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우리 고대사 연구의 중요한 사료
≪속일본기≫는 697년에서 791년까지 95년간의 역사를 40권의 분량으로 다루고 있다. 2년간의 역사를 1권 가까운 분량으로 서술한 셈이다. 이 사서는 797년에 완성된 동시대의 사료다. 그래서 비교적 상세하게 8세기의 일본사를 복원할 수 있다. ≪속일본기≫에는 신라에서 일본에 파견한 사신이나 발해가 일본에 파견한 사신에 대한 기록도 포함되어 있다. ≪삼국사기≫에는 일본과의 외교 관계에 대한 기술이 적고, ≪속일본기≫의 신라 사신에 대한 기록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 점에서 ≪속일본기≫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한국 고대사 사료를 보충할 수 있는 사서다.
≪삼국사기≫를 통해 신라사라는 숲을 볼 수 있는 정도라면, ≪속일본기≫를 통해서 일본 고대사라는 숲 속의 나무까지 들여다볼 수 있다. 한국과 일본이라는 지역적인 차이는 존재하지만, 이웃 나라의 역사를 읽으면서 거꾸로 한국 고대사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속일본기≫는 한국 고대사 연구에 적잖은 도움이 되는 문헌이다.
속일본기의 마지막 기록
제31권부터 40권까지는 보귀(寶龜) 원년(770년) 10월부터 연력(延曆) 10년(791년) 12월까지의 시기를 다루고 있다. 백벽왕(白壁王, 709∼782), 즉 광인천황(光仁天皇)의 즉위로부터 시작한다. 연력 원년에는 ≪속일본기≫의 최종 편찬을 명령한 환무천황의 시대가 열린다. 관찬 사서에서 재위 중인 군주의 치세를 다루는 경우는 극히 예외적이다. 천조대신(天照大神)의 후손으로 자처해 왔던 일본 천황가의 혈통을 상대화하려는 의도로 해석할 수 있다.
일본 고대사 전공자에 의한 전문적 번역
≪속일본기≫를 번역한 역자 이근우는 일본 고대 사료를 연구하고 번역하는 일에 주력하고 있는 학자다.
우리 학계는 ≪일본서기≫나 ≪속일본기≫와 같은 일본 고대 사료에 대한 학술적인 번역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일본서기≫의 한국 고대사 관련 내용에 대해서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역시 일본 고대사 전공자에 의한 본격적인 번역은 없는 상태다. ≪속일본기≫의 출간으로 우리 학계의 학술적 진전이 이루어졌다.
200자평
문무천황(文武天皇)의 즉위부터 시작하여 환무천황(桓武天皇)의 연력(延曆) 10년까지 9대, 95년간(697∼791)에 대하여 기록한 40권 분량의 관찬(官撰) 사서(史書)다. 그 속에는 내량시대(奈良時代, 710∼784) 전 기간이 포함되어 있다. 동시대에 기록한 사료로서 상세하게 일본사를 복원할 수 있다. 한국 고대사와 관련된 자료들도 들어 있어 우리의 고대사 연구에 적잖은 도움이 된다.
엮은이
스가노노 마미치(菅野眞道, 741∼814) 외
스가노노 마미치는 헤이안시대(平安時代) 초기의 문인 관료다. 선조는 백제 근구수왕의 후손이라고 하며 원래의 성은 쓰노무라지(津連)였다. 790년에 스가노노아손(菅野朝臣)으로 개성(改姓)했다. 간무천황(桓武天皇)의 신임이 두터웠으며 조궁량(造宮亮)으로서 헤이안경[平安京, 현재의 교토(京都)]으로 천도하는 과정에 깊이 개입했다. 805년 간무 천황 앞에서 후지와라노 오츠쿠(藤原緖嗣)와 이른바 덕정논쟁(德政論爭)을 벌였다. 오츠쿠는 북방의 이민족인 에미시(蝦夷)와 전쟁의 중지와 토목 공사의 중단을 건의했고, 마미치는 이에 반대했다. 최종 관위는 종3위, 관직은 참의(參議)였다. 간무 천황의 명령으로 797년에 ≪속일본기≫ 40권을 완성했고, 격식(格式) 등의 법령집 편찬에도 간여했다.
옮긴이
이근우
이근우는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거쳐 한국학대학원 사학과 석·박사 과정을 졸업했으며, 다시 일본 교토대학 일본사 교실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부경대학교 사학과에 재직 중이며, 부경대학교 박물관장·인문사회과학연구소장을 거쳐, 대마도연구센터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된 관심 분야는 고대 한일 관계사, 한국 고대사, 일본 고대사다. ≪고대왕국의 풍경≫(인물과 사상사, 2006), ≪전근대 한일 관계사≫(방송대 출판부, 2007), ≪전통사회의 이해≫(방송대 출판부, 2008), ≪부산과 대마도의 2000년≫(국학자료원, 2010) 등의 저서를 집필했고, ≪일본사상사≫, ≪주자학과 양명학≫, ≪일본서기 입문≫, ≪침묵의 종교 유교≫, ≪지의 윤리≫, ≪지의 현장≫, ≪고구려의 역사와 유적≫, ≪역주 일본서기≫, ≪영의해 역주≫ 등 다수의 번역서를 출간했다. 대표 논문으로는 <桓武天皇의 母系는 武寧王의 後孫인가>(2002), <王仁의 千字文·論語 일본 전수설 재검토>(2004), <日本書紀에 보이는 五經博士와 吳音>(2010) 등이 있다.
차례
권 제31 보귀(寶龜) 원년 10월부터 2년 12월까지
권 제32 보귀(寶龜) 3년 정월부터 4년 12월까지
권 제33 보귀(寶龜) 5년 정월부터 6년 12월까지
권 제34 보귀(寶龜) 7년 정월에서 8년 12월까지
권 제35 보귀(寶龜) 9년 정월부터 10년 12월까지
권 제36 보귀(寶龜) 11년 정월부터 천응(天應) 원년 12월까지
권 제37 연력(延曆) 원년 정월부터 2년 12월까지
권 제38 연력(延曆) 3년 정월부터 4년 12월까지
권 제39 연력(延曆) 5년 정월부터 7년 12월까지
권 제40 연력(延曆) 8년 정월부터 10년 12월까지
원문
해설
옮긴이 후기
엮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천황의 휘(諱)는 백벽왕(白壁王)이며, 근강대진궁(近江大津宮)에서 천하를 다스린 천명개별천황(天命開別天皇)의 손자이자, 전원천황(田原天皇)의 여섯째 황자다. 어머니는 기조신상희(紀朝臣橡姬)이며, 증태정대신(贈太政大臣) 정1위 제인(諸人)의 딸이다.
-3쪽
신해, 칙하기를, “지난번 여러 경(卿)들이 아뢴 대로 천하에 상복을 입는 기한을 6개월로 정했다. 그러나 짐의 효성이 부족해 아버님 은혜[慈蔭]에서 영원히 멀어졌다. 서리에 맞아 색이 변한 나뭇잎[霜葉]을 사모하나 아버님 얼굴을 뵙던 날로 돌아갈 수 없다. 아득히 풍지(風枝)를 품어 보았지만 끝내 아버님 곁에서 시중들던[侍謁] 때가 사라졌다. 아버님이 돌아가신 고통이 매번 심하고, 망극한 마음은 더욱 절절하다. 마땅히 이전에 정한 상복 착용 기간[服期]을 고쳐서 1년으로 정해야 할 것이다. 나머지 시행한 일은 오로지 이전의 칙에 따르라”고 했다.
-41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