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은 연극 경험의 여정을 따라가면서 개별적인 경험세계를 가진 학습자들이 ‘어떻게 기존 경험의 연장선상에서 새로운 경험을 구성하는지’, 상이한 경험 구성 방식을 가진 학습자들이 ‘어떻게 서로 접촉하고 소통해 공동의 경험을 구성하는지’, 이 과정에 내포된 ‘학습 방식과 학습 내용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보여준다. 특히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기존 경험을 어떻게 소통하고 공유해 상대의 경험과 융합하는지, 이러한 과정이 주는 의미는 무엇이며, 이 과정을 통해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주목한 공동경험 구성 과정의 구체적인 사례는 ‘예단(가칭)’이라는 전문 극단 소속 연극인들의 경험이다. 연극 활동은 공연 준비, 공연, 공연 마무리 등으로 이뤄지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연극 기획, 대본 선택, 대본 해석, 대사 연습, 개인 연습, 단체 연습, 무대 설치, 공연, 무대 해체 등을 포함한다. 이 책은 연기자들이 어떻게 대본을 공동으로 해석하고, 하나의 작품으로 제작해 무대에서 공연하는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았다. 필자의 박사학위 논문을 출판 성격과 형식에 맞춰 압축하고 재구조화해 수정한 것으로,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부에서는 이 책을 관통하는 질문과 그 바탕이 되는 이론적 배경을 제시했다. 경험학습의 기존 논의를 살피는 가운데 공동경험 학습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밝히고, 기존의 공동학습 논의를 통해 해결된 부분과 보충이 필요한 부분을 짚었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는 것이 연극 경험을 살피는 것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그 이유를 설명했다. 즉, 1부는 2부에 제시한 사례를 교육학적으로 읽어내기 위한 바탕이다.
2부에서는 극단 연기자들의 연극 활동을 통해 배우 경험을 구체적으로 풀어내고자 했다. 연기자들이 연극 세계에 입문하고, 대본을 처음받아들고, 역할을 이해하며, 개인 수준과 집단 수준의 연습을 통해 연기를 숙달한 뒤 무대에서 공연하기까지 전 과정을 순차적으로 다뤘다. 연기자들이 연극 세계에 입문하면서 경험하고 배우는 것뿐 아니라 최고 수준의 연기자로서 겪는 경험까지 담고자 했다.
3부에서는 1부에서 살펴본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2부에서 다룬 사례를 분석하고 해석하면서 ‘함께 직조하는 경험학습’이라는 의미의 ‘공조학습(共組學習, co-organizing learning)’을 개념화했다. 이어, 연극 경험을 포함해 문화예술 경험을 평생교육의 맥락에서 어떻게 접근할 수 있을지 논하는 것으로 책을 마무리했다.
교육학 전문 지식에 관심 있는 독자나 문화예술 경험의 속성을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싶은 독자는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볼 수 있을 것이다. 배우가 되는 경험에 관심이 있거나 공동과제를 수행할 때 나타나는 갖가지 양상과 그 안에서 과제를 해결하는 지혜에 관심 있는 독자는 2부를 중심으로 읽는 것도 괜찮을 것이다. 2부에서 다소 긴 이야기를 그대로 담아낸 이유는 관련 분야 종사자나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사례와 함께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연기자는 물론, 공동작업을 하는 사람, 문화예술 분야에 종사하는 이들에게 유사한 일을 하는 한 공동체가 살아가는 이야기를 건네고자 한다.
200자평
평생교육학적 관점에서 문화예술 경험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연구다. 이 책은 우리가 연극 활동으로 보아온 과정을 ‘어떻게 학습 과정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하나의 설명 방식을 제시했다. 다른 말로 하면, 연극 활동에 ‘어떤 학습 과정이 내재되어 있는지’ 설명했다고도 볼 수 있다.
연극 활동은 개인이 모여 연극 공연이라는 하나의 완결된 경험을 만드는 과정이다. 하나의 완결된 경험 구성 과정을 ‘학습 과정’으로 볼 때, 경험을 공조하는 과정은 공동체적 학습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연극 활동 과정에서 드러난 독특한 학습 양상을 ‘공조학습’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설명한다.
지은이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제도·복지연구실 사업지원 총괄을 맡고 있다. 연세대학교 교육학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평생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 책은 박사학위 논문 “공동경험 구성과정에 나타난 경험학습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연극극단 사례를 중심으로”을 기반으로 마련되었다. 대학교 졸업 후 삼성자동차와 삼성SDS 인력개발팀에서 인적자원개발(HRD) 실무를 경험했으며, 박사학위 취득 후 (재단법인)삼성꿈장학재단 설립 시에 취약집단 장학사업 기획·연구를 담당했다. 주된 관심 분야는 평생교육, 교육복지, 문화예술교육 등이다. 성인학습론, 경험학습 논의, 경험학습인증체제, 문화예술경험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했으며, 최근에는 교육형평성, 교육복지를 화두로 정책개발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평생교육학의 관점으로 학습, 성장, 공동체, 교육정의, 풍요로운 삶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주요 연구로는 “해외교육복지정책 연구”, “교육복지의 모델과 통합원리 탐색”, “현장 중심의 자율적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추진 방안 연구”,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활성화 방안”, “아동·청소년의 교육복지 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활성화 요소 및 원리”, “교육지원체제로서 지역 네트워크 형성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교육복지 네트워크에서 네트워커 역할의 의미 탐색”, “비형식 및 무형식 학습 인정을 둘러싼 논쟁과 새로운 접근방식”, “공동경험 구성과정에 대한 설명가능성”, “공조(共組)학습 과정에서 드러나는 경험학습의 특징” 등이 있다. 지은 책으로는 『교육복지의 이론과 실제』(공저)가 있다.
차례
책을 내며
1부 문을 열며 : 연극의 세계를 교육학으로 읽어내기
01 왜 ‘경험’인가?
경험, 그리고 교육적 경험이란?
왜 공동경험인가?
02 경험을 설명한 이론들 : 경험학습론과 공동학습 논의
경험학습론의 기여와 한계
공동체학습과 조직학습론의 기여와 한계
03 왜 ‘연극’인가?
공동경험의 구성 과정
종합예술 창조에서의 예술적 경험
2부 연극의 세계 : ‘배우 되기’를 통해 ‘사람 되기’
04 예단과의 만남 : ‘식구’ 되기
예단, 삶의 연극공동체
예단 식구들의 개인적 특성
‘식구 되기’의 여정
05 역할과의 만남 : 공감하기
‘경험의 끈’을 통해 역할 만나기
인물 생성 원리
06 장면 만들기 : 함께하기
‘약속’으로 만드는 작품
앙상블 원리
07 무대에 서기 : 매 순간 함께 ‘살아 있기’
무대에서 ‘완성되는’ 연극
약속을 ‘살아 있게’ 하는 원리
08 연극을 통해 어떻게 변화했는가?
개인성 확장
삶의 반경 확장
예단만의 연기방법론 체화와 진화
공동체성 강화
3부 연극의 세계에서 발견한 학습
09 함께 직조하는 경험학습 : 공조학습
연극 경험의 경험학습적 특징
공조학습의 특징
공조학습의 의의
10 문화예술과 교육의 만남
문화예술에 대한 교육학적 탐구
평생교육학에서 문화예술교육 들여다보기
11 끝맺으며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