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신문 역사
한국 신문, 계몽과 저항의 이유
정진석이 쓴 ≪한국 신문 역사≫
순보, 주보, 신문의 역사
정부 간행물이었지만
처음엔 열흘
그러고는 이레에 한 번씩 발행된
최초의 정기간행물은
제 몫을 해냈다.
그리고 신문이 등장했다.
이때부터 우리 신문은
계몽과 저항의 역사를 걷기 시작한다.
“≪한성순보(漢城旬報)≫와 ≪한성주보(漢城周報)≫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이다. ≪순보≫는 1883년 10월 31일에 창간되어 열흘마다 발행되다가 이듬해 12월 4일의 갑신정변으로 발행이 중단되었고, ≪주보≫는 1886년 1월 25일에 창간되어 일주일 단위로 발행되다가 1888년 7월경 폐간되었다.”
‘초기 신문: ≪한성순보≫와 ≪한성주보≫’, ≪한국 신문 역사≫, 2쪽.
근대 신문의 출발이 맞는가? 근거는 뭔가?
역사상 처음으로 동일한 제호로, 인쇄된 상태로, 불특정 다수에게, 정기적으로 발행된 간행물이었기 때문이다. 외형뿐 아니라 내용과 발행 목적도 근대 언론의 이념을 구현하려 했다.
≪순보≫와 ≪주보≫는 어떤 관계인가?
갑신정변 후 박문국이 파괴돼 ≪한성순보≫ 발행이 중단됐다. 신문의 필요성을 깨달은 정부는 서둘러 ≪한성순보≫를 복간하는 형식으로 ≪한성주보≫를 발행했다.
차이는 뭔가?
≪순보≫는 열흘에 한 번 발행했으나 ≪주보≫는 일주일에 한 번 발행했다. ≪순보≫는 순한문으로 제작했으나 ≪주보≫는 한글도 사용했다. ≪순보≫에는 의견 기사가 없었으나 ≪주보≫에는 ‘사의(私議)’라는 의견 기사가 등장했다. 광고도 실었다.
발행인은 누구인가?
수신사로 일본을 방문했던 박영효가 창간을 주도했다. 이후 정부 기구인 박문국에 소속된 관리들이 편집과 제작을 맡았다. 신문 발달 초기에는 민간이 신문을 발행하기 어렵다. 정부 발행 신문은 이후 민간 신문의 발달을 촉진한다.
창간 배경과 목적은 무엇인가?
조선은 외세로부터 나라를 지켜야 했고 국민 의식을 깨우쳐 전근대 사회를 개혁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이었다. 신문은 국민에게 세계 정세를 알리고 선진 국가의 정치 경제 문화를 소개했다. 과학 지식도 보급했다.
≪한성순보≫는 제 몫을 해냈는가?
역사상 처음으로 선진 외국의 문물을 소개하고 정부의 시정 방침과 각 지방의 장계, 관리들의 임면, 물가 동향을 폭넓게 알렸던 ≪순보≫와 ≪주보≫는 매호 3000부 정도 발행됐다. 독자는 주로 관리들이었지만 전국 각지에 고루 보내 일반인과 외국인까지 읽었다는 기록이 있다. 우리나라 개화에 두 신문이 미친 영향은 지금껏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크다.
≪독립신문≫은 어떤가?
서재필이 발행한 최초 민간 신문이다. 한글을 전용해 누구나 읽기 쉽게 만들었다. 논설란을 두어 신문의 의견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자주독립, 국민주권, 만민평등, 여권신장, 언론자유, 민주주의 같은 새로운 개념을 국민에게 널리 소개하면서 독립협회 활동을 선도했다.
왜 신문의 날을 ≪한성순보≫ 창간일이 아니라 ≪독립신문≫ 창간일로 기념하는가?
최초의 민간 신문일 뿐 아니라 자주, 독립, 비판 같은 한국 신문의 전통이 ≪독립신문≫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독립신문≫ 창간일인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정해 기념한다.
≪독립신문≫ 이후에는 어떤 신문이 등장하나?
≪독립신문≫ 창간 2년 후에 ≪제국신문≫, ≪황성신문≫이 창간됐다. 1900년대는 많은 민간 신문이 등장해 항일 자주 독립과 국민 계몽의 역할을 수행했다.
서구 신문의 발전 모습과 무엇이 다른가?
서구 여러 나라의 신문은 정보 전달과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출현하여 오랜 기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발전했다. 우리는 개화와 국민계몽이라는 뚜렷한 목적과 이상을 가지고 출발했다. 계몽과 저항이 우리 신문의 전통이 되었다.
이 책 ≪한국 신문 역사≫는 무엇을 말하는가?
한국 신문의 역사는 근대사의 핵심이다. 신문은 개화사, 독립운동사, 문학사, 문화사 등 근대 역사와 깊은 연관이 있다. 언론인은 개화운동가, 역사학자, 독립운동가, 문인으로도 활동했다. 한국 신문의 역사를 근대사의 핵심으로 연구해야 하는 이유다.
당신은 누구인가?
정진석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명예교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