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전기·송지문 시선
2512호 | 2015년 3월 27일 발행
중국 시의 새로운 지평을 연 심과 송
최우석이 옮긴 심전기(沈佺期), 송지문(宋之問)의 ≪심전기·송지문 시선(沈佺期·宋之問 詩選)≫
중국 율시의 완성, 심과 송
심전기와 송지문을 사람들은 심·송이라 부른다.
당나라 때부터 그랬다.
작품이 비슷해 이름만 가리면 나누기 힘들었다.
둘은 율시의 격률과 체제를 완성한다.
중국 시의 새로운 지평이 열린다.
夜宿七盤嶺 칠반령에서 야숙하며
獨遊千里外 천 리 밖에 홀로 떠돌다가
高臥七盤西 칠반령 서쪽 높은 곳에 누웠더니
山月臨窗近 산에 뜬 달 창가에 다가서고
天河入戶低 은하수는 문에 들어 나직하다
芳春平仲綠 꽃 피는 봄이라 팽나무는 파랗고
淸夜子規啼 맑은 밤이라 두견새 우네
浮客空留聽 떠도는 나그네 부질없이 귀 기울이면
褒城聞曙雞 보성의 새벽닭 우는 소리 들려온다
≪심전기·송지문 시선≫, 심전기·송지문 지음, 최우석 옮김, 135쪽
누구의 작품인가?
≪심전기·송지문 시선(沈佺期·宋之問 詩選)≫에 실린 심전기의 것이다.
왜 한 책에 두 사람의 작품을 함께 실었는가?
심전기와 송지문은 흔히 심·송(沈宋)으로 함께 불린다. 초당 후기의 대표 시인이다. 당나라 때부터 이미 두 사람을 병칭했다. 내용과 분위기도 비슷하다. 이름 가리고 보면 어느 게 심전기고 어느 게 송지문인지 헷갈릴 정도다. 심·송은 중국 율시(律詩)의 격률과 체제를 완비한 것으로도 명성이 높았다.
율시란?
초당(初唐)부터 청 말(淸末)까지 중국 문인들이 가장 애호했던 시가 형식이었다. 과거 시험에서 공식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율시의 출현으로 중국 시가는 새로운 지평을 연다. 그 주인공이 심·송인 셈이다.
그런데 우리에게 낯선 까닭이 무엇인가?
후대에서 이들이 궁정 시단에서 아부를 일삼고 그 목적에 부합하는 응제시(應製詩)만 지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뇌물을 받는 등 인품도 저열했다고 여겨 시까지 폄하했다.
맞는 말인가?
온당치 못하다. 뇌물 사건도 무고한 탄핵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설령 사실이라 해도 문여기인(文如基人)의 논리만 앞세워 작품을 무차별 비하하는 건 바른 비평이 아니다.
아부하는 시를 짓긴 지었는가?
응제시가 그렇게 많지 않다. 심전기는 전체 시의 4분의 1, 송지문도 전체 시의 7분의 1 정도다. 심·송은 인생역정도 비슷했지만 시가 창작의 내용 역시 상당 부분 비슷했다. 응제시뿐만 아니라 증답시, 술회시, 산수시, 변새시 등을 지었다. 전체 작품과의 비중을 생각하면 기존 견해는 무리다.
그렇다면 실제로 심·송의 문학이 초점을 둔 곳은 어디인가?
개인 생활의 감정과 뜻을 읊는 술회시다. 이별의 슬픔을 노래하거나, 폄적의 상념을 토로하거나, 탈속의 뜻을 염원하거나 상사(相思)의 그리움을 드러낸다. 곳곳에서 농후한 서정의 색채를 펼친다.
이들이 중국 문학사에 남긴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가?
당시 시단에 중국 시가의 ‘시연정(詩緣情)’의 전통을 회복시킨 것이다. 율시의 형식미가 갖는 장점을 개인의 성정과 결합시킨 선구자였다. 중국 산수시를 개척한 시인들이기도 했다.
위의 인용시에서 심전기의 멘털은 어떤 모습인가?
홀로 떠도는 나그네다. 고독하다. 심경을 경물에 기탁해 표현했다. 닭 울고 해 뜨면 떠나야 하는 처지다.
왜 홀로 떠돌게 되었나?
폄적의 상념이나 흔적이 보이지 않는 걸로 보아 시인이 유배된 상황은 아니다. 벼슬을 하고 있을 때 촉(蜀) 지방으로 들어가기 전 칠반령 역참에 잠시 머물며 지은 것으로 추측된다.
촉(蜀) 근처라는 건 어떻게 아는가?
남방의 정취를 풍기는 ‘팽나무[平仲]’, 촉 지방 신화의 색채가 강한 ‘두견새[子規]’ 같은 시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 책 ≪심전기·송지문 시선≫은 어떻게 묶었나?
심·송의 시 350수 가운데 49수를 선별해 이를 다시 주제별로 분류했다. ≪심전기송지문집교주(沈佺期宋之問集校注)≫를 저본으로 삼았다.
당신은 누구인가?
최우석이다. 우송대학교에서 중국어를 강의하는 교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