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개혁과 마케팅 원리 율곡은 답답했다. 선조는 그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고뇌 끝에 책을 쓴다. 철두철미 개혁을 주장했다. 결과는? 임진왜란이다. 왜 실패했을까? 그가 마케팅을 알았다면 어떻게 달라졌을까? 마케팅이 뭔가? 시대를 이끄는 매체에 시대가 원하는 메시지를 시대와 공유하는 것이다. 율곡이 이렇게 했다면 조선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성학집요 천줄읽기 율곡은 선조가 현명한 …
우리에게 필요한 논리적 공간과 시간을 탐구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입니다. 반전(Retorsion)은 유명한 어법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1402a 2권의 끝 부분을 참조하십시오. 반전은 연설가에게서 찾을 수 있고 특히 코락스(Korax)의 특정한 기예에 속하는 것입니다. ≪니체와 소피스트: 우리에게 필요한 논리≫,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지음, 이상엽 옮김, 135쪽 코락스가 누구인가? 소피스트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수사학≫에서 그의 연설을 …
대중문화에 대한 논의는 새로운 집단으로서 대중, 그리고 대중이 즐기고 향유하는 문화에 대한 논의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이 논의는 자연스럽게 대중의 읽을거리에 대한 관심과 읽는 행위의 평가로 이어졌다. ‘대중문화 논의, 새로운 방향·지평·의의’, ≪대중문화론≫, v쪽. 대중은 언제 어디서 출현했나? 18~19세기 유럽에서다. 18~19세기 유럽의 특징은 뭔가? 농업을 토대로 단단하게 결속했던 농촌 공동체가 느슨해지기 …
누구로부터의 간섭을 배제한 ‘독립적 생각(independent thinking)’이 바로 인디 게임을 가장 명확하게 규정지을 수 있는 단초인 것이다. 자본 없이 가난하게 게임을 만든다고 해서 모두 인디 게임으로 규정지을 수는 없으며, 인디 게임이라면 왜 이러한 자본으로부터 독립해서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게임을 만들어야 하는지 자기규정을 할 필요가 있다. ‘인디 게임이란 무엇인가’, ≪인디 게임≫, 2쪽. …
1930년대 ‘출판 혁명’이 완성되고 ‘한국학’, ‘조선학’이라는 학문이 정립되었다. 출판 기술의 축적과 경험 세계의 분석적 수용이 이루어진 것이다. 주자학의 족쇄가 완전히 풀렸다. 그 촉발제는 다산 정약용의 ≪여유당전서≫였다. ‘서론’, ≪한국 근대 언론 사상과 실학자들≫, 1쪽. ≪여유당전서≫는 어떤 책인가? 다산 정약용의 대표 저술을 정리한 문집이다. 활자본은 154권 76책으로 이루어졌다. 어떤 저술이 담겨 …
정보를 많이 압축한 역삼각형 구조는 방송에 적절하지 못하다. 라디오방송 뉴스의 초창기에는 신문 기사를 글자 그대로 읽는 경우가 많았지만 얼마 안 가서 사실을 빽빽이 밀어 넣은 신문 기사를 읽는 것이 여간 힘든 일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리드 개괄’, ≪방송 영어 뉴스 기사 작성법≫, 36쪽. 역삼각형 구조가 방송에 부적합한 이유가 뭔가? …
내가 사건 현장을 탐방하는 과정에서 오직 두 사람만이 ‘사건’에 대해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둘은 모두 사이더커인이었고, 마찬가지로 모두 타이베이의 일류 대학에서 교육을 받은 엘리트 원주민이었으며, 마찬가지로 부락에서 상응하는 권위를 갖춘, 마찬가지로 중년에 접어든 사람들이었다. 촨중다오의 사이더커 다야(達雅)인 바간(巴幹)은 역사가 우서 사건의 본질을 오해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사건의 본질은 머리 사냥이라는 …
가사는 짧은 글이다. 3분을 넘는 대중가요는 이제 찾아보기 힘들다. 3분에서도 전주 빼고 간주를 제외하고 나면 2분 30초 정도가 남는데 이 시간이 바로 대중과 공감할 시간의 전부다. 따라서 작사가는 먼저 자신이 무엇을 표현해야 하는지 정확히 알아야 한다. ‘사랑받는 가사 쓰기’, ≪대중가요 작사≫, xi쪽. 뭐라고 쓸지 어떻게 알 수 있나? 음원을 …
우리 학생들도 마찬가지 차이를 보여 주고 있다. 어떤 학생들은 “해석적으로” 문제에 접근하고, 다른 학생들은 “기하적으로” 문제에 접근한다. 첫째 부류의 학생들은 “공간에서 관조하기”를 할 수 없고, 둘째 부류의 학생들은 기나긴 계산에 금세 싫증을 느끼고 머리가 복잡해질 것이다. 두 종류의 심리는 과학의 진보를 위해서는 똑같이 필요하다. 논리파와 직관파 모두는 다른 이들이 할 …
말이 닫힌 교실 왜 학생들은 말하지 않을까? 학생의 입을 틀어막는 교육. 이제는 다시 생각해야 한다. 스스로 묻고 생각하고 설명할 때 학습의 질은 높아진다. 말과 생각이 트이는 방법이 있다. 교사와 학생의 커뮤니케이션, 담화 분석이 실마리다. ≪말이 열리는 교실: 교실수업 개선을 위한 담화 분석≫, 벳시 라임스 지음, 김종현 옮김 …
치과 기구는 스페인 이단 심문에서 쓰인, 순종하지 않던 런던탑의 죄수들에게 사용된 기구의 축소판이다. 몽키 렌치, 강판, 파일, 정, 큰 칼, 곡괭이, 압착기, 드릴, 단도, 작은 지레, 펀치, 끌, 펜치, 물건을 잡을 수 있고 팔딱거리는 끝을 가진 긴 탐침기는 욱신거리는 치아의 뿌리로 들어가 내면 의식으로부터 비명을 끌어낸다. 노고를 아끼지 않는 치과의사가 …
피칭(pitching)은 야구에서 ‘공을 던지다’라는 뜻의 용어로 우리에게 익숙한 말이다. 그렇지만 피칭이 다큐멘터리를 포함해 영화, TV 등 콘텐츠 산업에서 사용될 때 그 의미는 프로그램 아이디어를 잠재적 시장에 ‘던지는 것(내놓는 것)’이다. 야구에서 투수는 타자가 치기 어려운 공을 던지고자 하는 것과 달리 피칭에서 제작자는 투자자가 가장 탐낼 모양새로 포장해 작품의 아이디어를 던진다. ‘피칭이란’, …
타이먼: (황금을 손에 들고) 오, 세상 군왕들도 죽음으로 몰아넣는 사랑스러운 살인자, 부모 자식 사이도 갈라 놓는 다정한 패륜아, 신성한 결혼의 침상마저 더럽히는 달콤한 배신자야! 나라와 나라 사이를 피로 물들이는 용맹한 군신아! 살짝 붉힌 뺨과 뜨거운 입김으로 눈같이 차가운 처녀의 정절을 녹여 버리고 무릎을 벌리게 하는 영원불멸한 젊음의 구혼자야! 너 눈에 …
과거에 영화와 텔레비전이 그랬듯 지금 게임은 가장 지배적인 문화 중 하나며, 현대를 읽는 매우 요긴한 렌즈다. 게임문화연구는 지금의 사회와 인간을 이해하는 한 방식이다. ‘문화와 연구가 배제된 게임의 시대’, ≪디지털 게임문화연구≫, xiii쪽. 게임문화연구가 뭔가? 게임의 문화적 의미를 밝히는 작업이다. 게임에 대한 모순된 관점을 넘어서려 한다. 어떤 모순 말인가? 게임을 미래 …
인간을 둘러싼 모호한 힘 자녀의 결혼식에서 빚어진 두 아버지의 불화가 전쟁으로 이어진다. 아버지의 노여움으로 탑에 갇혀 있던 말렌 공주는 극적으로 살아남아 왕자를 찾아 나선다. 인간을 둘러싼 보이지 않는 모호한 힘과 초자연적인 것, 무한에 대한 작가의 관심이 묘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1911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벨기에의 상징주의 극작가 마테를링크의 첫 희곡이다. ≪말렌 공주≫, 모리스 …
1982년 시작된 국내 프로야구는 국내에서 인기가 가장 높고 티브이 중계가 가장 많은 스포츠다. 월드베이스볼클래식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베이징올림픽, 인천아시안게임 우승 등으로 야구팬이 많이 늘어난 덕분이다. 그만큼 마케팅 가치도 크다는 의미가 된다. 기업들은 야구장을 찾는 관객이나 티브이 중계를 통해 경기를 시청하는 팬들을 상대로 적극적인 마케팅을 전개하고 있다. ‘KBO 리그’, ≪세계 10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