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원형, 시공을 초월한 오리지널 패턴
사랑, 미궁, 디오니소스, 메두사, 마녀 … 문학, 영화, 게임에 숨은 원형(Archetype)들
고대 메소포타미아 수메르 지역의 전설적 영웅 이야기 『길가메시 서사시』에는 우트나피쉬팀의 홍수 이야기가 나온다. 구약성서의 ‘노아의 방주’와 매우 유사한 내용이다. 그뿐 아니다. 점토를 빚어 탄생한 엔키두는 아담에 비유할 수 있다. 성경보다 1000년 전에 점토판에 기록되었으니 표절 논란을 일으킬 만하다. 그리스신화도 오리지널을 자처하기 어렵다. 땅의 신에서 바다의 신으로 전락한 엔키 이야기는 포세이돈을 훨씬 앞선다.
문화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는 여러 문명의 신화, 종교, 유적 등이 놀라울 정도로 동일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다양한 문화의 신화들이 표면상으로 서로 다르지만 구조적인 유사성이 있다는 데 주목했다. 서로 다른 신화들이 같은 신화의 다른 판본이라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예를 들면 길가메시 서사시의 엔키두나 구약성서의 아담이 흙에서 탄생하는 것처럼 대부분의 문화에서 인류의 기원은 흙이다. 이는 인간 무의식의 구조, 즉 원형이 투영되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원형 개념은 인류 역사와 문명이 항상 진보하고 진화한다는 직선적인 사고에 대해 도전적인 견해를 제시한다.
원형은 시간과 개인을 초월하는 추상적인 영혼의 형상이다. 원형은 시공간을 넘어있는 인간 정신의 구조다. 시대와 문화를 거치며 약간씩 변하며 대를 이어 전수된 행동과 감정의 패턴이라 할 수 있다. 본능적인 것처럼 보이는 행동도 실은 무의식적으로 원형이 작용한 것이다. 원형이 구체화된 것이 상징이다. 신화, 민담, 전설, 서사시, 의식, 예술 등은 원형이 이미지나 이야기로 구체화된 것이다. ‘따뜻함, 안락함, 부드러움’의 사랑의 원형은 어머니나 성모 등으로 나타난다.
문학, 영화, 게임 등 현대의 문화콘텐츠는 원형(Archetype)을 원천으로 삼아 생산된다고 할 수 있다. 원형이란 오랜 세월을 통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인류 모두에게 각인되어 있는 오리지널 패턴이다. 원형의 실체를 인간은 직접 인식할 수 없다. 하지만 그것은 신화, 민담, 전설, 이미지 등으로 표출될 수 있다. 문화적, 지리적 차이와 관계없이 세계 곳곳에 존재하는 처녀 수태, 홍수 이야기, 지하세계로의 하강과 부활 등이 원형적 이야기다.
이 책은 주로 심층심리학의 관점에서 신화 등을 분석해서 원형에 접근한다. 원형의 역사와 개념을 정리하고 페르소나, 그림자, 아니마, 아니무스를 설명한다. 또 사랑, 미궁, 삼킴, 디오니소스, 메두사, 마녀 원형에 대해 접근한다. 책은 원형 개념 중에서도 특히 여신 원형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200자평
문학, 영화, 게임 등 현대의 문화콘텐츠는 원형(Archetype)을 원천으로 삼아 생산된다. 원형이란 오랜 세월 동안 시공을 초월해 인류 모두에게 각인되어 있는 오리지널 패턴이다. 원형의 실체를 인간은 직접 인식할 수 없다. 신화, 민담, 전설, 이미지 등으로 표출된다. 문화적, 지리적 차이와 무관한 처녀 수태, 홍수 이야기, 지하세계로의 하강과 부활 등이 원형적 이야기다. 이 책은 주로 심층심리학의 관점에서 신화 등을 분석해서 원형에 접근한다. 원형의 역사와 개념을 정리하고 페르소나, 그림자, 아니마, 아니무스를 설명한다. 또 사랑, 미궁, 삼킴, 디오니소스, 메두사, 마녀 원형에 대해 접근한다.
지은이
원형준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한양여자대학교 문예창작과 겸임교수이며, 알비(ARBY)와 루비박스의 공동대표다. 「월간미술」의 수석 기자와 일민미술관 큐레이터로 일했다. 건국대학교에서 신화 원형을 주제로 문화콘텐츠학 박사학위를, 미주리대학교(컬럼비아)와 홍익대학교에서 고고학․미술사학으로 학사․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신화 원형과 관련된 이미지의 상징성을 비롯해 캐릭터와 서사구조를 연구한다. 저서로 『이탈리아 작은 미술관 여행』, 『매지컬 미스터리 투어』(공저) 등이, 번역서로는 『그리스 미술』, 『이집트 미술』, 『회화란 무엇인가』 등이 있다. 「예술 작품 속 영원회귀의 신화적 상징 이미지 분석」(2021) 등의 논문을 등재학술지에 게재했다.
차례
원형이란 무엇인가
01 페르소나, 그림자
02 아니마, 아니무스
03 사랑 I
04 사랑 II
05 사랑 III
06 미궁, 미노타우로스
07 삼킴, 먹는 것
08 디오니소스
09 메두사
10 여신, 마녀
책속으로
어머니 원형이 긍정적으로 재현된 것이 여신(goddess) 원형이다. 여신은 양육하며 보살피고 위로하는, 온화하며 성스러운 우주적 어머니로, 상징은 성배·장미 등이다. 『신데렐라』, 『잠자는 숲 속의 미녀』의 요정 대모, 『피노키오』 속 푸른 머리 요정, 『오즈의 마법사』의 금발 마녀 글린다, 『반지의 제왕』의 엘프 갈라드리엘, 아르웬이 여신 원형 캐릭터다.
_ “01 페르소나, 그림자” 중에서
그리스인은 원형을 신으로 의인화했는데, 사랑의 원형은 에로스와 프시케라 했다. 로마의 루키우스 아풀레이우스의 『황금 당나귀』에 등장하는 신화지만, 그 이전부터 유래된 사랑과 결혼에 의한 여성의 변환 이야기다. 이를테면 이시스 여신이 죽은 오시리스를 재생시키기 위해 여정을 떠나 온갖 고난 끝에 호루스를 낳는다는, 이시스 여신의 입문비의와 유사하다.
_ “03 사랑 I” 중에서
그렇다면 사랑 원형은 무엇인지, 대표적인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를 통해 그 본질을 알아보자. 아프로디테는 크로노스가 자른 우라노스의 성기가 바다에 빠진 뒤 거품과 같이 탄생했다. 그녀가 거하는 궁전도 바다 속에 있다. 바다는 무의식의 세계, 태초의 근원적 원소, 태고의 여성성을 나타내므로, 아프로디테는 그런 속성을 지녔다고 볼 수 있다.
_ “05 사랑 III” 중에서
디오니소스가 찢겨 죽었다 부활한 것은 포도나무가 눌려 부서진 후 숙성되어 포도주로 변하는 과정이다. 즉, 한 생명이 죽은 뒤 재생돼 다른 존재로 변신한 것이다. 다리 세 개인 가마솥에 들어가 죽었다 부활한 것은 숫자 3의 순환성을 상징한다. 제우스와 아폴론이 태양과 광명이라면, 디오니소스는 빛의 뒷면인 어둠을 통합한 신이다.
_ “08 디오니소스” 중에서
양수의 아늑하고 따뜻한 느낌, 질을 통과할 때 미끈거리고 축축하고 끈적한 감각에 대한 기억은 탄생이면서 동시에 그곳으로의 회귀는 죽음이다. 이때 흐물거리고 물컹거리는 것은 형태가 만들어지기 이전의 생명 속성이다.
_ “10 여신, 마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