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콘텐츠학 강의
정창권과 <<문화콘텐츠학 강의 1, 2>>
창조사업가를 만들어
영철버거는 휴머니즘으로, 나물이네는 가족 마인드로, 총각네야채가게는 문화 감각으로, 마술사 이은결은 아트 감각으로, 조앤 롤링은 미래 감각으로, 스티브 잡스는 인문학과 타이포그래피 지식으로 제조업과 유통업을 창조업의 반열에 올렸다. 창조경제를 만드는 것은 돈도 힘도 아니다. 창조사업가다.
당신이 생각하는 창조경제는 무엇인가?
창의적 아이디어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이다. 지식이나 정보, 문화예술, 콘텐츠, 스토리텔링, 융복합, 인문학이 중요하다. 제조업만으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어렵다.
박근혜 정부가 주장하는 창조경제와 당신의 생각은 무엇이 다른가?
그들은 과학기술 중심으로 생각한다. 정보통신기술과 각종 신기술, 기존 산업과의 융합에만 치중한다. 핵심은 독창적인 아이디어, 즉 인문학이나 문화예술, 스토리텔링 능력을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에 있다.
창조경제 만드는 데 대한민국의 강점은 무엇인가?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해 있고, 콘텐츠 개발과 스토리텔링 능력이 뛰어나다. 경쟁과 변화에 대처하는 능력도 뛰어나다. 다시 말해 창조적 아이디어를 발굴, 가공, 활용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약점은 무엇인가?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기 힘든 환경이다. 교육열이 높지만 입시, 취업 중심이다. 또 창조경제를 정치적으로 접근한다. 국가의 장기 발전과 일자리 창출, 균형 발전을 위해 대의적 관점에서 추진해야 한다.
당신이 추천하는 성공한 창조경제 사례는 무엇인가?
디지털 혁명가 애플의 스티브 잡스, <<해리포터>>로 판타지 붐을 일으킨 조앤 롤링, 마술을 예술로 바꾼 이은결, 휴머니즘 마케팅으로 성공한 영철버거의 이영철, 인기 블로그 나물이네 김용환, 문화를 파는 야채장사 총각네야채가게와 같은 창조사업가들이다. 아티스트, 엔터테이너, 아이디어 사업가, 정보통신기술 사업가, 서비스업 분야에서 자신만의 아이디어로 성공한 창조사업가들이 많다.
이 사례에서 배울 점은 무엇인가?
창조사업가들의 창의력과 문제 해결 능력이다. 창조사업가를 육성하려면 입시, 취업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야 한다. 지나친 경쟁을 통해 성공만 추구하는 사회 분위기를 바꿔야 한다. 여유와 즐거움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인문학이나 문화예술을 통한 정신적 만족과 높은 행복지수가 창의력을 키운다.
창조경제를 추구하는 데 대한민국이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법적, 제도적, 인식적 측면의 인프라나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다. 미국이나 유럽, 일본처럼 과학기술 융합을 통한 창조경제만이 아니라 인문학, 문화예술, 일상생활 속의 아이디어까지 포함한 광범위한 분야로 확대해야 한다. 대기업이나 대학 중심만이 아니라 소규모나 개인 단위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소규모 단위로 발전할 수 있는 분야가 훨씬 많다.
경제적 지원은 중요하지 않나?
막연하고 직접적인 경제적 지원은 오히려 장애물이 될 수도 있다. 정부는 대의적 측면에서 기반을 조성하고 민간이 주도해야 한다.
<<문화콘텐츠학 강의>>는 창조경제 실행에 어떻게 기여하나?
콘텐츠 산업 분야에서 창조경제를 이해하고 실행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이해와 실행을 두 권으로 나누어 집필했다. ‘깊이 이해하기’ 편은 하나의 학으로서 문화콘텐츠의 개념과 범주, 분야별 동향을 다뤘다. ‘쉽게 개발하기’ 편에서는 좋은 콘텐츠를 개발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좋은 콘텐츠를 개발하려면 어떤 능력을 키워야 하나?
무엇보다 상상력을 키워야 한다. 인접 학문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보유한 멀티플레이어가 되라. 그리고 자신만의 주특기를 가져야 한다. 풍부한 현장 경험도 중요하다.
콘텐츠의 소재는 어디서 찾을 수 있나?
소재는 무궁무진하다. 전통문화, 문학, 설화와 전래동화, 어학, 역사, 현대문화, 스포츠 등 다양한 장르에서 찾을 수 있다.
어떤 사례가 있나?
고전을 현대적으로 변용한 드라마 <쾌걸 춘향>, 삼국시대 서동요 설화를 드라마화한 <서동요>, 사투리를 소재 삼은 개그콘서트 <생활사투리>, 역사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대장금>, <불멸의 이순신>, <주몽>, <왕의 남자> 등 다 꼽을 수 없이 많다.
당신은 누구인가?
정창권이다. 고려대학교 초빙교수다. 고려대학교 대학원 응용언어문화학협동과정 문화콘텐츠 전공에서 문화콘텐츠학을 강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