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만지한국문학의 〈지역 고전학 총서〉는 서울 지역의 주요 문인에 가려 소외되었던 빛나는 지역 학자의 고전을 발굴 번역합니다. ‘중심’과 ‘주변’이라는 권력에서 벗어나 모든 지역의 문화 자산이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지역 학문 발전에 이바지한 지역 지식인들의 치열한 삶과 그 성과를 통해 새로운 지식 지도를 만들어 나갑니다.
한강 뱃길을 따라 노래하다
〈열상 기행 절구〉는 한강 일대를 소재로 삼은 7언 절구 100수의 장편 연작 기행시다. 신필영은 1846년(헌종 12) 음력 8월 초에 지금의 서울시 성동구 옥수동 및 금호동 일대인 두모포(豆毛浦)에서 출발해 동호(東湖) 일대와 남한강을 거쳐 고향인 경기도 지평현 부근까지를 일정으로 해서 8월 하순까지 약 20일간의 여정을 시로 담았다. 한강 기행시는 김선(金䥧, 1772∼1833)의 〈주행 백 수(舟行百首)〉로부터 비롯했는데, 김선은 당나라 전후(錢珝)의 〈강행무제(江行無題)〉 100수를 전례로 삼아 100수의 한강 기행시를 창작했다. 이후 두릉의 마재[馬峴]에서 출발해 북한강을 거슬러 춘천을 여행하며 남긴 정약용의 《천우 기행(穿牛紀行)》에 수록된 7언 절구 25수, 한강의 서호(西湖) 일대를 읊은 신위의 〈서강 절구(西江絶句)〉 30수 등, 18∼19세기에는 한강 기행시 창작이 유행했다.
조선 후기 죽지사(竹枝詞)의 흐름을 잇다
신필영의 〈열상 기행 절구〉는 오롯이 뱃길 여행만을 다룬 김선의 〈주행 백 수〉와는 달리, 한강의 동호 및 남한강 일대의 역사·문화 경관, 빼어난 산수풍경, 친교를 맺은 인물들과 사별한 아내에 대한 정회(情懷), 한강 변 향촌의 일상 등 다양한 내용을 100수의 편폭에 담아내었다. 그러나 죽지사를 표방한다는 점과 절구의 형식을 활용해 여행에서 마주하는 짧은 순간의 광경이나 정감을 효율적으로 담고 있다는 점에서는 〈주행 백 수〉와 일맥상통한다. 죽지사란 중국 민가에서 기원한 양식으로, 경치, 인정, 풍속 등을 주로 다루는 풍물 연작시의 일종이다. 18세기에 들어서면 조선 시단에는 다양한 개성을 지닌 작가가 등장해 기존에는 찾아볼 수 없었던 면모들이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작가의 독특한 주제 의식을 담은 연작시의 대량 출현이다. 이 같은 연작시는 조선 후기에 대거 창작된 기속시 및 연행 체험을 서술한 장편 연행시 등의 다양한 형태로 등장했으며, 그 가운데서 절구 형식의 단형 연작시들도 활발하게 창작되었다. 〈열상 기행 절구〉 역시 일반적인 기행시를 표방하면서도 내용 면에서는 다채롭고 독특한 작가의 주제 의식을 담아내었으며, 형식 면에서는 절구 형식의 단형 연작시로 창작되었으므로, 18세기 한시사의 특징을 계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신필영은 이러한 자유로운 연작시의 시체를 따라 회고시, 산수 경물시, 회인시, 도망시, 농촌시 등 여행에서 경험한 다양한 일들을 자유롭게 노래해 개별 절구가 독립된 작품으로서도 의미를 지닐 수 있게 한 한편, 유기적 구성에서 밀도가 떨어지는 연작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구성 면에서 하나의 짜임새를 갖춘 작품을 만들었다. 소재와 내용 면에서도 여정과 함께 일대 향촌의 풍정까지도 담아내고자 한 결과, 〈열상 기행 절구〉는 일반적인 기행시를 넘어서 죽지사풍 기속시로서의 성격도 지니게 되었다.
실제를 기록하다
신필영은 〈열상 기행 절구〉의 서문에서 선상 여행, 성묘, 관가라는 여행의 세 가지 주요 목적을 제시했으며, 특히 “실제를 기록한 것이다”라고 해서 자신이 눈으로 보고 느낀 한강 유역과 농촌의 ‘참모습[實]’을 보여 주고자 했음을 밝혔다. 회고시, 산수 경물시에서는 남한강 일대의 풍경을 묘사하면서 전고를 활용해 시경(詩境)을 확장하는가 하면, 동양화 작법의 하나인 도영법(倒影法)과 색채어를 활용해 풍경을 그림처럼 표현하고자 했다. 홍길주, 김매순, 신익성, 서유구 등을 추모한 회인시에서는 그들의 삶의 내력과 그들에 대한 추억 등을 형상화했으며, 사별한 아내 연일 정씨를 위해 남긴 총 여덟 수의 도망시는 비창(悲愴)한 심정이 진솔하게 투영되어 〈열상 기행 절구〉 전체의 서정성을 강화하고 있다. 동호의 뚝섬(제3수), 송파나루(제6수)와 우천의 사옹원 분원(제20수), 여주의 이포나루(제89수)를 소재로 한 기속시에서는 그곳을 터전으로 삼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활상 및 경제 활동의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해 내었고, 농촌시에서는 농촌에서 마주친 다양한 민중을 사실적인 필치로 형상화하면서 해학적인 묘사와 대화체를 활용해서 현장의 생동감을 부각해 농촌의 일상을 핍진하게 묘사하고 농민들의 온정을 드러내는 등 조선 농촌의 특색을 전면에 드러내 19세기 한시의 ‘조선풍’을 공유하고 있다.
200자평
‘열상(冽上)’이란 열수(冽水), 즉 한강 위를 말한다. 《열상 기행 절구(冽上紀行絶句)》는 1846년, 신필영이 성묘를 위해 서울 두모포(현재의 옥수동 금호동 일대)에서 출발, 남한강을 거쳐 고향인 경기도 지평을 다녀오면서 쓴 7언 절구 100수의 연작 기행시다. 기본적인 기행시의 틀을 유지하면서도, 한강의 동호 및 남한강 일대의 역사·문화 경관, 빼어난 산수풍경, 친교를 맺은 인물들과 사별한 아내에 대한 정회(情懷), 한강 변 향촌의 일상 등의 다양한 내용을 아우르고 있다. 당시 서울에서 경기도까지의 한강 뱃길, 농촌 사회의 모습 등을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선 후기 죽지사의 전통을 계승한다는 점에서도 의미 있는 작품이다.
지은이
신필영은 1810년(순조 10) 음력 11월 초5일 경기도 지평현 옥현리의 종애(鍾崖)에서 낭암(朗巖) 신효선(申孝善, 1783∼1821)과 함종 어씨(咸從魚氏, 1779∼1853)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자는 치량(穉良)이고 호는 옥파(玉坡)·옥파거사(玉坡居士)·자이고객(自怡藁客)·이당옹(怡堂翁)·비원거사(賁園居士)·민재(敏齋) 등이다.
신필영은 황해북도 평산군(平山郡)을 본관으로 하고, 고려의 개국 공신의 일원인 장절공(壯節公) 신숭겸(申崇謙)을 시조로 하는 평산 신씨(平山申氏) 가문에서 태어났다. 부친 신효선을 일찍 여의고 외가인 함종 어씨 집안에서 수학했으며, 20세 무렵부터 홍길주(洪吉周, 1786∼1841)의 자제인 홍우건(洪祐健, 1811∼1866)과 교분을 맺고 홍석주(洪奭周, 1774∼1842)의 문하에 출입하며 풍산 홍씨(豊山洪氏) 집안의 자제들과 교유했다. 신필영은 당대 명문에 속하는 함종 어씨 집안과의 척분 및 풍산 홍씨 집안과의 각별한 교분을 통해 19세기의 유명 문인 학자들과 폭넓게 교유하면서 활발한 문학 활용을 벌였다.
신필영은 만년에 참봉에 제수되기 이전까지 포의(布衣)로 살며 주로 문학 활동에 치중해 방대한 양의 시 작품을 남겼다. 문(文)을 창작하는 것에는 별 뜻이 없었다고 언급한 것으로 보아 그는 평생 시 창작에 몰두했던 것으로 보인다. 신필영은 50세이던 1859년(철종 10)에 증광생원시에 장원으로 급제한 후, 54세 때인 1863년(철종 14) 7월에야 비로소 창릉참봉(昌陵參奉)에 제수되었다. 이후에 대과(大科)에 응시했으나 낙방하고, 참봉에 제수된 지 만 2년 만인 1865년(고종 2) 10월 12일에 유행성 감기로 인해 경기도 지평현 옥현리 주애(注崖)의 정침(正寢)에서 향년 56세로 타계했다.
옮긴이
표가령(表佳伶)은 1992년 부산에서 태어나 부산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같은 대학원에서 즉지헌(則止軒) 유언호(兪彦鎬, 1730∼1796)의 산문을 주제로 해서 박사 학위 논문을 집필하고 있다. 한국고전번역원 연수 과정을 졸업했으며, 한국고등교육재단 한학 연수 장학생을 수료했다. 우리의 삶과 고전 속 삶이 만나는 지점에 대해 늘 고민하고 있고, 조선 후기, 특히 18∼19세기 한국 한문학 및 동아시아 한문학이 시대의 변화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 나갔는지에 관심을 두고 있다. 논문으로 〈옥파 신필영의 〈열상 기행 절구〉 연구〉(2018),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의 〈단천 절부시(端川節婦詩)〉 서사 기법 연구〉(2019), 〈유언호(兪彦鎬) 《연석(燕石)》의 평점 비평 연구〉(2019), 〈유언호 《연석승유기(燕石勝遊記)》의 평점 비평 연구〉(2020), 〈19세기 조선 문인의 《해국도지(海國圖志)》 독서 체험과 문학적 형상화 : 신필영의 〈해국죽지사(海國竹枝詞)〉 연구〉(2021)가 있다.
차례
열상 기행 절구 서문
1. 두호(荳湖)
2. 유하정(流霞亭)
3. 뚝섬[纛苫]
4. 압구정(狎鷗亭)
5. 삼전도(三田渡)
6. 송파(松坡)
7. 남한산성을 바라보다
8. 춘초정(春草亭)
9. 광나루[廣津]
10. 대승암(大乘菴)
11. 둔촌 서원(遁村書院)
12. 미음(渼陰)
13. 석실(石室)
14. 평구(平邱)
15. 덕연(德淵)
16. 팔당[巴塘]
17. 당정(棠汀)에서 유숙(留宿)하다
18. 두미(斗尾)
19. 봉안역(奉安驛)
20. 우천(牛川)
21. 두릉(斗陵)
22. 창연정(蒼然亭)
23. 남자주(藍子洲)
24. 고랑리(高浪里) 병사(丙舍)
25. 부인 묘소에서 곡하다 1
26. 부인 묘소에서 곡하다 2
27. 왕손골[王孫谷]
28. 풍석(楓石) 서유구(徐有榘)를 곡하다
29. 영백(永伯) 홍우명(洪祐明)을 방문하다
30. 유산(酉山) 정학연(丁學淵)을 방문하다
31. 서울로 돌아가는 아들을 전송하다
32. 고랑(高浪)나루를 건너다
33. 월계(月溪)
34. 양근군의 치소(治所)에서
35. 군의 주막에서 점심을 먹다
36. 용문산(龍門山)을 바라보다
37. 마취령(馬嘴嶺)
38. 현천(玄川)에서 벗을 방문하다
39. 인삼밭 ··
40. 마천(馬川)
41. 옥구촌(玉鉤村)
42. 8월 24일 1
43. 8월 24일 2
44. 향촌 즉흥시 1
45. 향촌 즉흥시 2
46. 향촌 즉흥시 3
47. 향촌 즉흥시 4
48. 향촌 즉흥시 5
49. 향촌 즉흥시 6
50. 향촌 즉흥시 7
51. 향촌 즉흥시 8
52. 향촌 즉흥시 9
53. 향촌 즉흥시 10
54. 향촌 즉흥시 11
55. 향촌 즉흥시 12
56. 향촌 즉흥시 13
57. 향촌 즉흥시 14
58. 향촌 즉흥시 15
59. 향촌 즉흥시 16
60. 향촌 즉흥시 17
61. 향촌 즉흥시 18
62. 관가(觀稼) 1
63. 관가 2
64. 관가 3
65. 관가 4
66. 관가 5
67. 관가 6
68. 관가 7
69. 관가 8
70. 관가 9
71. 관가 10
72. 관가 11
73. 관가 12
74. 관가 13
75. 잡영(雜詠) 1
76. 잡영 2
77. 잡영 3
78. 잡영 4
79. 잡영 5
80. 잡영 6
81. 잡영 7
82. 잡영 8
83. 잡영 9
84. 잡영 10
85. 잡영 11
86. 잡영 12
87. 잡영 13
88. 잡영 14
89. 잡영 15
90. 잡영 16
91. 잡영 17
92. 잡영 18
93. 잡영 19
94. 잡영 20
95. 잡영 21
96. 잡영 22
97. 서울로 돌아가며 1
98. 서울로 돌아가며 2
99. 서울로 돌아가며 3
100. 서울로 돌아가며 4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 후기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열상 기행 절구 서문
강에 배 띄우고 성묘하고 산골짜기에서 농사일 둘러보니, 여정은 근 200리요, 밤낮은 거의 20일 남짓이었다. 경치를 만나 읊기도 하고, 일을 만나 짓기도 했다. 강가 마을의 깨끗하고 맑은 풍취와 산골 마을의 질박한 풍속, 초목과 조충(鳥蟲)이 알리는 절후(節侯)와 바람·달·안개·구름의 색태(色態), 자질구레한 민정(民情)과 시시각각 변하는 물태(物態)를 모두 이목을 통해 얻어서, 붓과 종이로 풀어내었다. 심지어 얽히고설킨 애달픈 감정이 시를 읊거나 여행하는 중에 많이 나온 것은 참으로 그 이유를 알지 못하겠다. 모두 절구 100수를 얻어 묶어서 이름 붙이기를 《강광협기집(江光峽氣集)》이라 했다. 이번 여행이 강과 골짝의 사이를 벗어나지 않았지만, 실제를 기록한 것이다. 병오년(丙午年, 1846) 중추(仲秋) 하순(下旬) 지평(砥平)의 남쪽 장사(莊舍)에서 쓰다.
3. 뚝섬[纛苫]
수많은 돛배, 뚝섬 강가에 일제히 모여
다투어 선세를 관리에게 내네.
어부들 집집마다 한가로이 그물 말리는데
석양에 푸른 버들가지 끝이 없네.
千帆齊會纛江湄 船稅爭輸榷稅司
處處漁家閑曬網 夕陽無限綠楊枝
纛苫
25. 부인 묘소에서 곡하다 1
어이 생각했을까, 중년에 그대 잃고 눈물 흘릴 줄을
꽃잎 흩날리고 옥 부서진 지 벌써 3년이로다.
무덤 와서 우는 아이, 그대는 아는지 모르는지
이 서러움 하염없어 구천까지 닿으리라.
那意中身泣斷絃 花飄玉碎已三年
兒來哭墓君知否 此恨緜緜到九泉
哭孺人墓
46. 향촌 즉흥시 3
외양간, 돼지우리가 서로 이어지는 듯한데
산대추 새빨갛게 익는 팔월 가을이어라.
울 아래 심은 배추는 푸른 잎이 보드랍고
움 속의 토란은 주먹만큼 커다랗네.
牛欄豚柵恰相連 山棗鮮紅八月天
籬下種菘靑葉嫩 窨中藏芋大如拳
57. 향촌 즉흥시 14
“미워 죽겠네 당신!” 술은 이미 고주망태이니
손님이 왔나 하다 겁먹고 아이가 울어 대네.
솔 사립은 밤 되면 모름지기 굳게 닫아야 하는데
아랫마을에서 절구질하고 오니 달이 서산에 있네.
憎煞卿卿醉似泥 客來翻恐小兒啼
松門入夜須深閉 下里舂歸月在西
71. 관가 10
말과 되로 공평하게 나누며 속셈해 보네
올해는 작년의 수확에 비해 어떤가 하고.
백성 쥐어짜는 일은 어진 사람 할 짓 아니니
농가의 수확이 넉넉하도록 해 주게.
斗斛平分意內籌 今年何似去年收
竭人非是仁人事 且許農家所獲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