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블로거의 영향력은 점점 커지고 블로거의 힘은 더욱 세진다.
블로그는 시민의 권리를 확장하는 오늘과 내일의 미디어다.
책의 특징
대부분의 블로그 관련 저서들은 현상에 대한 서술에 그치고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이해의 기반을 제시하지는 못했다. 이 책의 출발점은 바로 이 부분에 있다. 뉴스 미디어 또는 개인 미디어로서 블로그가 가진 다양한 속성들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반영된 것이다. 즉 편저자를 포함해 28명의 학자, 언론인 등이 집필한 14편의 논문을 묶어 낸 블로그 학술서이다. 집필진은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매스미디어의 진화로 인한 사회문화적 변화를 오랫동안 고민해 온 대학교수를 포함해 전현직 언론인과 시민활동가, 대학원 박사과정생 등 다양한 전문가들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이 책은 그간 블로그 현상에 대한 고민들을 거의 대부분 다루고 있다. 가장 기초적인 블로그 이용 동기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에서부터 뉴스 블로거의 법률적 보호 논쟁, 보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블로그의 영향, 시민 저널리즘 프로젝트와 블로그의 진화적 결합, 이라크 전쟁과 블로그, 블로그에 담긴 정보의 신뢰성, 정치 블로그의 언론적 위상, 블로그 네트워크 등을 모두 포함한다. (역자 서문 중에서)
주요 내용
1장과 2장은 표본으로 선정한 몇몇 블로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내용을 담고 있다. 헤링과 동료들(Herring and colleagues)은 시간에 따라 블로그의 구조, 내용, 저자에서 일정한 경향을 확인했다. 파파차리시(Papacharissi)는 블로그에 자기 참조적(self-referential)이고 언론 성격을 가진 콘텐츠가 부족함을 발견했다.
3장과 4장은 정치적 블로깅의 세계를 다룬다. 보수 블로그와 진보 블로그를 각각 두 개씩 살펴본 결과, 스콧(Scott)은 뉴스의 전통적 기능이 일부 있음을 확인했지만 이들은 대부분 블로그 독자적인 리포팅이 아니었다. 대신 블로거들은 전문가적인 경향을 보였다. 메라즈(Meraz)는 대통령 선거에 이용된 하워드 딘(Howard Dean)의 블로그에 게시된 수천 개의 글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숙의적이고 의미 있는 이슈 토론을 다룬 사례들에 담긴 담론들도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선더와 동료들(Sundar and Colleagues)은 블로그 공간 한 곳(정신건강에 관련된 블로그 47개)을 분석했다. 이 블로그들은 의학적 전문지식을 다루기보다는 개인적인 속성이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블로그의 독자들은 이 책의 두 번째 부분에서 다룬다. 블로그 독자들은 인구통계학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블로그 이용의 결과는 무엇인가 등이 그것이다. 6장에서는 이러한 질문의 답을 얻기 위해 두 개의 블로그 표본을 살펴보았다. 이블랜드와 딜코(Eveland and Dylko)는 온라인 뉴스 이용, 토론 포럼의 참여, 라디오 토크쇼 청취 등의 행위가 블로그 이용을 예측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들은 또한 블로그 구독과 정치 참여 간에 관계가 있음을 밝혀냈다.
7장은 블로그 이용 동기를 다룬다. 케이(Kaye)는 블로그 이용 능력과 이용자들에게 소구하는 블로그 특성을 포함하여 10개의 이용 동기를 찾아냈다.
8장은 블로그 신뢰도에 대한 실험을 다룬다. 케이드와 포스텔니쿠(Kaid and Postelnicu)는 실험 참가자들이 블로그의 원작자에 상관없이 블로그 콘텐츠를 신뢰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고 밝혀냈다.
9장은 전쟁 블로그의 이용자를 다루고 있다. 존슨과 케이(Johnson and Kaye)는 이 블로거의 상당수가 보수적이고 정부를 신뢰하는 남성임을 밝혀냈다. 이들은 온라인 뉴스 소비자의 일부이지만 특히 이라크 전쟁에 대해 블로그의 정보에 의존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 장은 블로그 현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할애하고 있다. 10장과 11장은 매스커뮤니케이션 현상으로서 블로그가 유발하는 법적 변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헨드릭슨(Hendrickson)은 일부 블로거의 활동을 수용하기 위해 언론의 기능적 정의를 확장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캐럴과 프랭크(Carrol and Frank)는 블로거들이 글을 게재하는 과정에서 국제 차원의 법적 어려움에 직면할 때 위축되는 현상을 다루고 있다.
12장과 13장은 시민 기반 저널리즘의 사례 연구들을 다루고 있다. 루티글리아노(Rutigliano)는 세 가지 유형의 언론형 블로그를 찾아내고 이들의 구조가 각 블로그에서 생산되는 글의 유형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벤틀리와 동료들(Bentley and collegues)은 마이미주리안닷컴(MyMissourian.com)에서 겪은 그들의 경험을 정리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전문적인 언론 규범과 아마추어 기사 쓰기를 혼합한 실험을 다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14장은 향후 언론 연구에 함의가 있는 블로그 연구와 이에 대한 제언을 담고 있다.
200자평
28명의 학자와 언론인이 블로그를 탐구한다. 블로그 이용 동기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부터 뉴스 블로거의 법률적 보호 논쟁, 보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블로그의 영향, 시민 저널리즘 프로젝트와 블로그의 진화적 결합, 이라크 전쟁과 블로그, 블로그 정보의 신뢰성, 정치 블로그의 언론적 위상, 블로그 네트워크 등을 분석한다.
지은이
클라이드 벤틀리(Clyde Bentley)
광고 매니저 등 20년의 현장 경력이 있으며, 현재는 미주리대학교 저널리즘스쿨의 교수이다. 마이미주리안닷컴(MyMissourian.com)의 창설자 겸 관리자이다.
브라이언 캐럴(Brian Carroll)
조지아주 베리대학(Berry College)의 교수이며, 주요 연구 분야는 커뮤니케이션 기술, 법, 정책, 미디어 융합 등이다.
이반 딜코(Ivan Dylko)
오하이오대학교의 커뮤니케이션스쿨 대학원생이다. 여론 형성 과정에서 정치인의 역할, 뉴스의 사회학에서 정치 블로그의 함의 등이 주요 관심 분야이다.
하이디 햇필드 에드워즈(Heidi Hatfield Edwards)
플로리다기술연구소(Florida Institute of Technology)의 커뮤니케이션 교수이다. 커뮤니케이션과 사회 이슈가 주요 연구 분야이며, 특히 사회 이슈에 대한 기업 조직의 관여, 보건 이슈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의 사회문화적 함의 등을 연구한다.
윌리엄 P. 이블랜드 주니어(William P. Eveland, Jr.)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의 커뮤니케이션과 정치학 분야 교수이다. 정보를 숙지한 참여적 시민에 대해 전통적인 매스미디어, 뉴미디어 기술, 개인 커뮤니케이션 등이 미치는 영향과 역할이 주요 연구 분야이다.
밥 프랭크(Bob Frank)
조지아주 베리대학(Berry College)의 커뮤니케이션 교수이며, 학과장으로 있다.
브라이언 해먼(Brian Hamman )
미주리대학교의 저널리즘스쿨 대학원생으로 컴퓨터 기술 경력이 있다.
로라 헨드릭슨(Laura Hendrickson)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법을 전공했다. 조지타운대학교의 로센터 JD 학위와 텍사스주립대학 저널리즘스쿨 박사학위를 가지고 있다.
수전 C. 헤링(Susan C. Herring)
불루밍턴 소재 인디애나대학교의 정보과학-언어학과 교수이다.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의 편집자이며, ‘Blog Research on Genre(BROG)’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
이펑 후(Yifeng Hu)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의 커뮤니케이션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준비 중인 대학원생이다. 보건 커뮤니케이션에서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영향과 역할이 주요 연구 분야이다.
토머스 존슨(Thomas Johnson)
텍사스테크대학교의 매스커뮤니케이션 대학에서 마셜 앤드 샬린 폼비 리전트 교수로 있다. 다수의 논문 및 두 권의 저서를 가지고 있다.
린다 리 케이드(Lynda Lee Kaid)
플로리다대학교의 저널리즘 앤드 커뮤니케이션 대학의 텔레커뮤니케이션 전공 교수로 있다. 『Handbook of Pol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Videostyle in Presidential Campaigns』 등을 포함해 20여 권의 저서를 펴냈다.
바버라 K. 케이(Barbara K. Kaye)
녹스빌 소재 테네시대학교의 저널리즘과 전자미디어 스쿨의 교수이다.
이나 쿠퍼(Inna Kouper)
인디애나대학교의 문헌정보과학 스쿨의 박사과정 대학원생이다.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의 사회문화적 측면과 정보 추구 현상에 대해 연구 중이며, 2003년 이후로 ‘BROG’ 프로젝트의 연구원으로 있다.
제레미 리토(Jeremy Littau)
전직 신문사 기자로 현재는 미주리대학교의 저널리즘스쿨에서 박사학위 과정을 밟고 있다. 사회적 자본 창출 수단으로서 시민 저널리즘의 기능에 대해 연구 중이다.
샤론 메라즈(Sharon Meraz)
오스틴 소재 텍사스주립대학교의 박사과정 대학원생이다. 새로 등장하는 웹 기술과 이로 인한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가 주요 연구 분야이다.
한스 메이어(Hans Meyer)
미주리대학교의 저널리즘스쿨의 박사과정 대학원생이다. 남캘리포니아 소재 지역신문 기자 경력과 경영 경력이 있다.
지지 파파차리시(Zizi Papacharissi)
필라델피아 소재 템플대학교의 커뮤니케이션과 영상 대학의 학부 및 대학원 교수이다. 새로운 기술과 정치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해 다양한 관심 분야를 연구 중이다.
모니카 포스텔니쿠(Monica Postelnicu)
루이지애나주립대학교의 매스커뮤니케이션맨십스쿨의 교수이다. 정치 커뮤니케이션에서 인터넷과 뉴미디어의 역할과 함의를 연구한다.
로 루티글리아노(Lou Rutigliano)
텍사스주립대학교의 박사과정 대학원생이다. 참여적 미디어, 디지털 공동체 네트워크, 디지털 격차와 미디어 사회학 등이 주요 연구 분야이다.
로이스 앤 샤이트(Lois Ann Scheidt)
블루밍턴 소재 인디애나대학교에서 문헌정보학 박사학위를 준비 중이며,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하고 있다. ‘BROG’ 프로젝트의 초기 멤버이다.
D. 트래버스 스콧(D. Travers Scott)
남캘리포니아대학교의 아넨버그 스쿨의 박사과정 대학원생이다. 『Strategic Sex: Why They Won’t Keep It in the Bedroom』의 편집자이며, 두 권의 소설을 펴냈다.
카르멘 스타브로시투(Carmen Stavrositu)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의 커뮤니케이션 대학의 박사과정 대학원생이다.
S. 샴 선더(S. Shyam Sundar)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의 커뮤니케이션 대학에서 교수이자 미디어효과연구소의 책임자로 있다. 매스커뮤니케이션의 기술적 요인이 가진 심리학적 효과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브렌던 왓슨(Brendan Watson )
≪세인트 피터스버그 타임스(St. Petersburg Times)≫의 온라인판 편집자로 있으며, 미주리대학교 저널리즘스쿨의 대학원을 다니고 있다.
베스 웰시(Beth Welsh)
캔자스시티닷컴(KansasCity.com)에서 커뮤니티 페이스(Community Faces), 시민 저널리즘 사진 섹션 등을 맡고 있다. 미주리대학교의 저널리즘스쿨 석사학위를 마쳤다.
엘리야 라이트(Elijah Wright)
블루밍턴 소재 인디애나대학교에서 문헌정보학 박사학위 과정을 다니고 있다. 사회적 소프트웨어, 사회 연결망 분석, 블로그, 과학계량학 등이 관심 분야이다. ‘BROG’ 프로젝트의 초기 멤버이다.
엮은이
마크 트레메인(Mark Tremayne)
텍사스 오스틴의 텍사스주립대학교 저널리즘스쿨의 교수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현대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수용자 역할 변화와 이로 인한 저널리즘의 영향 등이다. 주요 논문이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Convergence≫,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등에 게재되었다.
옮긴이
이동훈
성균관대학교 언론학박사
전 배재대학교 미디어정보사회학과 교수
차례
역자 서문 포용력 있는 미디어 사회를 위해
서문 블로그의 개념
서론 블로그와 매스미디어의 관계 점검
네트워크로서의 블로그 공간
정치 블로거들: 이벤트와 미디어는 그들을 어떻게 자극하는가
매스미디어를 통해 드러난 블로거의 영향력
미디어를 난감하게 만든 블로거의 영향력 사례
블로그에 대한 주류 미디어의 대응
1부 블로깅: 내용 분석을 활용한 블로그 연구
01 2004∼2005년 블로그의 변화
서론
배경
블로그 공간의 확장/외부 이벤트에 대한 반응/저널리스트로서의 블로거/
전쟁 블로거/블로그의 내용 분석
연구 방법
자료/분석 방법/결과
논의점
결론
02 미디어 생산자로서 블로거의 속성 : 260개 블로그의 내용 분석
자기표현과 사회적 접촉으로서 블로깅
연구 방법
표본과 절차/구조/디자인/내용
결과
연구 문제 1: 블로그의 기술적 요인/연구 문제2: 블로그의 내용, 구조, 디자인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
논의점 49
03 2004년 미국 대통령 선거와 정치 블로그의 비판적 역할
블로깅과 메모게이트의 배경
정치 블로그의 연구
개념적 틀/연구 방법/결과/일관성/메모게이트: 상반된 사례/블로깅의 신화와 현실
04 하워드 딘 후보 관련 블로그의 내용 분석
서론
문헌 고찰
이론적 검토/온라인 대화와 숙의 이론/정치적 대화와 정치적 토론 참여자 네트워크의 구성/정치적 대화에서 전통적 미디어의 역할/가설과 연구 문제/연구 방법
연구 결과
토론과 반대 의견의 다양성/전통적 미디어와 개인 간 토론의 다양성/토론의 성격
논의점
05 블로그와 보건 커뮤니케이션
블로그 기술과 매스커뮤니케이션
소스로서의 수용자/소스로서의 자신
블로그와 보건 커뮤니케이션
누가 블로그를 하는가/왜 블로그를 하는가/정신건강 블로그의 속성
연구 방법
표본/분석 단위/절차
연구 결과
누가 블로그를 하는가/왜 블로그를 하는가/대처로서의 블로깅과 정체성 형성/ 정신건강 블로그의 성격
논의점
2부 시민권: 블로그 이용 선례와 효과 연구
06 2004년 대통령 선거 기간 동안의 정치 블로그 이용 행태 연구
블로그의 정의
이용자와 블로그의 이용
정치적 블로그 읽기와 다른 형식의 커뮤니케이션
블로그 읽기의 정치적 관련성
연구 1의 분석 방법
표본/측정
연구 2의 분석 방법
표본/측정 도구
연구 1과 연구 2의 결합
논의점
정치 블로그의 이용자/블로그 읽기의 정치적 결과/향후 연구를 위한 한계점과 제언
07 블로그 이용 동기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론
블로그 이용자를 연구하는 이유
이용과 충족 그리고 인터넷
인터넷과 블로그 이용 동기
이용과 충족의 측정
연구 문제
연구 방법
블로그 이용 동기
연구 결과
블로그 이용 동기화 블록
논의점
제한점/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08 블로그 소스 비교를 통한 정치적 메시지의 신뢰성 분석
정치 정보의 출처로서 블로그의 등장
젊은 시민층의 온라인 정보 소스에 대한 인식과 이용
소스의 신뢰성 관련 연구의 초점
블로그 소스 신뢰도의 중개 요인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블로그 소스별 정보의 평가 차이/의사 결정에 대한 블로그 소스의 영향/정치적 냉소주의와 블로그 소스/성별, 정파성에 따른 블로그 소스 신뢰도 차이
논의점
09 블로그 이용자의 전쟁 관련 블로그의 신뢰요인
블로그에 대한 의존
다른 미디어의 대체재로서의 블로그
블로그와 정치적 태도
블로그와 인구통계학
연구 문제
연구 방법
소스 의존도/태도, 관여도, 관심 및 지식/인구통계학적 속성/자료 분석
연구 결과
응답자 속성/블로그와 전통 미디어, 온라인 소스 등에 대한 의존도
논의점
한계점
3부 미디어의 미래: 언론에 대한 블로그의 영향력 연구
10 뉴스 블로그 기능과 블로그 공간의 언론 보호
블로거
언론 조항의 의미
언론 보호의 출처
언론이 특별한 보호를 받아야 하는가
언론의 기능적 정의/블로그 공간에서 ‘언론’의 기능적 정의의 적용
11 국경 없는 블로그 공간과 국가 간의 법 적용의 이슈
명예훼손 법률의 검토
명예훼손 판결의 논의점
사전제재 법의 검토
저작권 소송법 검토
법적 위험의 추정을 위한 틀
자유주의 모델/보통법 국가/민법 국가들/개발도상국가/권위주의 국가들
해결 방안
결론
12 시민 저널리즘으로서의 창발적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론
시민 저널리즘과 공론장
창발적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사항
결론
13 시민 저널리즘 관련 사례 연구
서론
문헌 검토
시민 저널리즘의 개념
기술
정책과 절차
콘텐츠 섹션
사진
독자와 기고자 찾기
웹에서 인쇄까지
결론
14 블로그 연구를 통해 본 미디어의 미래에 대한 교훈 : 능동적 수용자의 배양
연구들은 블로그와 블로그 독자에 대해 무엇을 말하는가
블로그 공간의 신화와 현실/언론인가 아니면 그와 다른 무엇인가/블로그는 믿을 만한가/누가 블로그를 왜 읽으며, 이는 어떠한 효과를 낳는가/블로그 연구의 선구자
미래의 미디어
소지역적 저널리즘/관리적 시민 저널리즘/문제 지향 저널리즘/데이터베이스 저널리즘/고품질 저널리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