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우리들의≫는 한 러시아인 가족의 이야기다. 작품 속 화자는 자신의 가족 한 사람 한 사람에 대한 개성 넘치는 이야기들을 들려주고 있다. ≪우리들의≫에는 열세 명의 가족을 주인공으로 한, 열세 편의 이야기가 들어 있다.
도블라토프 창작 세계의 특징 중 하나는 작품 속 이야기가 사실보다 더 그럴싸하다는 것이다. 이는 작가가 주변에서 작품의 소재를 찾을 뿐만 아니라 실재 인물의 이름이나 직업, 그와 관련된 사건들을 작품 속에 집어넣고 있는 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작가의 상상력과 나아가 그의 예술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작가 도블라토프의 실제 삶을 조금만 알아도 작품 속 이야기가 실제가 아닌 픽션임을 알 수 있다. 물론 픽션과 논픽션의 경계가 작가의 치밀한 이야기 구조 속에 엉켜 있어서 그 확실한 기준점을 찾기가 힘든 것도 사실이지만, 이 또한 작가 특유의 창작 세계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블라토프의 이 같은 독특한 작품 세계를 이해하는 데 ≪우리들의≫는 좋은 본보기다. ≪우리들의≫ 속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이 실제 작가의 가족들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아직 도블라토프의 작품을 접하지 못한 우리나라에서 ≪우리들의≫는 단편 작가로서의 도블라토프의 세계와 그의 대표적인 창작 상의 특징을 동시에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미국 <뉴요커>지에 실린 열 편의 작품 중에서 절반에 해당하는 다섯 편이 ≪우리들의≫에 실려 있을 정도로, 도블라토프 최고의 작품들을 이 책에서 만나볼 수 있다. 또한 모두에게 친근한 가족 이야기 속에서 등장인물들과 그들의 살아 있는 원형들(실제 작가의 가족들)의 용이한 비교를 통해, 앞으로 선보일 도블라토프의 다른 작품들을 이해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도블라토프는 문체를 중요시하는 작가다. 위에서 말했듯이, 주변에서 작품의 소재를 찾는 만큼, 그의 작품 속 내용은 지극히 평범하다. 하지만 이 평범한 일상의 소재를 언어로 표현하는 데 도블라토프가 들이는 노력은 굉장하다. 한 인터뷰에서 그는 한 문장마다 수백 번씩 쓰고 고치기를 반복한다고 털어놓았다. 그렇게 다듬고 또 다듬어서 탄생된 몇 단어로 이루어진 짤막한 문장에는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 압축적이면서도 선명하게 드러나 있다. 군더더기라고는 찾아볼 수가 없다. 언어의 마술사라고 불리기에 충분할 정도로 정확하면서도 쉬운 도블라토프의 문체는 러시아어의 진수를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도블라토프는 전 세계적으로 알려진 작가임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제대로 된 단행본조차 없는 실정이다. ≪우리들의≫는 미국에서뿐만 아니라 유럽 여러 나라에서, 그리고 1997년에는 가까운 일본에서도 출판된 바 있다. 이 작품은 도블라토프의 대표작 중 하나로, 이 러시아 이민 작가를 처음 접하는 우리나라 독자들에게 그의 작품 세계와 현 러시아의 문학 경향을 이해하는 데 좋은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작가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 위에서 언급했듯이, 픽션과 논픽션을 혼동할 수 있는 많은 요소들에 주석을 달았다.
200자평
러시아에서 20세기 체호프라고 불리우는 도블라토프의 작품이 국내 최초로 번역되었다. 이 책은 러시아 제정 말기를 살았던 조부의 삶에서부터 소비에트를 살았던 부모와 화자 세대, 그리고 이민 후 미국에서 정착해 살고 있는 다음 세대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의 작품들은 대부분 자전적인 이야기를 토대로 쓰여졌다. 덕분에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소비에트 러시아인의 삶을 생생하게 느껴볼 수 있을 것이다.
지은이
세르게이 도블라토프(Сергей Д. Довлатов)는 러시아 현대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예술성과 대중성을 모두 인정받고 있는 보기 드문 작가들 중 한 명이다. ‘소비에트 체호프’라고도 불리는 단편 작가 도블라토프는 특유의 평이하면서도 세련된 문체로 푸시킨의 언어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도 하다. 소비에트 사회에서 한 편의 출판물도 없었던 ‘작가 아닌 작가’ 도블라토프는 미국으로 이민한 후, 1980년대 초반에 자신의 거의 모든 작품을 세상에 내놓았다. 그 중 단편 열 편은 권위 있는 ≪뉴요커≫지에도 실렸다. 러시아 작가로 이 잡지에 이름을 올린 경우는 ≪롤리타≫로 유명한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에 이어 두 번째다. 작가라는 신분으로 고국에 가고 싶어 했던 도블라토프의 생전의 바람은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무산되었지만, 1993년 그의 첫 번째 전집이 조국인 러시아에서 발간된 이후 현재까지 매년 재발행이 이루어지고 있을 정도로 엄청난 판매 부수를 자랑하고 있다.
옮긴이
김현정은 경남 마산에서 출생했다. 1996년 부산대학교 노어노문학과를 입학하고, 2003년 러시아 정부 장학생으로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국립대학교 노어노문 및 교육학과 석사 과정에 입학, 2005년 도블라토프 작품 세계에 대한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6년 대한민국 관정 이종환 재단 장학생으로 동 대학 박사 과정에 입학했다. 박사 3학년 재학 중 ≪우리들의≫를 번역하면서 도블라토프를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했다. 이후 10년간 도블라토프의 작품 세계를 연구하면서 번역서를 내고 있다.
차례
우리들의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여러분 앞에 있는 것이 제 가족사입니다. 지극히 평범한 이야기이기를 바랍니다. 몇 마디 덧붙이는 일만 남았습니다. 1981년 12월 23일 뉴욕에서 제 아들놈이 태어났습니다. 합중국 국적의 미국인이랍니다. 이름은−상상이 되시는지−미스터 니콜라스 도울리. 이것이 내 가족과 우리 조국이 살아왔던 이야기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