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키워드: "현장 외", Page 6

인티

 

PR 직업
이해총서,커뮤니케이션 연구 현장,홍보

가장 오래갈 직업, 피아르 맨 김찬석·이완수·정나영이 쓴 << PR 직업>> 가장 오래갈 직업 사회가 복잡해지면 소통도 복잡해진다. 개인과 조직의 공중관계도 점점 더 중요해진다. 비판을 참아내는 인내력만 있다면 피아르 직업은 가장 오래 지속될 직업이다. “최근 대학생들 사이에 PR 직업이 인기 직종으로 떠올랐다. 신문, 방송 같은 언론 분야 전공 선택은 적어지고 PR …


표현의 자유를 구속하는 열 가지 판결
이해총서

우리의 표현의 자유를 구속하는 열 가지 판결 이승선이 쓴 <<표현의 자유를 구속하는 열 가지 판결>> 표현의 자유가 심의될 수 있는가? 있다면 당신은 독재체제에서 산다. 없다면 당신은 민주체제에서 산다. 언론의 자유를 제한하는 어떠한 법률도 만들 수 없다면 민주주의라고 불러도 좋다. “표현물의 제작 과정에 참여한 전문가나 커뮤니케이션 분야에 종사하는 학자들이 심의위원회에 참석한다. …


언론학 교육의 혁신 모델
교육,미디어이론

과연, 언론학을 가르칠 수 있을까? 언론학회 기획연구 3. 박은희·김성해·류재형·신동희·홍경수가 쓴 <<언론학 교육의 혁신 모델>> 미디어는 혁명, 언론학은 성찰 언론학이란 무엇인가? 미디어 활동에 대한 비판 사유다. 한국 언론학은 이데올로기 비판에서 시작해 정책을 주무르더니 이제 경영학에 도착했다. 정의로부터 이익까지, 한없이 넓어진다. 이것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언론학 교육은 다른 학문 교육과는 달리 이론과 …


경영과 창의성
경제와 경영

스티브 잡스가 천재일까? 크리스 빌턴(Chris Bilton)이 쓰고 김사승이 옮긴 <<경영과 창의성: 창의성 이론부터 창의산업 정책까지(Management and Creativity: From Creative Industries to Creative Management)>> 창의성의 일반 원리 천재만의 특권이라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없다. 우리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방법을 알아야 한다. 창의경제가 실현되려면 창의성의 신화부터 깨야 한다. 창의성을 고독하고 …


영상 콘텐츠 제작 사전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방송,영상

이영돈 피디, 요즘 왜 안 보이지? 이영돈이 쓴 <<영상 콘텐츠 제작 사전>> 영상 제작의 진실 보여야 한다. 보려면 이해해야 한다. 이해하려면 공감해야 한다. 공감하려면 끝까지 봐야 하고 끝까지 보게 하려면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 시청률이 아니라 진실을 위해서. 보이지 않는 것은 진실이 아니다. 이 말은 영상 제작에서 철칙이다. ‘시작하면서’, <<영상 콘텐츠 제작 …


초능력자
러시아문학,희곡

알고 보면 당신도 초능력자다 백승무가 옮긴 그리고리 고린(Григорий Горин)의 ≪초능력자(Феномены)≫ 초능력의 정체 인간이 할 수 없는 것을 해내는 인간, 그는 초능력자다.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 신비와 마술, 신념과 열정의 결과일까? 그럴지도 모른다. 우리 모두가 한때 사랑에 빠지는 것을 보면. 라리체프:안녕하시오, 동무들! 제가 맞게 왔죠? 왜 말이 없으실까? 대답해 보세요, 맞게 왔나요? …


소셜 미디어, 자유화 기술
03 미디어,SNS,뉴미디어

소셜 미디어, 민주 또는 독재의 기술 래리 다이아몬드(Larry Diamond)와 마크 플래트너(Marc Plattner)가 엮고 반현과 노보경이 옮긴 <<소셜 미디어, 자유화 기술(Liberation Technology: Social media and the struggle for democracy)>> 중국의 네트워크된 권위주의 만리장성은 오랑캐를 막는 장벽이었고 방화벽은 정보를 막는 장막이다. 성으로 왕조를 지켰고 힘으로 정권을 지킨다. 결국은 무너졌지만. 자유화 기술은 민주적 …


임장군전
한국고전문학

아시아 고전 특집 1. 한국 편 이복규가 현대어로 옮긴 ≪임장군전≫ 네가 자점이더냐? 임경업은 충신, 김자점은 간신이다. 나라를 지키려다 죽임을 당했고 자신을 지키려고 죽임을 꾀했다. 소설 낭독을 듣던 한 사람이 담배 써는 칼을 들어 낭독자를 베어 죽이며 외쳤다. 네가 자점이더냐! “나는 조선국 장수 임경업이러니, 대국에 사신으로 왔다가 청병대장(請兵大將)으로 왔거니와, 너희 아직 …


다큐멘터리 스타일
영화,이해총서

9월의 새 책. 다큐멘터리에서 내용과 형식의 변증법 오원환이 쓴 <<다큐멘터리 스타일>> 스타일은 메시지다 스타일, 곧 양식은 그릇이나 형식을 뜻한다. 내용이 아니라는 말이다. 그러나 내용은 형식을 따르기 마련이다. 새 술을 헌 부대에 담으면 우리가 마시는 것은 헌 술이 된다. 다큐멘터리는 현실과 맺고 있는 관계의 힘과 더불어 형식을 통해 전달된다. “다큐멘터리로 보는 …


영화 비즈니스 입문
06 예술,12 교재,영화

굿클래스 교재 안내 3. 드디어 영화 비즈니스 입문서 등장 김은영이 쓴 <<영화 비즈니스 입문>> 영화 프로듀서를 위한 텍스트 비평과 연출, 촬영과 조명에 대한 교재는 드물지 않다. 정작 영화를 만들어 이익을 내는 방법에는 깜깜했다. 현업 경험과 강의 감각이 하나가 되어 신선한 교재가 등장했다. 프로듀서를 원한다면 여기서 시작하라. 영화 비즈니스 영역에서 일하고 …


드라마 기획의 이해
12 교재,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방송,영상

굿클래스 교재 안내 2. 현장감 물씬한 영상 기획론 성준기가 쓴 ≪드라마 기획의 이해≫ 이야기의 씨앗을 모아라 드라마는 보는 것이고 보기 위해서는 찍어야 하지만, 성공은 드물다. 성패는 기획에서 결정되고 기획은 이야기의 씨앗에서 비롯된다. 노희경도, 송지나도 이구동성 외친다. 메모하라. 드라마를 책이나 강의를 통해 배워 보겠다는 생각은 정말 어리석은 것이다. ‘나오는 말’, <<드라마 …


기업을 바꾼 10대 정보시스템
01 마케팅,경제와 경영

한여름의 새 책 10. 기업이 기업 안에서 돈을 버는 방법 노규성이 쓴 <<기업을 바꾼 10대 정보시스템>> 미국 비즈니스 투자의 1/2 매년 미국 기업 투자의 절반은 정보시스템 개발에 사용된다. 5시간 걸리던 작업을 5분 만에 해결하는 성과를 돌려주기 때문이다. 일하는 방식을 바꾸면 기업 자체가 수익원이 된다. 경영 환경의 변화는 프로세스의 변화를 의미한다. …


조선 형사 홍윤식
한국근현대문학,희곡

무서운 책 6. 1933년 단두 유아 사건의 전모 성기웅이 쓴 ≪조선 형사 홍윤식≫ 대한민국 서울의 거의 모든 문제 봉건 왕조의 몰락, 제국의 침탈, 식민의 정착, 도시의 출발, 모더니즘의 도래 그리고 아직 사라지지 않은 주술과 아직 나타나지 않은 이성이 혼재된다. 80년 전, 1930년대 식민지 경성이 자리를 잡아 간다. 고학생: 호외요−호외−! 조선중앙일보 …


마인 천줄읽기
한국근현대문학

무서운 책 4. 죽이고 또 죽이고 마침내 죽다 김현주가 엮은 김내성의 ≪초판본 마인 천줄읽기≫ 피의자에 흔들리는 한국 탐정 홈즈나 뤼팽, 포아로는 흔들리지 않는다. 냉철한 계산으로 기만과 술수를 관통한다. 한국 탐정 유불란은 사랑에 약하다. 피의자 주은몽에게 향하는 감정을 감추지 못한다. 실패하지만 그래서 정겹다. 장안의 인심은 그야말로 글자 그대로 흥분과 렵기와 공포에 …


사실적 텔레비전과 방송 편성 문화
방송,이해총서

시원한 책 11. 전혀 뻔하지 않은 텔레비전 최은경이 쓴 <<사실적 텔레비전과 방송 편성 문화>> 사실은 예측할 수 없다 연출자도 잘 모르는 출연자, 어디로 튈지 알 수 없는 낯선 환경, 끝을 예측할 수 없는 스토리라인은 시청자를 흥분시킨다. 사실적 텔레비전은 종착역을 알 수 없는 여행이다. 참가자들은 수많은 카메라와 음향 장비들을 의식하지 않고, …


날 보러 와요
한국근현대문학,희곡

여름 희곡 특집 3. 왜 못 잡나? 김광림의 ≪날 보러 와요≫ 범인은 분명히 있다 살해되었으니 살해한 자가 있다. 그러나 찾지 못한다. 진실은 있지만 찾을 수 없고 찾아도 알 수 없고 그래서 진실은 알기 어렵다는 생각에 김광림은 이 작품을 썼다. 그래도 범인은 분명히 있다. 김 형사: 잘 생각해 봐, 정인규. 바로 …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