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번방 사건, 그 이후
북레터 [주간 인텔리겐치아]입니다.
안녕하세요. 북레터 인텔리겐치아입니다.
‘어떻게 이걸 아무도 신고를 안 할까?’, ‘어떻게 아직까지 어떤 언론도 이걸 취재 안 했을까?’ N번방을 취재했던 추적단불꽃이 가장 크게 느낀 문제의식입니다. 사건의 트라우마를 추스르면서 그 이후를 모색하는 책이 출간되어 소개합니다.
N번방 사건이 세상에 드러나고, 피해자는 물론 가해자 중에도 학령기 아동·청소년이 있다는 이야기에 교육계 안팎이 발칵 뒤집혔어요. 자녀에게 ‘성교육’을 ‘시켜야’겠다는 학부모들도 많아졌지만, 이게 한두 시간의 ‘교육’으로 해결될 수 있는 일은 아니죠. N번방 사건 앞에서 ‘내 아이의 성교육’을 생각해 내는 양육자들은 성에 대해 어떤 관점을 갖고 있을까요? 어른들이 변하지 않는데 아이들이 변할까요? 이 책은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했습니다.
이 책을 쓴 20명의 저자는 유치원 교사, 초·중·고등학교 교사, 대학 강사, 연구자, 시민 활동가들입니다. 저자들이 나눈 8회의 좌담과 17편의 원고에는 지금 교육 현장의 언어와 현실이 그대로 담겨 있습니다. N번방 사건과 관련해서 무엇이 가장 문제라고 생각하는지, 어떻게 해결할지, 여성에 대한 오래된 편견을 어떻게 바꿀 수 있을지, 어떻게 하면 이 사회의 젠더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내 주변 사람들에게 던질 수 있을지.
삶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 교육을 지향하는 이들이, 서로 대화하고 질문하는 과정을 그대로 펼쳐 보여드리는 책입니다.
여성주의 상담은 약자의 편에서 인간의 어려움을 이해하기 위해 젠더, 사회적 위치, 권력을 중요한 이슈로 다루는 통합적인 상담 접근입니다. 지금은 여성뿐만 아니라 모든 젠더, 아동, 다양한 유형의 가족, 거시적인 시스템을 아우르고 있어요. 과거에는 여성과 젠더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지만, 최근에는 힘과 무력감의 분석에서 시작하여 더 포괄적인 다문화 접근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 책은 미국심리학회(APA)가 펴낸 ‘상담 이론’ 시리즈 중의 한 권입니다. 이론은 계속 새로운 상황이 벌어지는 상담 현장에서 흔들리지 않고 방향을 잡을 수 있는 나침반의 역할을 합니다. 저자인 로라 브라운은 여성주의 상담의 선구자인데, 상담자로서 자신이 쌓은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여성주의 상담의 이론과 실제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미국심리학회의 기획자들은 여성주의 상담 이론이 발전하는 데 이 책이 지대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공언합니다.
지역, 인종, 종교, 나이, 경제력 등 여성의 현실이 복잡한만큼 다양한 페미니즘이 존재합니다. 이 책은 그 방대한 페미니즘에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종합 안내서자 교과서예요. 페미니즘 사상을 10개의 범주로 분류하고, 각각의 관점이 대두된 시대적 맥락과 실천가들의 고민을 정리했습니다. 특히 다양한 관점들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을 드러내, 페미니즘이 단일한 이데올로기가 아니며, 모든 페미니스트가 똑같이 생각하지 않는다는 점을 알려줍니다. “다른 모든 관점에 대해 승리하는 한 가지 관점을 찾고 있는 독자가 있다면 이 책의 말미에서 결국 실망할 것”이라는 저자의 말처럼, 어떤 문제에 완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페미니즘이 아니라 끊임없이 “성장, 향상, 재고, 확장”하는 페미니즘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
코로나가 불러온 온라인 교육으로 교육 현장은 혼란을 겪었습니다. 그 이면에는 오래전부터 제기돼온 한국 교육의 오래된 과제가 웅크리고 앉아 있었죠. 이 책은 대학 교수, 초·중·고등학교 교사, 입시 전문가, 에듀테크 전문가, 학부모 연구자, 평생학습 전문가, 지자체장, 교육행정 전문가 등 17인이 현황을 점검하고 한국 교육의 나아갈 길을 모색한 결과물입니다.
코로나19가 강제한 비대면 수업 경험을 초등교사들에게 직접 듣고, 입시와 사교육 문제를 고3 교사와 보습학원 원장, 사교육 연구자가 이야기했습니다. 교육 공무원, 교육행정 전문가들과 교육정책 방향을 진단했고, 교육산업계의 시각에서 미래 교육의 방향을 논의했습니다. 긴급돌봄과 지역사회 교육 안전망 문제를 점검했고, 도서관 등 평생교육 서비스 기관의 폐쇄가 장기회되면서 나타나는 실질적인 문제와 대응도 돌아보았습니다. 바로 지금, 가장 생생하고 필요한 교육 현장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