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연현 평론선집
2664호 | 2015년 7월 2일 발행
한국문학평론선집 출간 특집 4. 해방 정국, 비평가의 주체론
서경석이 엮은 ≪조연현 평론선집≫
비평에서 객관과 주관의 사실성
좌파는 유물사관의 객관성을 주장한다.
그러나 비평하는 것은 비평가이고 비평가는 인간이며 인간은 주관이고 모든 주체의 객관은 주관의 객관이다.
이제 문학의 유물사관에게 물어야 한다.
너는 주관 없는 객관인가?
“詩나 小說이 現實을 直接的으로 取扱함으로서 作品을 通하야 作者의 世界를 表現하는 것처럼 批評은 對象의 價値를 評定하는 形式을 通하야 自己의 世界를 表現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批評의 最初의 要求는 價値判斷에 있으나 批評의 究竟의 目的은 그러한 價値判斷을 通하야 自己의 世界를 完成해 가는 詩나 小說과 마찬가지의 價値 創造의 事業이라는 것이다.”
<批評의 論理와 生理>, ≪조연현 평론선집≫, 조연현 지음, 서경석 엮음, 107쪽
조연현에게 비평이란 무엇인가?
대상을 정확히 인식하고 정당하게 평가하는 것이다.
상식 아닌가?
이 상식적 정의 안에서 조연현은 좌파 계열 비평에 대응했다. 여기에는 비평 주체를 중시하는 비평 정신이 담겨 있다.
좌파 계열 비평에 대한 그의 태도는 무엇인가?
좌파가 유물사관을 맹신하고 작품의 가치를 단안한다고 봤다. 그들의 비평은 문학을 객관 진리의 계몽 도구로 전락시킨다고 비판했다.
좌파는 무엇에 실패한 것인가?
비평을 수행하는 것은 언제나 주체이고 객관적 진리에는 주체의 ‘생리’가 물든다는 사실을 망각했다. 그래서는 비평가 스스로 비평의 정당성을 유지할 수 없다.
자신의 비평 정신은 무엇인가?
관념에 의한 ‘논리’가 아니라 비평 주체의 ‘생리’가 중요했다. 진정한 비평은 진정한 비평 주체를 확립하는 일이라는 것이다. 비평이 문학을 향해 끝없이 나아가도록 만드는 과정을 몸소 살아 내는 것이 진정한 비평 주체의 모습이라고 생각했다.
진정한 비평에 성공했는가?
실패했다. 비평은 숙명적으로 그 대상인 시나 소설 없이는 성립할 수 없다. 비평을 시나 소설에 나란히 두려 한 <비평의 논리와 생리>는 우리 비평사의 심연이자 조연현이 자신의 윤리와 한계를 동시에 대면한 지점이었다.
조연현의 윤리가 뭔가?
그는 시를 포기하며 평필을 잡은 사람이었다. 그에게 비평이 시나 소설에 대해 갖는 열등성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였다.
시를 썼나?
1938년 ≪조광≫의 독자 투고란에 시 <하나의 향락>을 게재하며 문학가의 삶을 시작했다. ‘시국의 급박함’ 때문에 평론가로 전향했다.
시국의 급박함이란?
해방 공간에서 좌파 계열 문학자들이 한국 문단의 선편을 쥐는 형국을 좌시할 수 없었다. 그들과의 논리 공방을 수행하려면 ‘시’가 아니라 ‘비평’이 필요했다.
그의 비평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밖으로는 ‘조선문학가동맹’과 대립각을 세웠고, 안으로는 ‘청년문학가협회’의 김동리와 대결한다.
대결의 결과는?
‘조선문학가동맹’원 대다수가 월북하고 김동리마저 극복해 버린 1949년에 이르러 대결 의식은 비평 형식 자체에 대한 모색으로 수렴된다. 이후 비평가로서 삶의 윤리를 발견하는 데까지 이어진다.
그가 한국문학사에 남긴 것이 무엇인가?
‘순수문학’을 옹호하는 ‘청년문학가협회’의 이론적 수뇌로서 6·25전쟁 이후 김동리·서정주·조지훈 등과 더불어 남한 문단의 주류를 형성했다. 국어국문학의 학제 속에 현대문학을 하나의 분과 학문으로 정립하는 데 일익을 담당했다. 유수 문예지를 주관하며 수많은 문인을 배출해 내어 문단의 흐름을 좌우했다.
평론가 조연현의 모습은?
‘면도칼’에 비유되었다. 좌파 계열 문학가들이 주축이 된 ‘조선문학가동맹’과 벌인 논전에서 순수문학파의 논리적 방어선을 구축하는 데 큰 역할을 해냈다. 이는 결국 좌우파의 논리적 지평을 서로 보충하고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우리 문학사에서 비평이라는 문학 형식의 본질을 깊이 물었던 비평가다.
이 책에는 어떤 평문을 뽑았나?
해방 공간부터 6·25전쟁 이전까지 몇 년 동안 집약적으로 쓴 평문을 선별했다. 이 시기의 비평이 조연현의 비평 세계의 발원이었기 때문이다. 좌파 계열 문학가의 논리를 비판하거나, ‘청년문학가협회’의 문인 최태응과 김동리와 논쟁하거나, 비평가로서 자신을 반성하는 글이다.
당신은 누구인가?
서경석이다.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과 교수다.
한국문학평론선집 목록
고석규 평론선집, 남송우 엮음 신동욱 평론선집, 김용희 해설
권영민 평론선집, 김종욱 해설 안 막 평론선집, 문경연 엮음
권택영 평론선집, 김 석 해설 안함광 평론선집, 이성천 엮음
김기림 평론선집, 김유중 엮음 양주동 평론선집, 방인석 엮음
김기진 평론선집, 오태호 엮음 이광수 평론선집, 임정연 엮음
김남천 평론선집, 남승원 엮음 이숭원 평론선집, 유성호 해설
김동리 평론선집, 정호웅 엮음 이승훈 평론선집, 이재복 해설
김동인 평론선집, 양진오 엮음 이원조 평론선집, 이 훈 엮음
김붕구 평론선집, 장성규 엮음 이헌구 평론선집, 차선일 엮음
김성곤 평론선집, 변지연 해설 임헌영 평론선집, 오창은 해설
김 억 평론선집, 김진희 엮음 임 화 평론선집, 이형권 엮음
김열규 평론선집, 오윤호 엮음 정태용 평론선집, 김유중 엮음
김용직 평론선집, 문혜원 해설 조남현 평론선집, 김학균 해설
김우창 평론선집, 이재복 엮음 조동일 평론선집, 하상일 해설
김윤식 평론선집, 윤대석 엮음 조연현 평론선집, 서경석 엮음
김인환 평론선집, 오형엽 해설 채광석 평론선집, 고명철 엮음
김재홍 평론선집, 고봉준 해설 최남선 평론선집, 문흥술 엮음/김학중 해설
김종회 평론선집, 김문주 해설 최동호 평론선집, 이상숙 해설
김준오 평론선집, 고현철 엮음 최유찬 평론선집, 오문석 해설
김지하 평론선집, 홍용희 엮음 최일수 평론선집, 하상일 엮음
김치수 평론선집, 심은진 엮음 최재서 평론선집, 이경수 엮음
김환태 평론선집, 오형엽 엮음 한설야 평론선집, 이경재 엮음
김흥규 평론선집, 고인환 해설 한 효 평론선집, 오태호 엮음
박영희 평론선집, 허혜정 엮음 현 철 평론선집, 백지연 엮음
백 철 평론선집, 이승하 엮음 홍기삼 평론선집, 김춘식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