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1986년 봄, 빈의 오래된 스튜디오. 젊은 미국인 피아니스트 스티븐과 나이 든 오스트리아 교수 마슈칸이 만난다. 레슨을 위해 잠시 머무는 공간이지만, 이곳에서 두 사람은 단순한 스승과 제자 관계를 넘어 서로의 상처와 기억, 예술에 대한 관점을 마주하게 된다. 이 작품은 단일한 공간을 배경으로 단 두 명의 등장인물을 내세워 말과 음악으로 깊은 감정을 풀어낸다.
《올드 위키드 송》은 피아노 레슨을 중심으로 진행되지만, 이야기가 다루는 것은 음악 그 이상이다. 유대인으로서 정체성, 홀로코스트의 상흔, 예술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촘촘히 얽혀 있다. 특히 슈만의 연가곡 《시인의 사랑》이 극 전반을 이끄는 정서적 모티프로 사용되어 음악이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을 어떻게 드러내는지 보여 준다.
초반의 갈등과 충돌은 점차 이해와 공감으로 나아간다. 스티븐은 연주를 흉내 내는 데 그치지 않고 내면의 억압과 감정을 직면하게 되고, 마슈칸은 잊고자 했던 과거의 진실과 마주한다. 음악은 그 사이를 잇는 다리다.
이 연극은 단순한 음악극이 아니다. 세대, 문화, 역사, 정체성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인간이 어떻게 화해하고 성장하는지 섬세하게 그려 낸다. 그리고 그 여정의 모든 순간을 음악이 함께한다. 마지막 장면이 끝난 뒤에도 관객의 마음에 깊은 여운이 남는다.
《올드 위키드 송》은 잊히지 않는 노래처럼 오래도록 머무는 작품이다. 진심 어린 대사, 감정을 건드리는 선율, 시대를 관통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음악을 사랑하는 이, 인간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연극을 찾는 이에게 꼭 권하고 싶은 작품이다.
200자평
1986년 빈, 미국인 피아니스트와 오스트리아 교수의 만남을 그린 2인극이다. 슈만의 《시인의 사랑》을 중심으로 음악, 정체성, 역사적 상처가 교차하며 두 인물은 갈등을 넘어 화해에 이른다. 음악의 힘과 인간 이해의 가능성을 섬세하게 담아낸 작품이다.
지은이
존 매런스(Jon Marans)
〈올드 위키드 송〉이 퓰리처상 후보에 오른 것을 계기로 미국 연극계에서 점차 지평을 넓혀 가고 있다. 1957년에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나 매릴랜드주에서 성장한 존 매런스는 듀크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음악을 부전공했다. 마이클 더글러스가 운영하는 영화 회사에서 리더(reader)와 스토리 에디터로 일하기도 하는 등 무대와 영화 쪽에서 활동하던 매런스는 〈올드 위키드 송〉을 필라델피아의 월넛 스트리트 극장에서 1995년 4월 25일에 초연했다. 이 작품은 그 후 오프브로드웨이로 옮겨 유대계 레퍼토리 극장 91에서 1995년 10월 28일부터 11월 26일까지 공연되었고 1996년에는 프롬나드 극장으로 옮겨 한 시즌 동안 공연되었다. 미국 전역과 영국 웨스트엔드의 길거드 극장에서 공연되었고 10여 개국에서 번역 공연되었던 이 작품은 1996년에는 퓰리처상 최종 후보까지 올라갔으며 뉴욕 드라마 비평가 리그상을 수상했다. 매런스는 〈올드 위키드 송〉 이후 영화 대본과 텔레비전 대본을 썼으며 〈텔퍼러멘탈〉과 〈올드 위키드 송〉은 영화 제작이 진행되고 있다. 2013년 구겐하임 펠로십을 수상하기도 했다.
옮긴이
이형식은 플로리다주립대학교에서 영문학 박사 학위를 받고 건국대학교 영문과 교수로 33년간 재직했다. 현재는 명예교수로 강의와 집필, 번역에 몰두하고 있다. 문학과영상학회 회장, 현대영미드라마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지은 책으로 《현대 미국 희곡론》, 《영화의 이해》, 《무대와 스크린의 만남》, 《다문화주의와 영화》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미국 영화/미국 문화》, 《영화의 이론》, 《영화에 대해 생각하기》, 《숭배에서 강간까지 : 영화에 나타난 여성상》, 《하드 바디》 등이 있다.
차례
작가의 말
나오는 사람들
무대 배경
1막
2막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스티븐 : 지난 2주 동안 나는 빈, “꿈의 도시”를 헤매고 다녔어요. 그런데 돌아서서 아름다운 다리나 졸졸 흘러내리는 시내를 볼 때면 진땀이 났어요. 전철에서 내리면서 “종착역입니다. 모두 내리세요”라는 안내 방송을 들을 때마다 역겨웠어요.
10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