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검협전(劍俠傳)≫은 총 33편의 당송(唐宋) 시기 검협 소설을 모아 엮은 작자 미상의 소설집이다. ≪태평광기(太平廣記)≫, ≪강호이인록(江湖異人錄)≫, ≪원화기(原化記)≫ 등에 전하는 작품들 가운데 고대 문언 검협 소설의 정수만을 담았다. 중국 무협 소설의 효시인 작품이다.
당송(唐宋) 시기 전기(傳奇)소설의 정수(精髓)만을 모아 엮은 소설집이다. ≪검협전≫은 ≪전기(傳奇)≫를 비롯한 ≪태평광기(太平廣記)≫, ≪강호이인록(江湖異人錄)≫, ≪원화기(原化記)≫ 등에 전하는 총 33편의 당송 시기 검협(劍俠) 소설을 수록하고 있다.
이 소설집의 저자에 대해서는 줄곧 여러 주장들이 있어 왔다. 일찍이 당(唐)나라 사람 단성식(段成式)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루쉰(魯迅)은 ≪중국소설사략(中國小說史略)≫에서 ≪검협전≫은 명(明)나라 사람들이 단성식의 이름을 빌려 출판한 위작이라 했다. 여가석(余嘉錫)은 ≪사고제요변증(四庫提要辨證)≫에서 작품에 묘사된 시대 배경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본 결과 ≪검협전≫은 당(唐) 대에 편찬된 것이라고는 보기 어렵다고 했다. 그러면서 명(明) 대 왕세정(王世貞)이 당송(唐宋) 시기 검협 관련 소설을 모아 편찬했을 것이라고 했다. ≪검협전≫을 왕세정이 편찬했을 것이라는 여가석의 주장은 오늘날 상당 부분 인정되고 있는 상황이긴 하지만, 반론 또한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그래서 엄밀히 말하자면, ≪검협전≫의 저자와 편찬 시기는 명확히 고증되지 않았고, 현재까지 분명하게 알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전하는 ≪검협전≫의 판본은 각기 한 권짜리와 네 권짜리가 있다. 그 가운데 명(明) 대 오관(吳琯)이 편찬해서 전한 ≪고금일사(古今逸史)≫ 네 권짜리가 가장 널리 유행했다. 청(淸) 대 화가인 임위장(任渭長)은 이 책에 근거해 <삼십삼검객도(三十三劍客圖)>를 만들어 전하기도 했다. 또 현대 무협 소설 작가인 진융(金庸)은 <삼십삼검객도>에 해설을 달기도 했다. 이처럼 ≪검협전≫은 중국 무협 소설 발전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반드시 검토해야 하는 중요한 저술이다. 묘사된 각종 서사와 인물 형상, 그리고 주제 의식 등은 이후 무협 소설 창작에 주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당송 시기의 각종 민간의 풍속과 사회상을 엿볼 수 있다. 나아가 ≪검협전≫ 전체 작품의 성격, 당송 시대 서민 사회의 생활상, 근현대 무협 소설에 끼친 영향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후속 논의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무협 소설의 기원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주장이 있다. 물론 육조(六朝) 지괴소설(志怪小說)에서도 간보(干寶)의 ≪수신기(搜神記)≫의 <이기(李寄)>와 도잠(陶潛)의 ≪수신후기(搜神後記)≫의 <비구니(比丘尼)> 등과 같이 협객의 형상을 묘사한 작품들이 있긴 했다. 하지만 지괴소설(志怪小說)은 엄밀히 말해 서사 구조와 묘사가 완전한 형태를 갖추지 못한 단계다. 그래서 대체로 당(唐) 전기(傳奇)를 시작으로 이야기의 구성과 체제 면에서 비교적 완전한 무협 소설의 형식을 지녔다고 본다. 바로 ≪검협전≫에 수록된 소설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200자평
총 33편의 당송 시기 검협 소설을 모아 엮은 작자 미상의 소설집이다. <태평광기(太平廣記)>, <강호이인록(江湖異人錄)>, <원화기(原化記)> 등에 전하는 작품들 가운데 고대 문언 검협 소설의 정수만을 담았다. 중국 무협 소설의 효시인 작품이다.
옮긴이
우강식은 경남 거창 출생으로 영남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에서 <진융의 “천룡팔부” 연구(金庸 “天龍八部” 硏究)>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중국 남경대학(南京大學)에서 <진융의 무협 소설과 전통문화 정신(金庸武俠小說與傳統文化情神)>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영남대, 경북대, 금오공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전공 분야는 중국 무협 소설과 무협 문화다. 논문으로 <金庸 武俠 小說의 江湖, 그 이상과 충돌>, <문화적 공유점을 통해 본 中國 現代 武俠 小說>, <魯迅의 “鑄劍”과 金庸의 “越女劍” 비교 분석>, <무협 테마를 통한 이종문화(異種文化)의 수용과 발전 고찰―영상 예술을 중심으로>, <중국 고전 시가에 표현된 劍의 형상 고찰>, <“酉陽雜俎” “盜俠篇”의 武俠 敍事에 관한 고찰>, <무협 소설에서 師弟關係의 형성과 師弟倫理가 서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金庸의 무협 소설을 중심으로> 외 다수가 있다. 지은 책으로는 ≪영협시 평석≫이 있다.
차례
서(序)
지일(之一)
노인화원(老人化猿)
부여국왕(扶餘國王)
가흥승기(嘉興繩技)
거중여자(車中女子)
승협(僧俠)
경서점노인(京西店老人)
난릉노인(蘭陵老人)
지이(之二)
노생(盧生)
섭은낭(聶隱娘)
형십삼낭(荊十三娘)
홍선(紅線)
전팽낭(田膨郎)
지삼(之三)
곤륜노(崑崙奴
허적(許寂)
정수재(丁秀才)
반장군(潘將軍)
선자사문자(宣慈寺門子)
이귀수(李龜壽
고인처(賈人妻)
규수수(虯鬚叟)
위순미(韋洵美)
이승(李勝)
괴애검술(乖崖劍術)
지사(之四)
수주자객(秀州刺客)
장훈처(張訓妻)
반의(潘扆)
홍주서생(洪州書生)
의협(義俠)
임원(任愿)
화월신문(花月新聞)
협부인(俠婦人)
해순취부(解洵娶婦)
곽륜관등(郭倫觀燈)
해설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술잔이 돌자 나그네가 말했다.
“내게 술안주가 조금 있는데, 이랑이 같이 드실 수 있겠소?”
이정이 말했다.
“감히 그래도 되겠습니까?”
그러자 나그네는 가죽 주머니를 열고 사람 머리 하나와 심장, 간을 꺼냈다. 그러고는 머리는 다시 주머니 속에 집어넣고, 비수로 심장과 간을 썰어서 함께 먹으며 말했다.
“이 사람은 천하의 배신자인데, 10년을 뒤쫓아 따라다니다 이제야 비로소 놈을 잡게 되어서 나의 한도 풀게 되었소.”
그리고 이어서 말했다.
“이랑의 행동거지와 풍채를 보아하니 진정 장부임이 틀림없소. 그런데 태원에 이인(異人)이 있다는 말을 들어 보지 못했소?”
이랑이 말했다.
“일찍이 한 사람을 알고 있는데, 저는 그가 진인(眞人)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 나머지 자들은 그저 장수(將帥)의 자질을 지닌 자들에 불과할 따름입니다.”
―<부여국왕>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