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비움으로써 충만해지는 인간을 말하다
인류세 시대에 다시 읽는 다석의 인간학
첨단 과학기술로 인간의 신체적·정신적 능력을 극대화하자는 사람들이 있다. 그로써 인간은 더 나은 존재가 될 수 있을까? 다석 류영모에 따르면 인간의 자기 초월은 ‘자기 긍정’이 아니라 오히려 ‘자기 부정’을 바탕으로 삼을 때 가능해진다. 인간은 죽음을 통해 삶의 숭고함을 보고, 무능을 통해 상호 의존과 공생의 방식으로 생명 살림을 이루며, 무지함을 통해 인간 언어와 인식 너머에 있는 신비를 발견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인간’ 자체가 문제가 된 시대인 지금의 인류세에 다석의 철학을 다시금 읽는다. 다석의 인간관을 반영하는 ‘자기-초월의 인간학’부터, 다석 사상의 핵심을 이루는 ‘하나’와 ‘생각’ 그리고 ‘고디’, 다석이 그리스도 신앙을 바탕으로 동서양 사상을 융합해 창조한 종교 담론, 다석 고유의 용어인 ‘정음’과 ‘씨알’과 ‘빈탕’ 등을 두루 살펴본다. 이 땅에서 인간 그리고 인간의 영성을 천착한 다석의 사유를 오늘의 관점으로 접할 수 있다.
다석 류영모(多夕 柳永模, 1890∼1981)
한국의 그리스도교 사상가이자 ‘서양 문명과 문화의 골수를 동쪽의 문명과 문화’의 뼈에 집어넣은 동서회통의 철학자다. 호인 다석은 ‘많은 저녁’을 뜻한다. 35년간 YMCA 연경반(硏經班) 모임에서 경전을 가르치고 ≪성서조선≫과 같은 잡지에 여러 편의 글을 기고한 애국계몽 운동가이기도 하다. 순우리말로 ≪노자≫와 ≪중용≫을 완역했으며, 1955년부터 1974년까지 20년 동안 직접 기록한 일기와 여러 잡지에 기고한 글들을 모은 ≪다석일지≫를 남겼다. 류영모는 평생 은둔하며 살았지만, 그의 가르침을 받은 많은 인물들이 그의 사상을 발전시키고 널리 알렸다. 류영모의 제자 중 대표적 인물로는 함석헌이 있다. 류영모가 숨을 거두며 마지막으로 한 말은 ‘아, 바, 디’였다. ‘아’는 감탄사, ‘바’는 밝다는 빛의 구현, ‘디’는 디딘다는 실천적 삶을 뜻했다. 류영모의 삶에서 나온 이러한 ‘생각’은 오늘날 그가 한국 근현대를 대표하는 사상가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하게 했다.
200자평
한국의 종교사상가 다석 류영모의 철학을 해설한다. 다석의 인간관을 반영하는 ‘자기-초월의 인간학’을 설명하고, 다석이 그리스도 신앙을 바탕으로 동서양 사상을 융합해 창조한 종교 담론을 살펴본다. 이 땅에서 인간 그리고 인간의 영성을 천착한 다석의 사유를 오늘의 관점으로 접할 수 있다.
지은이
안규식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연구교수, 한국신학 연구자. 충남대학교 사학과(B.A.)와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하고 영국 킹스컬리지런던에서 종교사회학(M.A.)을 전공했다. 연세대학교에서 한국의 그리스도교 사상가인 다석 류영모의 신학을 주제로 조직·문화신학 박사 학위(Ph.D.)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에서 한국신학과 조직신학 그리고 기독교의 이해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 ≪비움과 숨: 한국적 영성을 위한 다석 류영모 신학 연구≫, ≪우리 시대의 그리스도교 사상가들 Ⅱ≫(공저)이 있으며, 번역서로 ≪디지털 교회를 위한 교회론≫, ≪신비주의≫, ≪그리스도 안에서 변화되다: 고린도전서≫, ≪바울이라는 세계≫, ≪어둠을 끊어 내다: 고린도후서≫, ≪신학의 역동성≫(공역)이 있다.
차례
어둠과 비움의 자기-초월적 인간학을 향하여
01 하나
02 생각
03 고디
04 그리스도록
05 숨님
06 정음
07 씨알
08 빈탕
09 없이 계신 님
10 잇업틈새 아름답음
책속으로
다석은 1941년부터 다석재(多夕齋)라는 호를 쓴다. 다석은 ‘많을 다’(多)와 ‘저녁 석(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에는 두 가지 뜻이 있다. 하나는 많은 끼니(多)를 먹는 대신 하루에 저녁 한 끼(夕)만 먹는다는 뜻이다. 식욕과 성욕 같은 인간 욕망을 끊는 금욕 수행을 실천해 궁극적 실재라 할 ‘하나(一)’와 하나가 되려 한 다석의 의지를 담은 종교-수행적 의미를 띤다. 다른 하나는 다석이 평생 추구한 정신세계와 신비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저녁’이다. 다석은 사람들이 물질적 세계의 아름다움·힘·생명이 띠는 ‘빛’의 차원을 존재의 전부라 생각하지만, 사실상 이러한 차원보다 더 근원적이고 영원하며 커다란 정신적 차원이 있다는 것을 알았고 이를 ‘저녁’이라 불렀다. 커다란 행성과 산화한 행성이 발산하는 빛조차 하나의 티끌로 만들어 버리는 우주의 온통 까만 어둠처럼, 다석은 ‘저녁’의 큰 어둠 속에서 자신이 하나의 점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다석은 이 큰 어둠과 하나가 되는 것이 자신을 무(無)와 같은 점 곧 실체는 없고 좌표만으로 그 존재를 말할 수 있는 점으로 만든다는 것을 알았다.
_ “어둠과 비움의 자기ᐨ초월적 인간학을 향하여” 중에서
다석은 ‘하나’를 무 개념을 통해 설명한다. 다석은 나누어져서 ‘마주 봄’의 상대계라 할 ‘둘’(마주 봄의 둘)이 아닌 상태 곧 나누어지지 않은 절대 유일로서 아무것도 가지지 않은 상태를 가리켜 둘이 아니다 해서 ‘불이(不二)’라 불렀고, 이것이 ‘하나’이자 무라 이해했다. 다석은 우리 존재의 근원과 귀결이 결국 이렇게 나누어지지 않은 절대의 무라는 것 곧 “불이즉무(不二卽無)”임을 알면 이 세계의 종노릇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나’로부터 나누어져 이 세계로 나온 모든 보이는 것은 있는 것 같지만 결국 사라져서 원래 나누어지지 않은 ‘하나’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상대계에 속한 것들은 사실 있는 것이 아니라 없는 것이다. 없는 것을 있는 것으로 착각하고 소유하려는 데서 탐욕, 노여움, 어리석음의 삼독(三毒)에 매이는 노예의 삶이 시작된다. 다석이 말하는 ‘하나’는 이 상대계의 존재자들에 집착하고 또 얽매여 종살이하는 인간들이 되찾고자 하는 자유의 대상이자 근원이다. ‘하나’에서 나온 모든 인간은 처음부터 ‘하나’를 그리워하고 찾는다.
_ “01 하나” 중에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다석의 사유는 단순히 신앙의 영역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다석이 처해 있던 근현대 한국은 새로운 사회를 구축할 수 있는 새로운 인간 주체성을 요하고 있었다. 다석은 조선의 망국과 급격한 근대화라는 사회적 현실 속에서 생명을 완성할 인간 주체의 이상향을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찾았다. 이와 같은 다석의 새로운 인간학 기획은 인간 내면에서 일어나는 존재론적 변화의 경험에 근거하고 있으며, 하나를 향한 ‘그리움’의 모방적 수행을 통해 도덕적 생명 완성의 그리스도가 된다는 불가능의 가능성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미학적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다석이 구상한 새로운 인간학은 수행적이고 미학적인 방식으로 개인의 존재론적 변화를 넘어 근현대 한국이라는 공동체의 사회적 변화에 이르고 더 나아가 하늘과 땅의 본성을 부여받은 소우주의 인간이 이룩할 우주적 변화까지 아우르는 통전적(統全的, holistic) 구원의 비전을 제시한다.
_ “04 그리스도록” 중에서
4.19혁명이 일어나기 몇 달 전인 1959년 11월 20일, 다석은 강의에서 자신의 일지에 적은 “씨알님니려고 가치 살려고 들면(씨알님 머리에 이고 같이 살려고 한다면)”이라는 구절을 풀이하며 “다 같이 잘 산다는 대동의식 평등사상(大同意識 平等思想)”을 제시한다. 다석은 주권자인 씨알을 섬기는 정치가 지향하는 ‘다 같이 잘사는 사회’를 위한 중요 조건으로 어떤 주의(主義)나 배타가 없어야 한다는 점을 꼽았다. 다석은 어떤 사상이나 가치를 절대화할 때 나타나는 분열과 대립을 염두에 두었다. 다 같이 잘사는 사회에 가장 큰 걸림돌은 각자가 자기 이익과 신념을 절대화하면서 비롯하는 분리와 분열에 있다. 분리와 분열은 전체 생명의 발현을 저지하는 죽음의 정치가 띠는 한 양태다.
4·19혁명이 일어난 후인 1960년 7월 1일, 다석은 강의 중 올바른 정치 구현이 무엇인지 설명하기 위해 ‘씨알 저울’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이렇게 말한다. “씨알 저울은 민권(民權)입니다. 민주(民主)입니다.… 저울이란 전체 생명의 무게를 다는 게 그 목적입니다.” 씨알의 권리와 씨알의 정치적 주체됨 곧 올바른 정치의 근원적 기준은 바로 전체 생명에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다석은 씨알이라는 용어를 통해 올바른 정치의 중요 기준으로 전체 생명을 제시한다.
_ “07 씨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