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24세에 요절한 천재 작가 게오르크 뷔히너의 삶을 그가 남긴 문학 작품을 통해 들여다본다.
정선되고 다듬어진 문어(文語)만이 통용되던 당대 독일문단에서 외설과 일상 언어를 사용하고 반(反)영웅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웠던 뷔히너. 세상을 떠난 지 40년 후에서야 그의 리얼리즘 문학세계는 ‘힘 있는 언어’의 사용과 ‘생생한 묘사’라는 평가를 듣게 된다.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음에도 참다운 삶의 의미를 ‘더불어 사는 삶’에서 찾고자 했던 뷔히너는 반체제 운동에 가담하고 농민을 위해 투쟁에 앞장섰다.
뷔히너는 미시적인 눈으로 들여다본 현상을 거시적으로 형상화한 작가, 인간의 의식 깊숙한 곳까지 섬세한 촉수를 뻗어 인간의 내밀한 심리세계를 짚어내면서도 이를 한 개인의 ‘특수한 사건’으로 바라보지 않고 그 개인이 몸담고 있는 사회의 총체성 속에서 바라본 작가다. 뷔히너의 문학과 삶 속에는 현대성과 보편성이 깃들어 있었다. 그의 문학과 삶 속에는 이미 오늘날 우리 사회의 각 분야, 이를테면 정치, 사회, 경제, 문화, 예술 등 한마디로 현대 인간이 안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이 단편적이면서도 총체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뷔히너는 진정 아름다운 언어, 힘 있는 언어가 어떤 것인지를 알게 한다. 셰익스피어의 언어처럼 화려한 언어, 괴테의 언어처럼 잘 다듬어진 정선된 언어만이 독자를 감동시키지 않는다. 뷔히너는 일상어를 가지고도, 아니 서민의 언어, 이른바 토막말을 가지고도 충분히 감동의 도가니로 몰아넣는다. 시가 아닌 드라마에서 문장이 아닌 단어 몇 개만 가지고도 얼마든지 우리를 감동시킬 수 있는 작가다. 그는 정녕 언어의 연금술사요, 시대를 앞서간 천재다.
임호일 교수는 이 책에서 뷔히너가 남긴 세 편의 드라마 ≪당통의 죽음≫, ≪레옹스와 레나≫, ≪보이체크≫, 소설 ≪렌츠≫, 그가 남긴 서신들을 인용하며 천재적 삶을 살다간 뷔히너의 짧은 생을 이야기한다. 저자가 풀어주는 뷔히너의 삶은 곧 저자의 삶의 모습이고 이를 읽는 우리의 모습이기도 하다. “우리의 상상력을 최대치로 확장할 수 있는 행간을 그 어느 텍스트보다 많이 지니고 있는 텍스트가 바로 뷔히너의 네 작품이다.”
200자평
뷔히너는 3편의 희곡과 1편의 단편소설을 남기고 요절했지만 독일문학사가 공인하는 천재 작가다. 그의 삶과 문학을 분석한다. 저자가 그동안 써 왔던 논문들을 통해 이미 밝힌 바 있는 뷔히너의 문학과 미학을 다시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뷔히너의 작품 줄거리 역시 요약해두어 독자들이 그의 깊은 문학세계를 좀더 쉽고 친근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은이
고려대학교 독문학과에서 학사, 석사 과정을 마치고 독일 뮌헨과 마인츠 대학에서 수학했으며, 오스트리아 그라츠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독어독문학회 부회장, 한국뷔히너학회 회장, 동국대학교 도서관장 및 문과대학장을 역임했다. 현재 동국대학교 문과대학 독어독문학과 명예교수다.
주요 논문으로는 <번역은 원전에 대한 도전이다?>, <추의 미학의 관점에서 본 뷔히너의 리얼리즘>, <가다머의 예술론>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변증법적 문예학≫(플로리안 파센 저), ≪진리와 방법≫(한스 게오르크 가다머 저, 공역), ≪한스 게오르크 가다머≫(카이 하머마이스터 저), ≪작품 중심의 독일문학사≫(만프레트 마이 저,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4.), ≪가출≫(페터 슈탐, 문학동네, 2018), ≪유년시절≫(한스 카로사, 지식을만드는지식, 2016), ≪데미안≫(헤르만 헤세, 서연비람, 2020) 외 다수가 있다.
차례
프롤로그
1장 요절한 천재
1. 천재는 우연의 산물이다
2. 조금만 더 살았더라도
3. 영원한 자유인
4. 뷔히너와 그의 시대
2장 추(醜)의 미학
1. ‘우리 시대는 순전히 물질적인 시대라오’
2. 개방문학의 선구자
내용 면에서 본 개방성
형식 면에서 본 단편성 및 몽타주
3. ‘가장 보잘것없는 존재의 삶 속으로 침잠해 보라’
사랑의 미학
실천의 미학
가면기법을 통한 진실 찾기
3장 모든 문학은 앙가주망이다
1. 사회주의자 브레히트와의 접목점
현상의 근본을 추적하기 위해 ‘낮은 곳’으로 임하다
주객의 전도와 개방형식
경향성은 예술성을 배제하는가?
생소화와 서사성
2. 개인주의자 한트케와의 접목점
4장 추의 미학의 형상화
1. ‘지능은 우리의 정신적인 영역의 극히 작은 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정말 바보라도 될 수 있다면 좋겠사옵니다’
‘너 꽃신 신고 춤춰야 하는 신세’
‘진부한 현대사회는 지옥으로 보내야 하오’
어리석음을 자기의 외부에서 찾는 사람
2. 오만은 편견을 낳는다
편견의 본질
≪보이체크≫를 통해본 편견과 편견의 영향
3. 진리는 역사적이다
4. 아이러니와 패러독스를 통한 진실과 허구의 전도(顚倒)
에필로그
뷔히너 작품의 줄거리 요약
참고문헌
뷔히너 연보
찾아보기
지은이에 대해
책속으로
나는 뷔히너를 통해 진정 아름다운 언어, 힘 있는 언어가 어떤 것인지를 알게 되었다. 그렇다, 그는 나에게 전정한 심미안을 열어 준 작가다. 나는 셰익스피어의 언어처럼 화려한 언어, 괴테의 언어처럼 잘 다듬어진 정선된 언어만이 독자를 감동시키는 줄 알았다. 그런데 뷔히너는 일상어를 가지고도, 아니 서민의 언어, 이른바 토막말을 가지고도 나를 충분히 감동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다. 시가 아닌 드라마에서 문장이 아닌 단어 몇 개만 가지고도 얼마든지 우리를 감동시킬 수 있는 작가, 뷔히너는 정녕 언어의 연금술사요, 시대를 앞서간 천재다.
(…)
나는 뷔히너의 삶과 문학을 통해 부끄러움을 배우고 겸손을 배웠다. 독일문학사에 몇 안 되는 천재, 독일문학사가 공인하는 천재 뷔히너가 “교육이라는 우스꽝스러운 외관”과 “학식이라는 보잘것없는 잡동사니”를 무기 삼아 “자기의 이웃 집단을 가증스런 이기주의에 제물로 바치는 자들”을 질타했을 때 나 자신 부끄러웠고, “바보나 범죄자가 되고 안 되는 것이 그 어떤 개인의 힘에 달려 있지 않으며”, “우리가 똑같은 환경에 몸을 담았다면 우리는 모두 같아졌을 것”이라는 그의 말 속에서 나는 겸손을 배웠다. 천재는 환경이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뷔히너는 역설하고 있는 것이다. “최소한 이성이나 교육이 빈약하다는 이유로 그 누구를 경멸하는 일은 결코 하지 않겠다”는 다짐은 바로 그의 이러한 천재 부정 사상으로부터 연유한다.(이상의 인용 문구들은 <양친에게 보낸 서신> 중에서 발췌한 것임)
24세에 요절한 뷔히너, 그는 나의 스승이요, 내 인생의 길잡이다. 그는 갈등과 고뇌가 저주가 아닌 축복이라는 사실을 나에게 일깨워 줬다. 그는 이 세상을 선과 악, 미와 추라는 이분법으로 재단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그의 삶과 문학으로 웅변해 준 작가다. 빛은 어둠에 빚을 지고 있듯이 가진 자는 가지지 못한 자에게 빚을 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준 뷔히너, 그는 나의 유토피아요, 오아시스다. 나도 이제 뒤늦게, 환갑이 지난 나이에 철이 들기 시작하는가 보다. 저 스승처럼 “고귀한 분들의 냉담한 마음에 고언(苦言)을 던지기보다는 고통받고 억눌린 사람들에게 동정 어린 눈길”(<양친에게 보낸 서신>중에서)을 한번이라도 더 보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으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