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1장에서는 우선 ‘커뮤니케이션 디바이드’의 문제를 논의하면서 그 동안 제시되었던 정보격차나 디지털 디바이드 해소 정책들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특히 장애인의 커뮤니케이션 디바이드의 해소에 있어 방송매체의 역할이 왜 중요한지와 그러한 역할이 기초해야 할 방송이념을 제시하고 있다. 2장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의 장애인 방송 현황을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의 장애인 방송 현황과 문제점을 텔레비전 액세스 서비스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마지막 장에서는 장애인의 방송접근권 확대 정책의 중요성과 함께 시급히 수행되어야 할 정책적 방안과 장애인의 정보접근권 확대를 위한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활용 방안을 제시했다.
200자평
이 책은 그동안 정보격차나 디지털 디바이드라는 개념 속에서 제기되었던 방송접근권과 정보접근권의 문제들을 사회?문화적인 개념인 ‘커뮤니케이션 디바이드’를 통해 접근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같은 접근 방식을 통해 장애인들의 방송접근권과 디지털시대의 정보접근권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였다.
지은이
송종길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오클라호마주립대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기대학교 다중매체영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2002년 대통령후보 경선TV토론』, 『대통령후보 TV토론의 법적ㆍ제도적 쟁점과 개선방안』, 『대통령후보 텔레비전 토론과 공공정책』 등이 있다.
차례
서 문 3
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드와 장애인의 사회적 소외
1. 커뮤니케이션 디바이드와 사회적 소외
2. 정보격차, 디지털 격차와 커뮤니케이션 불평등
3. 커뮤니케이션 디바이드 해소의 중요성과 각 국가의 주요 정책
1) 한국의 디지털 디바이드 해소를 위한 정책
2) 미국의 디지털 디바이드 해소 정책
3) 영국의 디지털 디바이드 해소 정책
4) 일본의 디지털 디바이드 해소 정책
4. 장애인의 커뮤니케이션 소외와 정보접근권
1) 장애인과 텔레비전 방송접근권
2) 디지털 방송 시대의 방송의 공익성과 장애인의 방송접근권
3) 정보통신환경의 변화와 장애인의 정보접근권
5. 소외계층을 위한 텔레비전 방송의 공적 서비스의 미래
Ⅱ. 장애인의 텔레비전 방송접근권 현황
1. 개요
2. 장애인 현황
1) 시각장애인 현황
2) 청각.언어 장애인 현황
3. 장애인 TV시청 지원 기술의 종류
1) 시각장애인을 위한 지원기술
2) 청각장애인을 위한 지원기술
4. 국내 장애인 TV방송 현황
1)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수신기 보급 현황
2) 시.청각장애인 시청 서비스 현황
5. 장애인 방송 접근 관련 법과 제도적 현황
1) 장애인 방송 접근 관련법
2) 장애인 방송접근을 위한 지원현황
Ⅲ. 세계 각 국가의 장애인의 텔레비전 방송 액세스 연구
1. 미국
1) 개요
2) 장애인 방송 기술 및 프로그램 현황
3) 장애인 방송 서비스 관련 법·제도
4) 문제점 및 논의
2. 영국
1) 개요
2) 자막, 기호언어, 음성 해설에 관한 ITC 코드(code)
3) ITC의 자막 방송 기준(ITC Guidance on Standard for Subtitling)
4) 음성 해설(Audio Description) 관련 ITC의 가이드라인
5)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의 기호언어에 대한 ITC의 가이드라인
3. 프랑스
1) 개요
2) 방송사별 장애인 방송 프로그램 현황
3) 장애인 방송 관련법과 정책
4) 프랑스 장애인 방송의 문제점과 논의
4. 독일
1) 개요
2) 장애인을 위한 방송기술 및 프로그램 현황
3) 장애인 방송을 위한 법과 정책
4) 장애인 방송을 둘러싼 주된 논쟁 및 문제점
5. 일본의 장애인 방송 현황
1) 장애인 방송 기술 및 서비스
2) 장애인 방송 프로그램 현황
3) 일본의 장애인 방송법과 지원제도
Ⅳ. 장애인의 방송접근권과 정보접근권 확대를 위한 정책 방안
1. 장애인의 방송접근권 확대 정책의 중요성
2.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방송 정책 방안
1) 장애인 방송수신환경 개선방안
2) 장애인 방송접근서비스 확대 방안
3) 장애인방송서비스 확대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3. 장애인의 정보접근권 확대 정책 방향에 대한 제안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