슈세이, 우메자키 하루오, 하야마 요시키, 히사오 주란 등 다소 생소한 작가들의 명작들도 포함되었다. 재일 한국인 작가 김사량의 작품도 들어 있다.
특히 일본 근현대 문학사에서 위상에 비해 이제까지 국내에서는 접하기 어려웠던 초역 작품들이 여러 편 포함되었다는 것도 커다란 의미를 지닌다. 초역 작품들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한 줌의 흙> · <의혹>, 사카구치 안고의 <죽음과 콧노래> · <진주> · <전쟁과 한 명의 여인>,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증념> 등을 비롯해 이즈미 교카의 <그림책의 봄>, 이시카와 다쿠보쿠의 <두 줄기의 피> 등 20여 편이다.
‘완성도 높은 명단편선’이 되도록 번역은 원문에 충실하되 한국어로 읽히는 가독성을 고려하고, 각주는 직간접 일본 체험을 반영한다는 ‘문화 번역’을 따랐다. 요즘 일본 문학 작품 번역에 오류가 많고, 쉽게 생략하거나 원문에 없는 어휘를 집어넣어 가독성만을 노리는 세태와는 선을 긋고자 한 것이다.
역자들은 일본 문학을 전공한 전문가들로서,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 등 해외 대학에 재직하고 있는 전공자들도 참여했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
200자평
메이지 시대부터 전후(戰後)의 작품까지, 일본 근현대를 대표하는 작가들의 명단편을 모았다. 주제별 단편집 10권 출간은 그동안 한국 출판계에 전례가 없는 일이다. 그동안 단편적으로 일본 근대 작품들을 읽은 독자라면 이 시리즈를 통해 일본 근현대 문학의 기본 흐름과 전체를 체계적으로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 근현대 문학 전문가의 정확한 번역과 전문적인 해설, 풍부한 주석은 독자를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까지 격동하는 일본 개화기와 근대화, 전후 부흥의 현장으로 안내할 것이다. 제9권에서는 시마자키 도손의 <세 명의 방문객>을 비롯해 14편의 작품을 소개한다.
지은이
시마자키 도손(島崎藤村, 1872∼1943)
엄격한 아버지로부터 한학 교육을 받았다. ≪여학 잡지(女學雜誌)≫에 번역을 기고하는 것으로 문단 활동을 시작했다. 그 뒤 ≪일엽주(一葉舟)≫ 등의 시집을 펴내 현실의 고투에서 한발 물러난 장소에서 좌절해 간 심정을 담담한 서정으로 읊는 독자적 시법을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자비 출판한 장편 소설 ≪파계(破戒)≫로 명성을 확립했다. ≪봄≫, ≪집≫, ≪신생≫ 등 일련의 자전적 작품을 잇달아 발표해 자연주의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서 문호의 반열에 올랐다. ≪동트기 전(夜明け前)≫이 대표작으로 꼽힌다. 일본의 근대란 무엇인가라는 화두를 놓지 않은 작가로 명성을 떨쳤다.
히로쓰 류로(広津柳浪, 1861∼1928)
제국대학 의학부 예비문에 입학했으나, 의학에 뜻을 두지 않은 데다 폐결핵으로 중퇴했다. 아버지 친구의 권유로 사업가가 되기로 마음먹고 농상무성의 관리가 되었지만, 일에 적응하지 못한 채 소설류를 탐독하기 시작했다. 부모를 모두 여읜 후 생활은 방탕해졌고 도쿄 생활이 어려워져 낙향한다. 이때 겪은 가난은 그의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궁핍한 시절을 작품에 투영한 <지는 동백(おち椿)>, 죽음을 앞둔 결핵 환자의 심리를 그린 <잔국(残菊)>이 호평받는다. <이마도 정사(今戸心中)>, <비국민(非国民)>, <야하타의 광녀(八幡の狂女)> 등의 작품이 있다.
구니키다 돗포(国木田独歩, 1871∼1908)
일본 자연주의 문학의 선구자. 자연과의 대화를 통한 자기의 확립과 문학적 표현을 획득해 인생의 애상을 서정적으로 그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표작은 자연 풍경 속의 조화로운 인간을 발견한 <잊히지 않는 사람들(忘れ得ぬ人々)>과 무사시노(武蔵野)의 자연미를 시적인 요소로 함축한 <무사시노>, 사교 클럽에 모인 사람들이 인생을 이야기하는 형식을 통해 돗포의 사상을 말하는 <쇠고기와 감자(牛肉と馬鈴薯)>, 아버지가 다른 여동생임을 모르고 결혼한 남성의 고뇌를 다룬 <운명론자(運命論者)> 등.
고이즈미 야쿠모(小泉八雲, 1850∼1904)
아일랜드계 영국 출신으로 일본에 귀화했다. 40세 때 신문사 특파원으로 일본에 왔고, 중학교의 영어 교사로 정착했다. 고이즈미(小泉) 집안의 딸과 결혼해, ‘고이즈미 야쿠모’라는 이름을 쓰기 시작했다. 도쿄제국대학 교수로 부임하여 강의하다가 외국인 교수의 고액 급여를 절반으로 삭감한 학교와 충돌해 해고된다. 그 후임이 나쓰메 소세키였다. 이후 와세다대학 교수로 임용되지만 반 년 만에 심장병으로 세상을 떠난다. 옛날이야기 듣기를 좋아해 부인이 들려주었던 이야기를 모아 ≪괴담(怪談)≫(1904)을 발표했다.
다니자키 준이치로(谷崎潤一郎, 1886∼1965)
조부 사망 후 가세가 기울어 고등학교에서 퇴학 위기에 처한다. 숙부의 도움으로 도쿄제국대학에 입학하지만 신경 쇠약으로 집에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신사조(新思潮)≫ 창간호에 ≪문신(刺青)≫을 발표, 나가이 가후의 격찬을 받는다. 그의 문학은 세 시기로 구분되는데, 제1기는 성도착과 개방적인 서양의 미를 추구한 서양 숭배를 다룬 시기, 제2기는 간토 대지진 때문에 간사이로 이주한 후 일본 전통의 아름다움을 추구한 고전 회귀의 시기, 제3기는 노인 문학의 시기다. 대표 작품으로는 ≪문신(刺青)≫, ≪후미코의 발(富美子の足)≫, ≪치인의 사랑(痴人の愛)≫, ≪춘금초(春琴抄)≫, ≪미친 노인의 일기(瘋癲老人日記)≫ 등이 있다.
고바야시 다키지
오타루상과대학 재학 때 학우회 잡지 ≪다루쇼(樽商)≫에 작품을 투고하기 시작했다. 졸업 후 홋카이도척식은행 오타루 지점에서 일했고, 친구들과 ≪클라르테≫라는 동인지를 펴내기도 했다. 동시에 사회주의적인 주제로 여러 소설을 발표했다. 유명한 작품으로 ≪방설림(防雪林)≫, <1928년 3월 15일>, ≪게잡이 공선(蟹工船)≫ 등이 있다. 이데올로기적인 활동이 원인이 되어 결국 은행원직을 잃는다. 도쿄로 가서 공산당 당원이 되었다. 경찰의 감시를 받으며 몇 번이나 투옥되었지만, 인기 있는 프롤레타리아 소설가로서 적극적인 활동을 해 나갔다.
무로 사이세이(室生犀星, 1889∼1962)
17세에 ‘사이세이(犀星)’라는 필명으로 지방 신문에 시를 게재한다. 21세 때 상경해 ≪자본(朱欒, 왕귤)≫에 시 게재 이후, 시인 하기와라 사쿠타로와 친교하고 시 창작에 매진한다. 27세에 감정시사를 결성해 ≪감정(感情)≫을 창간했다. 어린 나이에 일을 하면서 문학에 흥미를 갖기 시작했고 도쿄에서 생활고에 허덕이면서도 시 창작에 몰두했다. 소설가로도 활약하며 ≪유년 시절(幼年時代)≫, ≪성에 눈뜰 무렵(性に眼覚める頃≫ 등을 썼다. 대표 작품으로 ≪형과 누나(あにいもうと)≫, ≪안즛코(杏っ子≫, ≪하루살이 일기 유고(かげろうの日記遺文)≫, ≪꿀의 슬픔(蜜のあはれ)≫(1959) 등 이 있다.
미야자와 겐지(宮沢賢治, 1896∼1933)
시인이며 동화 작가, 농촌 운동가, ≪법화경≫의 행자였다. 겐지에게 가장 영향을 주었고 생애를 통제한 것은 니치렌(日蓮)과 니치렌을 통해 얻어진 ≪법화경≫의 이념이었다. ‘법화 문학’의 구현이라는 종교 영성적 이념으로 짧은 생애 동안 100여 편의 동화와 시를 썼다. 대표 작품으로 시집 ≪봄과 수라(春と修羅)≫ 1∼4집, 대표 동화로 ≪주문이 많은 요리점(注文の多い料理店)≫, ≪은하철도의 밤(銀河鉄道の夜)≫, ≪바람의 마타사부로(風の叉三郎)≫ 등이 있다.
하기와라 사쿠타로(萩原朔太郎, 1886∼1942)
구어 자유시를 완성해 일본 근대시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다. 슬픔, 우울, 허무 등의 감정이 짙게 드리워져 있는 그의 시는 잘 벼려진 예리한 감성과 감각적인 표현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시집으로는 ≪달을 향해 짖는다(月に吠える)≫, ≪우울한 고양이(青猫)≫, ≪빙도(氷島)≫ 등이 있다. 문학 활동 외에도 음악, 마술, 사진 등 다방면에 걸쳐 관심을 보였다. 그중 만돌린에 조예가 깊어 마에바시에 있을 때는 정기적으로 음악회를 개최하는 등 다른 예술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했다.
히사오 주란(久生十蘭, 1902∼1957)
필명인 히사오 주란은 프랑스 유학 당시 스승이었던 거물급 연출가 샤를 뒬랭(Charles Dullin)의 일본어 발음에서 따온 것이다. 모험 소설, 추리 소설, 역사 소설, 유머 소설, 논픽션 소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 활동을 했다. 대표작은 <해표도(海豹島)>, <곤충도(昆虫図)> 등이 있다. 작풍은 속도감 있는 문체와 세심한 인간 관찰에 따른 역설적인 논리, 빠르게 반전하는 전개가 주를 이룬다. 전쟁을 거치는 동안 이민자나 방랑자, 다문화, 파국, 표류 같은 국가의 비호에서 멀어진 인간의 모습은 작가가 중요하게 다루었던 문학적 주제다.
사카구치 안고(坂口安吾, 1906∼1955)
다자이 오사무와 더불어 ‘무뢰파(無賴派)’의 대표 작가. 그를 유행 작가로 만든 것은 1946년에 발표한 <타락론>과 <백치>였다. 에세이 <타락론>에서는 전쟁에 졌기 때문에 인간이 타락하는 것이 아니라, 원래부터 인간에게는 타락의 본성이 있고 혼란은 필연적이며, 타락을 통해 다시 일어날 기회를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타락론>을 소설화한 것이 <백치>다. 이 두 작품을 통해 일약 전후 문학의 기수가 되었다. 쇄도하는 작품 주문을 소화하기 위해 각성제와 수면제를 과다 복용한 그의 실생활은 광란의 연속이었다. <광인 유서>를 남기고 뇌출혈로 사망했다.
나카지마 아쓰시(中島敦, 1909∼1942)
한학에 조예가 깊었다. 도쿄제국대학 국문과를 졸업하고 교사로 재직한다. 이 시절이 그에게는 가장 행복했던 시기다. 지병이던 천식이 심해져 1941년에는 학교를 휴직했다. 같은 해 미크로네시아에 설치된 남양청에 취직이 되자 사직하고 팔라우로 간다. 이곳에서 식민지용 교과서 조사 및 편찬 작업을 담당했다. 1942년 귀국해 <산월기>, <문자화>, <우인(牛人)>, <영허(盈虚)>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같은 해에 첫 소설집인 ≪빛과 바람과 꿈(光と風と夢)≫도 출간되어 아쿠타가와상 후보에 오른다. 기관지 천식의 악화로 33세에 요절했다.
하야시 후미코(林芙美子, 1903∼1951)
가난하고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연인에게 버림받은 후 여러 아나키스트 시인들과 동거와 헤어짐을 반복하다가 미술학도 데쓰카 료쿠빈과 결혼했다. 생활이 안정되자 자전적 소설 ≪방랑기(放浪記)≫를 출간해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다. 만주, 조선, 런던, 파리 등을 여행하며 기행문을 쓰기도 하고 중일 전쟁 때 난징에 특파원으로 가 기사 등을 집필하기도 했다. 저널리스트로 활동했으며, 세상을 뜨기까지 집필과 여행, 취재와 강연 등을 멈추지 않았다. 대표작으로는 ≪방랑기≫, ≪청빈의 서(清貧の書)≫, ≪굴(牡蠣)≫, ≪늦게 피는 국화≫, ≪뜬구름≫ 등이 있다.
옮긴이
김난희
중앙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제주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다. 저역서로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문학의 이해≫, ≪20세기 일본 문학의 풍경≫, ≪일본 근대 작가·작품론≫,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전집1~8≫ 등이 있다.
이광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했다. 메이지 게사쿠(明治戯作) 및 일본 개화기 문학(開化期文学) 가운데 가나가키 로분(仮名垣魯文)의 작품에 나타난 과도기 신구 양상과 민중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논문으로는 <가나가키 로분의 ≪양반다리 전골냄비≫에 나타난 서구관>이 있다. 번역에는 <진주>(사카구치 안고) 등이 있다.
이정희
일본 쓰쿠바대학 대학원에서 석·박사과정을 수료했다(문학박사). 박사 학위논문은 <아베 고보 소설로 본 현대 일본 문화-아베 고보의 텍스트성(安部公房の小説から見る現代の日本文化-安部公房のテキステュアリティ)>으로, 당시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아베 고보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위덕대학교 일본언어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유미선
동국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일문학전공) 석·박사과정을 졸업하고, 극동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역서로 ≪日本語ワークブック 1~3≫, ≪춘금초(春琴抄)≫, ≪다니자키 준이치로 단편집≫, ≪진달래 가리온 1~5≫ 등이 있다.
이현준
도쿄대학 대학원 비교문학 비교문화전공 석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이후 2013년에 오타루상과대학(小樽商科大学)에서 준교수로 8년간 일했다. 현 무사시노대학(武蔵野大学) 교수. ≪‘동양’을 춤추는 최승희 (‘東洋’を踊る崔承喜)≫를 출판했으며 이 책은 2020년 제42회 산토리학예상을 수상했다.
최재철(기획위원)
≪일본 명단편선≫(지식을만드는지식, 2015∼2021) 주제별 전10권을 기획했다. 한일비교문화연구소 소장. 한국외국어대학교 및 동 대학원(일본문학) 수료, 도쿄대학 대학원(비교문학비교문화) 박사과정 수료.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일본연구소장, 외국문학연구소장, 도서관장, 일본어대학장과 세계문학비교학회장, 한국일어일문학회장 등을 역임했다. 사회 봉사로는 한국문학번역원, 대산문화재단, 대한민국학술원 등의 심사 위원을 역임하고, 서울시교육청동대문도서관과 협력하여 시민인문대학을 개설 운영한다.
박경연
문학박사. 미야자와 겐지를 전공했다.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강의 전담 조교수다.
장유리
나고야대학(名古屋大学) 대학원 문학연구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경북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1930년대의 모던 문화 및 모더니즘 문학, 대중잡지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전은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일본 근현대문학을 전공했으며, 전후 초현실적 작풍으로 인간 존재의 불안을 탐구한 아베 고보를 연구했다. 현재는 광고 기획과 편집 디자인 일을 하고 있다.
김은영
나고야대학 대학원 국제언어문화연구과(일본언어문화전공)에서 박사과정 수료. 문학박사다. 현재 충남대학교 일어일문학과에서 강사로 근무하고 있다. ≪이야기와 감동이 있는 일본 문화 탐방≫ 등의 저서가 있다.
장부연
한국외국어대학 일본어과에서 석박사 학위 취득.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에서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치고 연구하고 있다.<암호>, <전쟁과 한 명의 여인>(이상 사카구치 안고) 등의 번역서가 있다.
이남금
전공은 일본 근대문학·일한 비교문학[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와 이광수(李光洙) 작품을 둘러싼 여성 표상과 일한 비교 젠더론 연구]이다. 일본 도쿄 오차노미즈여자대학 대학원 박사과정을 만기 수료했다. 현재 도쿄 세이토쿠대학 국제학부 강사로 재직 중이다.
차례
세 명의 방문객(三人の訪問者) ― 시마자키 도손 / 김난희
검은 도마뱀(黒蜴蜓) ― 히로쓰 류로 / 이광호
소년의 비애(少年の悲哀) ― 구니키다 돗포 / 이정희
오테이 이야기(お貞女のはなし) ― 고이즈미 야쿠모 / 이정희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글(母を恋ふる記) ― 다니자키 준이치로 / 유미선
늙은 체조 교사(老いた体操教師) ― 고바야시 다키지 / 이현준
해골(しゃりこうべ) ― 무로 사이세이 / 최재철
주문이 많은 요리점(注文の多い料理店) ― 미야자와 겐지 / 박경연
고양이 마을−산문시풍의 소설(猫町−散文詩風な小説) ― 하기와라 사쿠타로 / 장유리
검은 수첩(黒い手帳) ― 히사오 주란 / 전은향
죽음과 콧노래(死と鼻唄) ― 사카구치 안고 / 이광호
산월기(山月記) ― 나카지마 아쓰시 / 김은영
속 전쟁과 한 명의 여인(続 戦争と一人の女) ― 사카구치 안고 / 장부연
늦게 피는 국화(晩菊) ― 하야시 후미코 / 이남금
책속으로
1.
‘늙음’이 찾아왔다.
이것이야말로 내가 ‘가난’ 이상으로 미워하고 있는 대상이다. 이상하게도 ‘늙음’조차도 내게 미소를 지어 보였다. 나는 또다시 ‘가난’에게 물어본 것과 같은 어조로,
“네가 ‘늙음’이냐?”라고 물어보지 않을 수 없었다.
내 곁에 와 있는 자의 얼굴을 찬찬히 보니, 지금까지 내가 가슴에 품고 있던 것은 진정한 ‘늙음’이 아니라 ‘위축(萎縮)’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내 곁에 와 있는 것은 더 빛나는 것이고 더 고마운 것이었다.
그러나 이 방문객이 내가 있는 곳으로 찾아온 건 그리 오래지 않았다. 나는 더 자주 대화해 보지 않으면 진정으로 이 손님에 대해 알 수 없을 것이다. 다만 나는 ‘늙음’이 지닌 미소라는 것을 알게 되었을 뿐이다. 아무쪼록 나는 이 손님에 대해 잘 알고 싶다. 그리고 나 자신도 참되게 나이를 먹고 싶다.
-시마자키 도손, <세 명의 방문객>
2.
“그 꽃을 주세요.”
그때 그 해골은 깜짝 놀라, 저 녀석은 늘 전등 아래에 앉아 있던 녀석이군, 하고 생각했다, ― 저 녀석은 이런 데까지 나와서 나에게 또 조르는군, 하고 생각했다.
“이런 꽃을 너는 뭐에 쓸 셈이냐 ―.”
하지만 다른 해골은 아무것도 모르는 것처럼 말했다.
“그 꽃은 대단히 아름답고 귀여운걸.”
“후우! 너는 아직도 꽃 따위를 신경 쓰고 있는 거냐.”
그가 그렇게 말했을 때 비로소 다른 해골은 정신이 들어 기쁜 듯이 이번에는 거리낌 없이 제비꽃을 확 꺾어 버렸다.
-무로 사이세이, <해골>
3.
긴이 다나베를 알게 된 것은 스미코 부부가 도쓰카(戸塚)에서 학생 상대로 전문 하숙집을 경영하고 있었을 무렵으로 긴은 3년 정도 같이 부부로 살았던 남편과 헤어지고 스미코의 하숙집에 방 한 칸을 빌려서 편하게 생활하고 있었다. 태평양 전쟁이 시작되었을 무렵이다. 긴은 스미코의 하숙집 거실에서 오다가다 마주쳤던 학생인 다나베와 알게 되어 부모 자식 정도로 나이가 동떨어진 다나베와 어느 사이엔가 남의 이목을 의식하는 사이가 되었다.
-하야시 후미코, <늦게 피는 국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