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사랑의 유희〉는 어떤 의무로부터도 자유롭고자 하는 연애관을 표방하는 부유하고 유쾌한 빈의 두 대학생 프리츠와 테오도어를 한 축으로 전개된다. 다른 한편 신분이 낮은 여자 친구 미치와 크리스티네의 단조로운 일상이 또 하나의 축을 이룬다. 대화, 방문, 만남으로 채워져 있는 일상의 삶을 지탱할 다정한 보호를 동경하는 이들은 점차 가상과 거짓된 사랑으로 점철된 순간적이며 덧없는 분위기 속으로 빠져든다.
어느 날 프리츠의 집에서 이들 네 사람은 촛불을 켜고, 피아노 음악이 나지막이 들리는 가운데 가벼운 담소를 나누며 정감 있는 저녁 시간을 보낸다. 테오도어는 낙천적인 미치와 부담 없는 연애 관계를 펼치는 반면, 유약한 성격의 프리츠는 상류사회의 한 유부녀와 복잡 미묘한 비극적 사랑에 빠져 있다. 테오도어는 프리츠가 이 감정의 소용돌이로부터 벗어나도록 하기 위해 크리스티네 바이링과 구속력 없는 사랑의 유희를 제안한다. “기분 전환! 그게 바로 심오한 의미라네. 그 여자들은 기분 전환을 위해 존재하는 거야. 그래서 소위 흥미로운 여자들이 내게 거슬리는 거지. 여자들은 흥미로울 게 아니라 편안해야 하네”라고 테오도어는 프리츠를 설득한다.
〈사랑의 유희〉는 이 작품이 쓰인 19세기 말에 이미 역사물이 되어 버린 독일 시민비극의 후예로 간주할 수 있다. 레싱의 〈에밀리아 갈로티〉, 실러의 〈간계와 사랑〉 같은 예에서 관찰할 수 있듯이, 계몽주의적 시민비극의 경우 시민계급의 젊은 여성들은 자신의 신분 문제 혹은 상대방의 인간성 결여로 사랑에 좌절해 파멸한다. 계몽주의 시민비극은 여성의 육체적 몰락을 사회의 압제로부터 자유로워진 개인의 유토피아로 승화시켜 계몽주의라는 규범적이고 교육적 차원을 보여 준다. 반면 슈니츨러에 이르러 계몽주의적 인간성의 승화는 인간의 숙명론에 패배하고 만다. 게르하르트 하웁트만의 초기 자연주의 드라마 〈해 뜨기 전〉과 〈들쥐 떼〉에서처럼 〈사랑의 유희〉 마지막 부분에는 더 이상 어쩔 수 없는 상황의 절망감이 두드러진다.
이 드라마를 특히 돋보이게 하는 것은 생략 기법이다. 특히 대사를 통한 혹은 지문에 나타나는 심리적 암시나 묘사의 탁월함은 슈니츨러의 다른 모든 작품들에서와 같이 이 드라마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알레빈(R. Alewyn)은 슈니츨러의 문학 세계와 작가로서의 다양한 면모를 “영혼의 분석자이자 풍속 묘사가, 사회 비판자이자 진리의 광신자”라고 표현했다. 이 드라마 고유의 가치는 무엇보다도 감수성이 풍부한 빈 대중극의 유형을 사회 심리 드라마로 바꾸어 놓았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200자평
아르투어 슈니츨러의 3막 비극으로 1895년 10월 9일 빈의 부르크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특히 성공을 거둔 슈니츨러의 작품들은 관객의 정서적 감정 이입을 약화시키지 않고 오히려 이를 진작시키는 예술적 기법을 보여 준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런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우선적으로 꼽히는 〈사랑의 유희〉는 슈니츨러에게 최초의 대성공을 가져다주었다.
지은이
아르투어 슈니츨러(Arthur Schnitzler, 1862∼1931)
1862년 5월 15일 빈에서 태어났다. 명망 있는 의사의 아들로 빈에서 태어난 그는 외견상 이상적 삶의 조건이 약속해 준 것과는 달리 결코 보장되고 안정된 삶을 누리지는 못했다. 도박과 환락의 생활은 평생의 업으로 그를 따라다녔기에 그의 말년 역시 개인적으로나 가정적으로 평탄하지 못했다. 그의 문학 세계는 이러한 삶의 심리적 투영이자 고백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희곡 장르뿐 아니라 소설에서도 괄목할 만한 대중적 성공을 거둠으로써 당시 문학계에서 자신의 위상을 확고히 했다. 그의 작품 대부분은 세기말 빈의 분위기를 성실하게 묘사하는 오락 문학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작품들이야말로 당대의 인기 작가로서의 명성을 그에게 가져다주었다. 대표 희곡으로는 대표적인 희곡으로 <아나톨(Anatol)>, <사랑의 유희(Liebelei)>, <윤무(Reigen)>, <광활한 땅(Das weite Land)>, <베른하르디 교수(Professor Bernhardi)> 등이 있다. 만년에는 희곡보다 소설을 썼다. 대표적인 단편소설로 <구스틀 소위(Leutnant Gustl)>, <엘제 양(Fräulein Else)>, <야외로 가는 길(Der Weg ins Freie)> 등이 있다. 1931년 10월 21일 뇌출혈로 빈에서 사망했다. 10월 23일 빈 중앙묘지에 안장되었다.
옮긴이
장미영
이화여자대학교 문리대 독어독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뮌스터대학에서 독문학, 음악학, 교육철학을 공부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인문대학 독어독문학 명예교수다. 지은 책으로 《요셉 폰 아이헨도르프의 소네트 연구》, 《문학의 영혼 음악의 영감》, 《나르시스의 연못》, 《독일. 내면의 여백이 아름다운 나라》(공저), 옮긴 책으로 《사랑의 유희》, 《보르프스베데·로댕론》, 《젠더 연구》(공역) 등이 있다.
차례
나오는 사람들
제1막
제2막
제3막
해설
지은이에 대해
지은이 연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프리츠 : 그 아가씨는 정말 사랑스러워. 아주 잘 따르고 무척 다정하다네. 이따금 내겐 지나치게 다정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테오도어 : 자넨 정말 구제불능인 것 같군. 그 문제 역시 다시 진지하게 생각하고 싶다면 말이야−
프리츠 : 하지만 그 일은 생각하지 않고 있네. 우리는 의기투합하지 않았나, 기분 전환하자고.
테오도어 : 나도 자네에게서 손 떼겠네. 자네의 비극적 연애 사건이라면 이젠 넌덜머리가 나네그려. 그 일은 내게 지겹기 짝이 없네. 그 대단한 양심을 내게 얘기하고 싶다면, 그런 경우에 해당되는 간단한 내 원칙을 자네에게 말해 주겠네. 그건 다른 남자보다는 내가 낫다는 거야. 다른 남자는 운명처럼 피해 갈 수 없기 때문이지.
13-14쪽
크리스티네 : 생각해 봐−그 사람이 안 왔어.
미치 : 그 사람이 널 바람 맞혔다구? 너한테 그런 일이 있다니!
크리스티네 : 그래, 이게 무슨 일이지? 대체 내가 무슨 잘못을 한 걸까?
미치 : 넌 그 남자 버릇을 나쁘게 만들고 있어, 너무 잘해 주거든. 그러니까 남자 콧대가 높아지는 거야.
크리스티네 : 알지도 못하면서 그렇게 말하지 마.
미치 : 내가 무슨 말을 하는지 아주 잘 알구 있어. 난 벌써 내내 너 때문에 화가 나 죽겠어. 데이트에 너무 늦게 나오질 않나, 너를 집에 데려다주지도 않지, 극장에서도 특별석에 있는 낯선 사람들에게 가서 앉고, 널 무작정 바람맞히고− 넌 그걸 모두 말없이 견디면서, 게다가− (조롱하듯 흉내 내면서) 잔뜩 사랑에 빠진 시선으로 그 남자를 그저 바라보고 있잖아.
80-8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