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문학으로 만나는 AI, 인간다움의 거울
기술과 상상력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문학이 AI를 어떻게 해석해 왔는지를 탐구한다. 메리 셸리에서 가즈오 이시구로까지, 10편의 주요 문학 작품 속 인공지능은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인간의 감성, 윤리, 정체성을 비추는 거울로 등장한다.
이 책은 AI가 인간 사회에 가져올 긍정과 위협, 자유와 통제, 감성과 도덕 사이의 긴장 관계를 섬세하게 짚으며, 기술과 인간이 공존할 수 있는 미래의 방향을 문학적 상상력으로 모색한다. 기술이 인간의 삶을 어떻게 재정의하고 사회를 변형시키는지를 문학은 상징적 서사와 감성적 언어로 풀어내며, 독자에게 윤리적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AI 연구자의 시선으로 문학을 분석한 이 책은 인문학과 과학기술의 융합을 통해 우리가 맞이할 미래를 깊이 있게 조망하게 한다. AI를 ‘기술’ 그 이상으로 바라보고 싶은 이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담았다.
200자평
메리 셸리부터 이시구로까지 10편의 문학을 통해 AI가 인간의 감성, 윤리, 정체성을 어떻게 비추는지를 조망한다. 상상력과 과학기술이 만나는 지점에서 미래 사회를 성찰하게 하는 책이다.
지은이
우지환
20년 동안 AI를 연구 중이다.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에서 컴퓨터 비전을 전공으로 학사 · 석사를, 경영대학원에서 MBA를,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다양한 산업에서 AI를 활용한 Digital Transformation을 연구 중이며, 삼성전자와 신한은행, 카카오뱅크에서 제조업과 금융 산업에 필요한 AI를 연구했고, 고려대학교와 KAIST 경영대학원의 겸임교수, 카네기멜론대학교 로봇연구소에서 방문연구원을 역임했다. 디지털소사이어티 정회원, 민간 R&D 협의체 AI 분과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데이터 과학자의 일』(2021), 『AI 물류 혁명』(2025), 『명화 속 AI』(2025), 『애니메이션 속 AI』(2025)가 있고,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등에 45개의 등록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15편 이상의 논문을 KCI 등재 학술지 및 SCIE 해외 학술지에 발표했다.
차례
상상력과 기술의 만남
01 AI와 인간의 경계: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
02 AI와 자아 인식: 아이작 아시모프의 『아이, 로봇』
03 AI와 윤리적 딜레마: 필립 K. 딕의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을 꿈꾸는가?』
04 AI와 권력 구조: 조지 오웰의 『1984』
05 AI와 감정: 아서 C. 클라크의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06 AI와 인간의 상호작용: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
07 AI와 디스토피아: 레이 브래드버리의 『화씨 451』
08 AI와 포스트휴먼: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
09 AI와 인간성의 탐구: 마거릿 애트우드의 『오릭스와 크레이크』
10 AI와 현대 사회: 테드 창의 『당신 인생의 이야기』
책속으로
피조물이 자아를 형성하는 과정은 단순히 기계적 기능이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윤리적 판단의 주체로 나아가는 과정을 포함한다. 피조물은 자신이 인간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사실에 대해 혼란스러워하며, 자신이 사회에서 왜 배척당하는지, 왜 다른 존재들과 다르게 취급받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품는다. 이러한 내적 갈등은 곧 창조주와의 관계에서 폭발적인 대립으로 드러난다. 프랑켄슈타인은 자신이 창조한 존재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는 도덕적 의무감을 느끼지만, 동시에 그 피조물이 가지는 자율성과 독립적인 자아 때문에 두려움과 혐오감을 느끼게 된다. 이로 인해 창조주와 피조물 사이의 갈등은 단순한 개인 간의 분쟁을 넘어, 인간 창조 행위의 한계와 윤리적 책임에 대한 깊은 고민을 불러일으킨다.
-01_“AI와 인간의 경계: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 중에서
결국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을 꿈꾸는가?』는 AI와 인간 사이의 경계를 넘나드는 상상력을 통해, 미래 사회에서 우리가 어떤 윤리적 기준과 도덕적 책임을 가져야 하는지를 질문하게 만든다. 이 작품은 AI가 단순한 도구 이상의 존재로 발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윤리적 갈등과 인간 정체성의 위기를 생생하게 묘사하며, 독자들에게 미래 사회에 대한 심도 있는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기술과 인간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이 시대에, 우리는 딕의 작품을 통해 AI가 우리 사회에 미칠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균형 있게 이해하고, 그에 따른 새로운 도덕적, 윤리적 체계를 마련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03_“AI와 윤리적 딜레마: 필립 K. 딕의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을 꿈꾸는가?』” 중에서
깁슨은 AI와 인간이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하는 관계로 발전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AI는 인간이 처리하기 어려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반면, 인간은 창의성과 감성을 통해 AI가 가지지 못한 독특한 가치와 도덕적 판단을 내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호 보완적 관계는 미래 사회에서 기술과 인간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을지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작품은 AI가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는 동시에, 인간다운 감성과 윤리적 판단을 유지하기 위해 어떻게 협력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06_“AI와 인간의 상호작용: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 중에서
결국, 『오릭스와 크레이크』는 우리가 미래에 맞이할 포스트휴먼 사회의 도전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하며, AI와 유전자 조작 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윤리적, 사회적 변화를 균형 있게 바라볼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소설은 단순한 공상과학 소설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앞으로 기술과 함께 살아가며, 그 속에서 어떤 도덕적 기준을 세워야 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과 도전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고민하도록 만드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09_“AI와 인간성의 탐구: 마거릿 애트우드의 『오릭스와 크레이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