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문화 대표 콘텐츠
문화 시장의 최강자는 누구인가?
김성수가 쓴 <<시각 문화 대표 콘텐츠>>
세계 시장의 킬러콘텐츠
미국의 <스타워즈>, 일본의 <건담>, <마징가>, 한국의 <대장금>, <난타>, <뽀로로>, <강남스타일>의 공통점은 뭔가? 서로 다른 문화 유전자의 이종교배다.
세계적으로 생각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하라(Think globally and act locally).
‘글로컬 비주얼 컬처, 글로컬 비주얼 문화콘텐츠’, <<시각 문화 대표 콘텐츠>>, vi쪽.
이게 무슨 말인가?
글로컬라이제이션이다. 글로벌라이제이션이 세계 단일화를 지향하는 개념이라면, 글로컬라이제이션은 세계의 지역화, 지역의 세계화를 동시에 고려해 문화의 다양성을 지향하는 소통 개념이다.
소통은 무엇으로 하는가?
글로컬 비주얼 문화콘텐츠다.
비주얼 문화콘텐츠가 뭔가?
비주얼과 문화가 결합된 비주얼 컬처, 즉 시각 문화다. 수요자들이 직접 눈으로 보고 소비하는 정보, 의미, 즐거움이 내재된 사건이다.
글로컬 문화와 비주얼 컬처는 어떤 방식으로 결합하는가?
개념 복합으로 결합된다. 인도판 스파이더맨, 미국 맥도날드의 불고기버거, 한국영화 <스캔들>, 미국의 비디오게임 <스타크래프트>, 일본의 애니메이션 <토토로>를 보라.
문화 상품을 글로컬하는 방법이 뭔가?
기존 문화와 세계 차원의 보편 문화가 만나야 한다. 국가 간 지역 문화와 문화 코드의 동시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OSMU를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킬러콘텐츠가 필요하다.
글로컬 비주얼 문화콘텐츠가 킬러콘텐츠가 될 수 있는가?
기존의 킬러콘텐츠의 장단점을 확인하며 변곡점을 찾아 자기 실정에 맞게 가공하면 가능하다.
그런 사례가 있는가?
미국의 <스타워즈>, 일본의 <건담>, <마징가>, 한국의 <대장금>, <난타>, <뽀로로>, <강남스타일>이 있다. 대부분 킬러콘텐츠는 글로컬 비주얼 문화콘텐츠의 특성을 지닌다.
글로컬 비주얼 문화콘텐츠의 한계는 무엇인가?
과도한 인기를 얻게 되면 로컬 비주얼 컬처를 억압하게 된다. 세계화에만 집중한 나머지 실패하는 콘텐츠 또한 늘어난다.
그런 사례는 어떤 것이 있는가?
세계 표준으로 생각되는 미국식 글로컬 문화콘텐츠 방식만 추종하면 실패한다. 예를 들면 한국에서 미국 할리우드 액션 영화 방식만을 답습하여 블록버스터 영화를 만든다면 성공 가능성은 낮다.
향후 전망은 어떤가?
로컬이 더 강조될 것이다. 전 세계 수많은 로컬 문화가 다양한 글로벌 플랫폼과 결합하게 될 것이다.
이 책, <<시각 문화 대표 콘텐츠>>는 무엇을 다루나?
시각 문화에서 킬러콘텐츠라고 흔히 말하는 10개의 문화콘텐츠를 살폈다. 문화원형, 캐릭터, TV 드라마, 영화, 공연, 광고 등 비주얼 컬처 영역의 전반을 설명한다.
당신은 누구인가?
김성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문화콘텐츠학 연계 전공 외래교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