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원서발췌는 세계 모든 고전을 출간하는 고전 명가 지식을만드는지식만의 프리미엄 고전 읽기입니다. 축약, 해설, 리라이팅이 아닌 원전의 핵심 내용을 문장 그대로 가져와 작품의 오리지낼리티를 가감 없이 느낄 수 있습니다. 해당 작품을 연구한 전문가가 작품의 정수를 가려 뽑아내고 풍부한 해설과 주석으로 내용 파악을 돕습니다. 어렵고 부담스러웠던 고전을 정확한 번역, 적절한 윤문, 콤팩트한 분량으로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발췌에서 완역, 더 나아가 원전으로 향하는 점진적 독서의 길로 안내합니다.
조선 초기의 문신 성현(成俔)의 시문집을 국내 최초로 번역했다. 이 책은 시집 14권, 보집 5권, 풍아록(風雅錄) 2권, 습유 1권, 문집 14권, 합 36권 8책의 방대한 분량 중 시(詩)·악부(樂賦)·기(記)·서(序)·논(論) 등 여러 형식의 글 67편을 정선한 것이다. 박은, 양사언 등을 비롯하여 ≪허백당집≫의 저자인 성현 등 조선 초기 문사들을 주로 연구해 온 필자의 세심한 번역이 돋보이는 저서다. 중종조에, 당대의 문사들의 글이 사장되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으로 가문에서 소장하고 있던 그들의 글을 모아 관찬(官撰)으로 문집을 간행한다. 그때 간행되었을 것으로 짐작되는 ≪허백당집≫은 이후 소실과 중간을 반복하며 비서장본 등으로 이어지다가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이조명현집(李朝名賢集)≫ 2집에 ≪부휴자 담론(浮休子談論)≫과 함께 영인하였다. 현재 알려진 가장 완벽한 판본으로 이를 저본으로 삼았다.
문학의 역량으로 강조한 ‘질서관의 확립’
한국문학사에서 이색(李穡), 권근(權近), 서거정(徐居正) 등의 맥락을 계승했다는 평가를 받는 성현은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관료층 문인이다. 개국 초 문인들이 건국 사업에 주력했던 데 반해 그는 문학적 역량을 정치적·사회적 효용을 추구하는 데 기울였다. 그 실천적인 방법으로 내세운 것이 ‘질서관의 확립’인데 이는 <사물은 함부로 합칠 수 없음을 논함(物不可而苟合論)>에서는 신분적 질서관을, <악학궤범서(樂學軌範序)>에서는 예약에 의한 질서관을 강조한 것을 통해서도 잘 알 수 있다. 또한 한편으로 ‘화(和)’라는 질서 속에 독자적 다양성과 개성을 강조했다.
다채롭고 풍부한 작품의 향연
성현의 문학은 다채롭고 풍부하다. 1천여 수에 달하는 시 작품 중 가장 주목되는 것은 애민시(愛民詩)다. 중심이 되는 관료 문학 가운데 단연 돋보인다. 아울러 국속시(國俗詩)는 최치원(崔致遠), 이색의 뒤를 잇는 맥락에서 의미를 지닌다. ≪허백당집≫에 함께 수록된 ≪풍아록≫은 본래는 별도로 편집된 악부시집이었다. 창작의 예를 보이기 위해 지었다고 전하는 ≪풍아록≫은 유자광(柳子光)과 함께 ≪악학궤범(樂學軌範)≫을 편찬하기도 했던 성현이 음악에 대단한 조예가 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이 밖에도 자전(自傳) <부휴자전(浮休子傳)>을 비롯한 성현의 다양한 문학 세계를 살펴볼 수 있다.
200자평
≪부휴자 담론≫에서 ‘부휴자’를 내세워 조선 전반에 대한 담론을 펼쳤다면, ≪허백당집≫에서는 허백당 성현의 본연의 모습을 드러낸다. 천여 수에 달하는 시 작품과 산문 속에 그가 바라보는 조선의 모습, 그가 그리는 사회, 그가 권하는 풍류가 두루 담겼다. 국내 최초로 현대어로 옮긴 ≪원서발췌 허백당집≫을 통해 성현과 현대의 독자들의 소통의 폭을 좁힐 수 있을 것이다.
지은이
성현(成俔, 1439∼1504)은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관료 문인이다.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염조(念祖)의 셋째 아들이다. 자는 경숙(磬叔), 호는 용재(慵齋)·허백당(虛白堂)·부휴자(浮休子)·국오(菊塢), 시호는 문대(文戴)다.
1462년(세조 8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1466년 발영시(拔英試)에 급제해 박사(博士)로 등용되었다. 이어 사록(司錄) 등을 거쳐 1468년 예문관수찬(藝文館修撰)을 지냈다. 맏형 임(任)을 따라 명나라 사행(使行) 때 지은 기행시를 정리해 ≪관광록(觀光錄)≫으로 엮었다. 1475년 다시 한명회(韓明澮)를 따라 명나라에 다녀와서 이듬해 문과중시(文科重試)에 급제, 대사간 등을 지냈다. 1485년 천추사(千秋使)로 명나라에 다녀와 형조참판 등을 거쳐, 평안도관찰사를 지냈다. 평안도관찰사로 있을 때 명나라 사신 동월(董越)과 왕창(王敞)이 왔는데 이들과 시를 주고받아 그들을 탄복하게 했다. 이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가 되어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와 경상도관찰사로 나갔다가 예조판서에 올랐다.
연산군이 즉위하자 공조판서로 대제학(大提學)을 겸임했다. 죽은 지 수개월 후 갑자사화(甲子士禍)가 일어나 부관참시(剖棺斬屍)당했다. 뒤에 신원(伸寃)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다.
글씨를 잘 썼으며, 특히 음률(音律)에도 밝아 장악원제조(掌樂院提調)를 겸하고 유자광(柳子光) 등과 함께 ≪악학궤범≫을 편찬해 음악을 집대성했다. 뿐만 아니라 왕명으로 고려가요 <쌍화점(雙花店)>, <이상곡(履霜曲)>, <북전(北殿)>을 개산(改刪)했다. 대표 저술인 ≪용재총화≫는 조선 초기의 정치·사회·문화·제도·풍속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밖에 ≪허백당집≫, ≪풍아록≫, ≪부휴자 담론≫, ≪주의패설(奏議稗說)≫, ≪금낭행적(錦囊行跡)≫, ≪상유비람(桑楡備覽)≫, ≪풍소궤범≫, ≪경륜대궤(經綸大軌)≫, ≪태평통재(太平通載)≫ 등 많은 저술이 있다.
옮긴이
홍순석은 용인 토박이다. 어려서는 서당을 다니며 이귀선 선생 문하에서 한문을 수학했다. 그것이 단대 동양학연구소 한한대사전편찬원으로 재임하고, 성균관대학에서 한문학을 전공하게 된 인연이 되었다. 강남대 국문과 교수로 32년간 재임하면서 출판부장, 인문과학연구소장, 인문대학장 등을 역임하였다. 2020년 강남대 한영문화콘텐츠학과 교수, 글로벌인재대학 학장을 끝으로 정년퇴직하고, 명예교수로 강의를 계속하고 있다. 학회 활동으로 포은학회장, 용인향토문화연구회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해동암각문연구회장으로 있다. 저술로 ≪성현문학연구≫, ≪양사언문학연구≫, ≪박은시문학 연구≫, ≪포은시문학의재조명≫, ≪향토사연구의 이론과 실제≫, ≪용인학≫, ≪경기도암각문≫ 외 70여 책이 있다. 번역서로 ≪읍취헌문집≫, ≪봉래시집≫, ≪부휴자담론≫, ≪진일재 유고≫, ≪용재총화≫ 외 10여 책이 있다.
차례
시집 詩集
옛 시를 본떠서 10수 擬古十首
시골집 12수 田家詞十二首
목면사 木綿詞
고민을 떨치려 5수 遣悶五首
시골에서 鄕曲卽事
궁벽한 마을 窮村詞
한식날 寒食行
왜구를 근심하며 患倭
비를 맞고 청주 동헌에 적다 帶雨題淸州東軒
나례희를 보며 觀儺
불꽃놀이를 보며 觀火
양천 별장에 도착해서 到楊川別墅
약밥 香飯
유두일에 수단병을 먹다 流頭日食水團餠
처용 處容
나무를 베는 사람들 伐木行
봄 가뭄 春旱
물가의 살구꽃 臨水杏花
냉천정 冷泉亭
자석산 아래를 지나며 過紫石山下
위원 객사에 적다 題渭原客舍
보리 베기 刈麥行
적교정에 쉬며 재해를 입은 밭에 마음 상해서 憩狄橋亭傷田畝被災
강동 옛 읍성을 지나며 過江東古邑城 是陽壤國所都
꼭두각시놀음을 보며 觀傀儡雜戱
보집 補集
장악원에 앉아서 가악을 보며 4수 坐樂院觀樂四首
연경궁 옛터 延慶宮古基
섣달 그믐날 후원에 들어와 불꽃놀이를 보며 除夕入侍後苑觀火 是時大雪
동지를 축하하며 賀冬至
새해 첫날 회례연에서 元日會禮宴
임금을 호종해 서쪽 교외에서 모심기를 보다 扈駕西郊觀稼
기러기를 잃어버리다 失鴈
상춘 2수 傷春二首
단오일 端午日
십장생을 그린 세화를 하사받고 受賜歲畵十長生
풍아록 風雅錄
따뜻한 봄날 陽春歌
오랑캐 피리 胡笳曲
맑은 강가에서 淸江曲
요새에서 塞上曲
논두렁 머리에서 隴頭吟
그네뛰기 鞦韆詞
멀리 나가 놀며 遠遊篇
옷을 다듬으며 搗衣篇
종군의 아내 征婦怨
누에 치는 아낙네 蠶婦歎
가을비 秋雨歎
홀로 보지 못하여 獨不見
오래 그리워해도 長相思
먼 이별 遠別離
박명한 첩 妾薄命
생각이 있어 有所思
창가 베틀에서 當窓織
긴 가을밤 秋夜長
첩과 말을 바꾸다 妾換馬
첩은 편하게 있지만 妾安所居
고소대 高蘇臺
습유 拾遺
창화리를 지나며 過昌和里
문집 文集
부 賦 / 석가산부 石假山賦
기 記 / 장악원제명기 掌樂院題名記
서 序 / 풍소궤범서 風騷軌範序
월산대군시집서 月山大君詩集序
악학궤범서 樂學軌範序
뇌계시집서 㵢溪詩集序
논 論 / 사물은 함부로 합칠 수 없음을 논함 物不可以苟合論
설 說 / 검은 소 黑牛說
표전 表箋 /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며 올린 글 謝恩箋
잠명 箴銘 / 신발 屨
전 傳 / 부휴자전 浮休子傳
잡저 雜著 / 게으름을 조롱함 嘲慵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권문은 불과 같아서
뛰어들면 열이 나고
벼슬길은 바다와 같아서
밟으면 빠지나니
오직 덕과 의로 할 뿐
삼가서 넘어서지 말라
權門如火
踏之則熱
宦道如海
履之則沒
惟德惟義
慎勿顚越
月迷津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