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기호는 우리의 의식을 어떻게 조종하고
사회적 지배가치를 어떻게 재생산하는가?
미디어는 기호의 끝없는 변신이다. 그래서 기호학은 미디어를 통해 나타나는 인간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분석하기 위한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이 책은 기호학의 기초 개념을 설명한다. 기호학의 연원과 이론, 기호의 의미작용 방식 등을 소개한다. 기호는 우리 의식을 어떻게 조작하는가? 그것은 사회적 지배가치를 어떻게 재생산하는가? 미디어와 기호와 의식과 이데올로기의 생태학을 설명한다.
서론과 1장에서는 인간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불가분리적 측면을 논의하고, 여기서 비롯된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두 가지 상이한 시각이 갖는 차이점과 특징을 비교·논의한다.
2장은 여러 ‘커뮤니케이션 모델’ 중 앞의 두 가지 시각을 대변하는 커뮤니케이션 모델들이 각기 다른 시각의 이론 구성에 어떻게 기여하고 연결되어 있는지 소개한다.
3장은 학문적 영역으로서의 ‘기호학이란 무엇인가’를 기초적인 차원에서 포괄적으로 안내하고, 기호학의 연원과 기초, 기호학 이론의 다양성, 기호학 연구의 대상과 영역에 대한 일반론을 소개한다.
4장은 기호학의 핵심 개념인 기호를 다룬다. 여기서는 기호학의 양대 산맥인 소쉬르와 퍼스의 기호 개념을 설명하고, 이 두 전통의 기호 개념이 바르트를 통해 어떤 방식으로 결합되는지를 보여준다.
5장은 구조주의의 모태라고 볼 수 있는 기호에 대한 소쉬르의 아이디어를 소개한다. 즉 기호의 변별적 대립과 가치의 체계에 대한 소쉬르의 아이디어를 살펴보고, 개념을 소개한다.
6장에서는 기호의 의미작용 방식에 대한 설명과 이들 기호의 의미작용 방식이 생각과 행동을 어떻게 지배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들 의미작용 양상을 미디어 메시지의 분석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7장에서는 기호 사용을 위한 규칙 체계로서 약호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다양한 양상의 약호들을 분류하고 설명함으로써 보여준다. 여기서 살펴본 약호의 다양한 양상은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메시지를 통해 반영된다는 점에서 주요한 의미를 지닌다.
8장은 논의에서 배제되었던 테크놀로지에 의한 영상 특유의 기술적 약호와 텍스트 조직 구조를 다룬다. 영상 텍스트는 우리의 일상에서 사용하는 기호와 약호를 사용하고 있지만, 특유의 기술적 약호를 통해 여과되고 재구성됨으로써 독특한 기술적 텍스트를 만들어낸다.
9장에서는 앞부분의 논의에서 끊임없이 언급되었던 기호학과 구조주의와의 이론적 연결 관계와 기호학적 분석 도구로 사용되는 구조주의적 개념을 실제 적용 사례와 더불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결국 이 책은 기호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기호학적 기초 개념과 이들 기초 개념이 매스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한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기호현상을 설명하고 분석하는 데 어떻게 적용되는지 소개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200자평
미디어는 기호의 끝없는 변신이다. 그래서 기호학은 미디어를 통해 나타나는 인간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분석하기 위한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이 책은 기호학의 기초 개념을 설명한다. 기호학의 연원과 이론, 기호의 의미작용 방식 등을 소개한다. 기호는 우리 의식을 어떻게 조작하는가? 그것은 사회적 지배가치를 어떻게 재생산하는가? 미디어와 기호와 의식과 이데올로기의 생태학을 설명한다.
지은이
박정순
경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학 석사학위를, 미국 오하이오 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오하이오 대학교의 부시연구소 연구원을 역임했다. 한국언론학회에 ‘미디어, 젠더, 문화’ 연구회를, 한국방송학회에 ‘커뮤니케이션과 젠더’ 분과를 만들었다. 한국방송학회 부회장,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의 창립 멤버로 학술지 ≪미디어, 젠더 & 문화≫의 초대 편집위원장을 맡았다. 저서로는 『대중매체의 기호학』(한국언론학회 저술상 수상, 1995), 『대중매체와 성의 상징질서』(공저, 1997), 『정치커뮤니케이션 원론』(공저, 1996) 역서로는 『광고의 기호학』(2007), 『현대 PR의 이론과 실제』(공역, 2004), 『신문방송 취재보도론』(공역, 1999), 등이 있다.
차례
서론 커뮤니케이션을 어떻게 볼 것인가?
전달 개념의 커뮤니케이션
공유 개념의 커뮤니케이션
1장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접근 시각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전달적 시각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기호학적 시각
정보의 전달 효과 대 의미의 생산과 교환
메시지 대 텍스트
영향력의 행사 대 일체감의 확인
송수신자 대 공동 참여자
환원주의적 분석 방법 대 전체론적 방법론
2장 커뮤니케이션의 연구 모델
전달적 커뮤니케이션 모델
헤럴드 라스웰의 모델
섀넌과 위버의 모델
수정 모델
슈람의 모델: 순환적 모델과 공유 모델
뉴컴의 A-B-X 모델: 상호작용 체계 모델
야콥슨의 기호학적 통합 모델
3장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기호학의 시작
소쉬르의 기호론
퍼스의 기호학
소쉬르와 퍼스의 차이
기호학 이론의 다양성
기호학의 연구 영역과 연구 대상
기호학의 연구 영역
기호학의 연구 대상
4장 기호란 무엇인가?
기호와 의미
소쉬르의 기호 개념
퍼스의 기호 개념
기호의 분류 체계
퍼스의 현상학적 존재 양상
기호의 현상학적 삼항 분류 체계
기호의 종류: 유상, 지표, 상징
유상
지표
상징
기호동기와 관습
기호동기
관습
5장 기호와 체계
가치의 체계와 기호의 의미
개념적 차원의 기호가치
물적 차원의 기호가치
기호의 의미가치: 차이와 대립의 원칙
기호의 실질과 형식: 옐름슬레우의 기호 모델
문화적 현상의 실질과 형식
기호의 규칙과 사용: 언어체와 발화체
언어체
발화체
언어체와 발화체의 기호학적 적용
기호의 조직: 계열체와 통합체
계열체
통합체
계열체와 통합체의 기호학적 적용
6장 기호의 의미작용
1단계 수준의 의미작용: 지시의미
2단계 수준의 의미작용: 함축의미와 메타언어
함축의미의 의미작용 방식
메타언어의 의미작용 방식
신화의 의미작용: 바르트의 ‘신화’
신화와 함축의미
동기의 자연화
지배적 신화와 대응 신화
기호의 다의성과 지배적 의미
탈명화 현상
지배적 의미와 뉴스미디어
은유와 환유의 의미작용
은유
시각적 은유와 미디어
은유의 일상성과 이데올로기
환유
시각적 환유와 미디어
7장 약호란 무엇인가?
약호와 관습
약호의 분류
논리적 약호
미학적 약호
사회적 약호
기타 약호의 분류체계
8장 텔레비전의 영상 텍스트
영상 텍스트의 특징
이해의 용이성
기호단위의 연속성과 분석의 난이성
영상 이미지의 일방성과 각인성
기호의 중층성
영상 텍스트의 조직과 구조: 공간과 시간
필름의 공간적 배열: 미장센
필름의 시간적 배열: 몽타주
영상 텍스트의 의미작용
은유적 의미작용과 함축의미
환유적 의미작용과 함축의미
계열적 함축의미와 통합적 함축의미
영상 텍스트의 구성 약호
기술적 약호
표상적 약호
이데올로기적 약호
9장 기호학과 구조주의
구조주의, 기호학, 언어학의 관계
구조주의 분석의 방법론적 원칙
개체적 분석보다는 관계 구조의 연구
표면적 현상보다는 이면 구조의 연구
이면적 구조의 본유성 전제
이항대립의 원칙
통시적 현상보다는 공시적 현상의 연구
언어적 현상과 사회문화적 현상의 동일시
사회문화적 현상의 구조적 동일성
구조주의 분석의 기본 도구: 이항대립과 범주화
이항대립 구조의 논리
범주화와 문화, 구체적인 것의 논리
분류 범주의 상응성
비정상적 범주로서의 금기
레비스트로스의 ‘신화’
참고문헌
책속으로
언어는 인간의 느낌이나 생각을 대신 나타내는 기호이기도 하지만 바로 그것을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인류 최초의 미디어이자 현존하는 미디어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다. 이런 점에서 기호와 미디어는 다른 것이 아니다. 결국 미디어는 기호의 끝없는 변신인 셈이다.
_’머리말’ 중에서
기호의 과학(science of signs)으로서 기호학(Semiotics)의 기원은 언어에 대한 서구 사상의 관심과 더불어 말과 사물 간의 관계에 대한 서구의 고전 철학사와 불가피하게 혼합되어 있다. 소크라테스 이전의 그리스 철학자들은 이미 말과 그것이 지시하는 사물 간의 연결 관계가 선천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관계인지, 아니면 사회적인 관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지에 대한 문제를 탐구해 왔다.
_ ‘3장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중에서
다시 말해, 우리는 세계를 있는 그대로 보기보다는 우리의 문화가 갖고 있는 관념과 언어적 구조를 통해서 바깥 세계를 인식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인간의 주관성과는 무관하게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안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임을 주장한다. 따라서 기호학의 구조주의적 방법론은 현실 그 자체보다는 다양한 문화들이 세상을 바라보고 이해하는 방식이 갖는 개념구조를 밝혀내서 우리가 현실이라고 믿는 것의 이면을 드러내는 데 주안점을 둔다.
_ ‘9장 기호학과 구조주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