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미국의 고령화, 미디어, 베이비붐 문화를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노년학 이론으로 들여다본다.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한국에도 이런 책이 절실히 필요하다.
늙어가는 베이비붐 세대를 위해 미디어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베이비붐 세대는 미디어와 자랐다. 그들이 노인이 되었을 때, 미디어는 어떻게 변해야 하는가? 노인들이 계속 책을 읽고, 인터넷을 검색하고,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청취하려면 미디어는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 노화, 이미지, 마케팅, 연령차별, 헬스케어, 사회보장, 성적 매력, 정치적 파워, 새로운 은퇴 패턴 등 노령화 사회의 핵심 키워드를 통해 미디어의 다양한 대응전략을 만난다.
책의 주요 내용
1장에서는 나이 든 베이비붐 세대가 왜 매스미디어 연구에서 중요한지 설명했다. 미국에 있는 7700만 명의 베이비붐 세대는 정치·사회·경제적인 힘을 지닌 인구 집단이다.
2장에서는 커뮤니케이션학과 노년학 분야의 이론과 연구에 관해 살펴봤다. 노인들의 미디어 이미지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현실을 구성하고 개개인에게 영향을 미친다.
3장은 대인 간 상호작용을 대체하는 텔레비전을 다뤘으며 방송 뉴스와 노인의 관계를 뒤돌아봤다.
4장에서는 인쇄 미디어를 다뤘다. 노인 독자들은 인쇄 미디어의 가장 중요한 수용자로 남아 있지만 시력 저하로 읽는 것을 단념하게 된다.
5장은 엔터테인먼트가 주제다. 자유 시간이 많은 노인들은 엔터테인먼트를 위해 미디어를 이용한다. 베이비붐 세대는 여가 시간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문화적으로 구별되는 집단이다. 결국 다른 엔터테인먼트 활동과 미디어 이용은 경쟁하게 된다.
6장에서는 광고와 PR에 서의 고령화 영향을 조사했다. 노인, 특히 베이비붐 세대를 타깃으로 하는 제품과 아이디어는 엔터테인먼트와 레저를 강조하는 캠페인으로 특화돼 있다. 7장에서는 베이비붐 세대의 미디어 이용 영역을 인터넷과 뉴미디어로 확장했다. 나이 든 성인들은 인터넷을 이용하면서 뉴스, 정보, 취미, 가족에 대한 흥미를 반영한다.
8장은 노화의 관점에서 이해되는 건강과 성적 매력에 대한 연구를 기술했다. 노화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은 어떻게든 수명과 연결된다.
9장은 노인 인구가 커지면서 이들의 정치적 중요성도 확대되는 현상을 검토했다.
10장은 베이비붐 세대와 매스미디어와 관련된 경향과 예측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역동적인 사회 변화, 고령화, 매스 미디어의 영향력이 합치되면서 미국은 새로운 기회와 도전 앞에 서게 되었다.
200자평
미국의 고령화, 미디어, 베이비붐 문화를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노년학 이론으로 들여다본다. 베이비붐 세대는 미디어와 자랐다. 그들이 노인이 되었을 때, 미디어는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 노인들이 계속 책을 읽고, 인터넷을 검색하고,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청취하려면 미디어는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 등을 다룬다.
노화, 이미지, 마케팅, 연령차별, 헬스케어, 사회보장, 성적 매력, 정치적 파워, 새로운 은퇴 패턴 등 노령화 사회의 핵심 키워드를 통해 미디어의 다양한 대응전략을 만난다.
지은이
마이클 L. 힐트
네브라스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오마하에 있는 동대학교의 교수다. 저서로는『텔레비전 뉴스와 노인(Television News and Elderly: Broadcast Managers’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1997)이 있다.
제러미 H. 립슐츠
서던일리노이대학교(Southern Illinois University)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오마하에 있는 네브래스카대학교의 커뮤니케이션스쿨 교수다. 저서로는『방송의 무례(Broadcast Indecency: FCC Regulation and First Amendment, Boston)』(1997), 『인터넷 시대의 자유로운 표현(Free Expression in the Age of the Internet: Social and Legal Boundaries, Boulder)』(2000)이 있다.
옮긴이
홍명신
경희대학교에서 언론학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 객원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세종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겸임교수로 재직중이다.
차례
역자 서문 v
추천사 vii
머리말 ix
감사의 말 xii
1 매스미디어, 늙어가는 미국 그리고 베이비붐 세대에 관한 서설
커뮤니케이션학과 노년학 연결하기 7
연령차별주의와 고정관념, 문화 8
사회에서 매스미디어의 중요성 10
요약 14
이 장에 대한 질문 15
2 커뮤니케이션학과 노년학 분야의 이론과 연구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정체성, 가족 17
노인 묘사와 효과 18
노인 묘사에 대한 심리학적·사회학적 영향 21
이용과 충족 이론 25
노년사회학과 은퇴 이론 31
현실의 사회적 구성과 프레이밍 34
문화계발효과 35
편견, 고정관념, 신화 37
문화 연구와 의미 만들기 41
요약 42
이 장에 대한 질문 42
3 라디오·텔레비전 뉴스와 노인
네트워크 텔레비전 뉴스의 시청자 45
텔레비전 뉴스의 내용 48
지역 텔레비전 뉴스와 노인 50
뉴스 인력과 노인 55
뉴스 보도에 관한 여러 가지 관점 58
범죄 보도와 노인 60
마케팅과 텔레비전 뉴스 61
요약 62
이 장에 대한 질문 63
4 인쇄 미디어와 노인
신문 구독자 자료 65
신문 내용과 노인 67
베이비붐 세대와 미디어 신뢰도 70
잡지와 노인 72
존 글렌 사례 연구 73
‘비행’ 관련 주제 75
내용과 경험의 범위 78
전문적인 출판물 78
요약 79
이 장에 대한 질문 80
5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텔레비전 연구 85
텔레비전 프로그램 86
케이블 텔레비전 91
베이비붐 세대 문화와 영화, 비디오 대여, 엔터테인먼트 92
음악과 라디오 엔터테인먼트 94
게임과 트렌드 96
요약 97
이 장에 대한 질문 98
6 광고, PR, 애드보커시
인구학과 사이코그래픽스 100
마케팅과 노화 105
통합 커뮤니케이션 111
비영리기구의 커뮤니케이션 113
의견 형성 115
요약 118
이 장에 대한 질문 119
7 인터넷과 뉴미디어
인터넷 이용, 올드미디어, 미국의 노령화 128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웹 서핑, 온라인 뉴스와 정보 129
사례 연구: 노인과 웹 130
노인과 온라인 세계 145
나이 든 베이비붐 세대에게 유용한 웹 사이트 148
요약 149
이 장에 대한 질문 149
8 건강과 섹스
노 섹스, 거짓말 가득 그리고 대단치 않은 비디오테이프: 늙음, 건강, 섹스, 미디어 152
연령차별주의 152
어휘 목록 156
노화로 변하는 얼굴 157
달갑지 않은 보도 159
노화의 고정관념 159
편견에 의한 취급 161
헬시 피플 2010 162
나이 드는 것을 받아들이기 163
고령과 성적 매력 164
온라인 정보 166
터널 끝의 빛 166
요약 167
이 장에 대한 질문 167
9 미디어와 노년학의 정치적 이슈
고령의 정치학 170
사회보장 171
의료보험 172
은퇴와 관련된 근심거리 173
전미은퇴자협회 사례 연구: 2000년 선거 175
베이비붐 세대의 미래 이슈 190
요약 192
이 장에 대한 질문 192
10 늙어가는 미국인, 매스미디어 그리고 미래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199
경향과 예측 201
다른 이슈 204
이론과 리서치의 통합 205
요약 206
이 장에 대한 질문 207
참고문헌 209
책속으로
그는 인터넷을 상당히 좋아하지만 팝업 광고는 싫어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존(71세)은 다른 노인들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인터넷에는 모두를 위한 무언가가 있다고 확신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음속에 활력을 불어넣어…… 당신을 도울 겁니다. 육체적으로 그 의자를 치울 수 없다면 정신적으로나마 그 의자를 치울 수 있도록 말이지요.”
_ ‘7장 인터넷과 뉴미디어’ 중에서
TV 쇼에서 ‘늙음’에 대한 관점은 대개 <비버리 힐빌리즈(The Beverly Hillbillies)>에 나오는 할머니처럼 익살스럽거나 까다롭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렇게 다루기 힘든 부류로 분류되는 노인에 대한 이미지는 최근 몇 년간 정치적으로 오용된 것이다. 이제 그런 사람들은 거의 사라졌다. <샌퍼드 앤드 선(Sanford and Sun)>에서 레드 폭스를 보거나 <골든 걸스(Golden Girls)> 등의 재방송에서나 그런 배역을 볼 수 있을 뿐이다. 사실 황금시간대 텔레비전이 보여주는 인물상을 떠올려 보면, 15∼35세의 사람들만 존재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_ ‘1장 매스미디어, 늙어가는 미국 그리고 베이비붐 세대에 관한 서설’ 중에서
일반적으로 여성은 40세가 지나면 텔레비전 뉴스 앵커 자리에 남아 있는 것이 힘들다. 1992년 필라델피아 텔레비전의 앵커였던 44세의 다이앤 앨런(Diane Allen)은 WCAU를 고소했다. 평등고용기회위원회EEOC는 그녀 편에 섰다. 1999년 앵커 재닛 페킨포(Janet Peckinpaugh)는 코네티컷주 하트퍼드에 있는 WFSB에 성차별에 관한 소송을 제기했다. 이는 ‘나이 든 남성과 젊은 여성’이라는 텔레비전의 뉴스 모델을 드러낸 상징적 사건이었다. 페킨포는 성차별에 대한 판결에서는 승리했지만, 연령 이슈는 사라졌다. 그러나 그녀가 고용한 켄 린드너(Ken Lindner)는 잡지 ≪브로드캐스팅 & 케이블(Broadcasting & Cable)≫에서 사건의 원인은 연령이었다고 밝혔다. “그것이 부당한 해고였음을 사람들은 늙어가면서 깨닫게 되고, 그제야 그 사건을 돌이켜 보게 될 것이다.”
_ ‘3장 라디오·텔레비전 뉴스와 노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