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시민의 참여를 증대시키고 공동체 문제 해결에 저널리즘이 개입하는 것을 사명으로 하는 공공저널리즘의 의미와 한국의 언론을 고찰한 연구서.공공저널리즘의 배경과 미국언론의 위기, 지향점과 이론적 기반, 지역언론과의 관계, 프로젝트의 진행방식과 과정 등 10개 장
공공저널리즘은 언론을 언론으로 존재 규정하는 본질적 요소, 즉 공공성 또는 공익성을 재차 강조하면서 취재 및 보도 자세, 시각 등의 개혁을 촉구하는 언론운동이자 새로운 언론 모형 내지 관행이다.
공공/시민저널리즘은 단순히 저널리즘 프로젝트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저널리즘 문화, 저널리스트의 역할, 그리고 저널리즘의 지향점 등의 질적 변화를 수반하는 총체적인 저널리즘 운동이라 할 수 있다.
은 공공저널리즘을 체계적으로 소개하여 전환기를 맞은 한국 언론에 도움이 되고자 기획되었다.
200자평
시민의 참여를 증대시키고 공동체 문제 해결에 저널리즘이 개입하는 것을 사명으로 하는 공공저널리즘의 의미와 한국의 언론을 고찰한 연구서. 공공저널리즘의 배경과 미국언론의 위기, 지향점과 이론적 기반, 지역언론과의 관계, 프로젝트의 진행방식과 과정 등 10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은이
김민남
동아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으며, 서울대 대학원 신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성균관대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아일보 기자, 부산 경남언론학회장, 언론중재위원회 위원,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2006년 현재 동아대 사회언론광고학부 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 『언론학원론』, 『새로 쓰는 한국언론사』, 『공공저널리즘과 한국언론』 등이 있다.
차례
001. 공공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002. 공공저널리즘의 배경과 미국 언론의 위기
003. 공공저널리즘의 지향점과 이론적 기반
004. 공공저널리즘과 지역언론
005. 공공저널리즘 프로젝트의 진행방식과 과정
006. 공공저널리즘 보도는 어떻게 다른가
007. 여섯 사례를 통해 본 공공저널리즘의 실제
008. 성공적인 공공저널리즘을 위한 조건들
009. 한국 언론의 공공저널리즘 수용은 가능한가
010. 공공저널리즘 관련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