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미디어에 나타난 젠더 현실
뉴스 · 드라마 · 광고에 나타난 젠더 현실
미디어 텍스트, 생산, 수용 과정에서 재현되는 젠더 문제 탐구
미디어는 우리가 다양한 사회적 현실을 인지하고 경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젠더(gender)와 관련된 현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이 책은 미디어의 텍스트와 생산, 수용이라는 세 가지 영역에서 젠더를 다룬다. 이를 통해 미디어가 우리 사회의 성 역할, 성 정체성, 성 고정관념에 대한 가치관과 인식을 형성하고 이와 관련된 사회현실을 반영하고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디어 텍스트에서 우리 사회의 젠더 문제와 관련된 현실을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지, 그러한 텍스트는 누구에 의해 어떻게 만들어지며 수용자는 이를 어떻게 해석하고 경험하는지를 알아본다.
먼저 미디어 텍스트에서 젠더에 대한 지배적인 의미와 성차별적 가치가 재현되는 방식과 미디어 표상이 갖는 문제를 밝힌다. 사회를 비판적으로 점검해야 할 뉴스는 여성을 과소 표상하거나 왜곡하면서 여성의 현실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한다. 다양한 미디어가 설파하는 모성 이데올로기와 슈퍼우먼 콤플렉스는 고정된 성역할을 강화한다. 가정주부 또는 성적 매력을 지닌 여성 등 광고에서 시대를 관통하는 대표적인 여성성은 여성성 또는 여성의 역할을 제한하는 한계를 보인다. 성차별적 재현이 수용자들의 성별 고정관념의 내면화와 기존의 남성중심 사회 체제를 재생산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 보여준다.
미디어 텍스트 외에도 미디어 생산 영역에서 젠더 불평등은 재생산되고 있다. 뉴스와 드라마의 제작 및 생산 현장의 남성중심적 문화와 관행도 여성 소외 문제를 야기한다. 성차별적 미디어 텍스트가 생산되는 원인은 텍스트뿐만 아니라 뉴스의 수집과 취재 관행, 드라마 생산 과정에도 자리한다. 또한 미디어 수용자의 실천은 특정한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맥락과 미디어 수용과 관련되는 다양한 상황들 속에서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여성 수용자가 처한 사회적 위치와 역할, 그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미디어가 수용되는 방식, 그리고 젠더적 함의를 고찰한다. 1
200자평
미디어의 젠더 재현은 우리 사회의 젠더 구조와 가치를 반영한다. 또 이를 규정짓고 강화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미디어 속 젠더는 미디어 밖의 젠더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것이다. 이 책은 미디어가 우리 사회의 성 역할, 성 정체성, 성 고정관념에 대한 가치관과 인식을 형성하고 이와 관련된 사회현실을 반영하고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디어 텍스트에서 우리 사회의 젠더 문제와 관련된 현실을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지, 그러한 텍스트는 누구에 의해 어떻게 만들어지며 수용자는 이를 어떻게 해석하고 경험하는지를 알아본다.
지은이
나미수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영국 버밍엄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구 방송위원회 연구원, 한국언론재단 연구위원으로 재직했으며, 한국언론학회, 한국방송학회,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이사, 방송위원회 시청자미디어센터 운영위원, 방송통신위원회 방송평가위원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미디어 연구를 위한 질적 방법론』(2012), 『질적 수용자 연구』(2016), 『미디어와 젠더』(2019) 등이 있다. “경영악화에 따른 지역방송사 내부조직과 구성원의 인식변화”(2020), “여성의 일상생활과 스마트폰 이용에 관한 질적 연구”(2017), “방송의 디지털화와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배경음악의 변화”(2014), “여성방송인의 시대별 위상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2012)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미디어 소비와 젠더 그리고 텔레비전 비평이 주요 연구 분야다.
차례
미디어 텍스트, 생산, 수용과 젠더
01 성과 젠더
02 뉴스에 재현된 젠더
03 드라마에 재현된 젠더
04 드라마 속 신화들
05 광고에 재현된 젠더
06 미디어 조직과 젠더
07 미디어 생산 과정과 젠더ᐨ뉴스
08 미디어 생산 과정과 젠더ᐨ드라마
09 미디어 텍스트 수용과 젠더
10 일상생활에서의 미디어 수용과 젠더
책속으로
성별 정형화된 이미지를 잘 드러내는 보도 사례로서 공적 영역의 여성에 대한 뉴스를 들 수 있다. 앞서 보았듯이 뉴스에서 여성은 대부분 익명의 시민이나 사적 영역의 인물로 주변화되기 때문에, 남성의 영역인 공적 영역에 진출한 여성들은 뉴스에서 관심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뉴스는 이러한 여성들의 현실을 제대로 보여 주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과소표상하거나 왜곡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_ “02 뉴스에 재현된 젠더” 중에서
즉 캔디렐라 여성, 30대 전문직 미혼 여성 또는 이혼녀, 미혼모와 같은 탈가부장적인 여성 등 여성캐릭터의 다양화에도 불구하고, 남성주도적인 사랑과 결혼, 능력 있고 사회적으로 성공한 남성들의 선택을 받는 낭만적 사랑이데올로기는 시청자에게 대리만족과 신데렐라 판타지를 제공한다.
_“04 드라마 속 신화들” 중에서
외모나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은 더 이상 여성의 전유물이 아니며, 남성의 몸도 평가의 대상이 되면서 남성들의 주요 관심사가 됐다. 광고에 나타난 남성 이미지의 가장 큰 변화는 외모 강조와 대상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남성 화장품, 남성 의류, 남성 잡지 등의 소비시장이 등장하면서 부각됐는데, 남성 이미지의 변화는 젠더 정체성의 상징적 경계를 흔들기보다는 산업의 요구에 충실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_“05 광고에 재현된 젠더” 중에서
드라마 제작 현장에서 여성 인력의 증가가 성차별적 텍스트의 해소로 직접 연결되기 어려운 것은 성별의 객관적 수치로는 답할 수 없는 여러 국면이 제작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음을 말해 준다. 드라마는 협업과 공동의 생산물로서, 그 내부의 사회적 관계 역시 생산 단위 외부의 더 거시적인 사회적 관계들과 연동한다.
_“08 미디어 생산 과정과 젠더ᐨ드라마” 중에서
즉 우리 사회의 뿌리 깊은 가부장적 전통이 여성의 경제적 독립보다 더 우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여성의 취업 혹은 경제적 능력이 가정에서 남녀의 동등한 관계 혹은 시간과 같은 자원의 활용이나 미디어 이용의 평등성을 반드시 보장해 주지는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_“10 일상생활에서의 미디어 수용과 젠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