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기 작가와 작품을 분석하고 학문적 체계를 구축해 나갑니다.
<만화·웹툰이론총서>, <만화·웹툰작가평론선>
만화·웹툰 이론화를 시도한 국내 최초의 기획
만화와 웹툰, 애니메이션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독자에게 드리는 기초 이론서입니다. 장르론, 장르사, 기술론, 산업론, 작가론 등 만화·웹툰 전 분야에 걸쳐 주제를 선정하고 학계와 현장의 권위 있는 전문가들이 기초 개념을 중심으로 엮어 만화·웹툰의 학문적 기초를 제공합니다. 커뮤니케이션북스와 한국애니메이션학회(ASKO)가 함께하는 <만화·웹툰이론총서>와 <만화·웹툰작가평론선>은 각각 2017년 20종을 시작으로 2018년 10종, 2019년 10종, 2020년 10종씩 출간됩니다.
만화·웹툰학의 기본 개념을 키워드 열 개로 정리
대학 교수와 연구소 연구자들이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기초 이론과 유명 작가들에 대한 작가론을 100여 쪽으로 정리했습니다. 각 이론과 작가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 열 개를 선정해 해설했습니다. 주제와 필요에 따라 시리즈 전체를 아이템 유닛 기준으로 분해하고 재조합할 수 있습니다. 만화·웹툰에 학문적으로 접근하려는 독자들에게 좋은 교재가 됩니다.
200자평
콘텐츠 향유 연령대가 다양해지고, 콘텐츠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캐릭터 산업의 경쟁력도 커지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서 캐릭터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그중 눈에 띄는 것이 바로 공공 분야 캐릭터다. 사회 모두를 위해 만들어진 공공 캐릭터의 종류와 활용을 살펴본다. 먼저 정의와 현황을 개괄하고,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사회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분석한다. 또한 기존 사례로 공공 캐릭터의 가치를 분석하고, 가치 확장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모색한다. 공공 캐릭터의 필요성과 캐릭터 발전 전략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지은이
류유희
세종대학교 융합콘텐츠산업연구소 연구원이다. 세종대학교 대학원에서 공연·영상·애니메이션학과 간 통합 애니메이션 전공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만화·애니메이션 관련 콘텐츠 및 문화에 대한 기초 이론, 스토리텔링 등을 가르치고 연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각종 콘텐츠의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 스토리텔링의 확산과 문화적 가치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장소특정성을 중심으로 한 공공 캐릭터에 관한 연구”(2017), “사회극 이론의 구조를 가진 애니메이션의 리얼리즘에 관한 연구”(공저, 2014), “브랜드 웹툰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공저, 2014), “아기공룡 둘리의 대안적 캐릭터 비즈니스 연구”(2012) 등이 있다.
차례
01 공공 캐릭터란
02 해외 공공 캐릭터 성공 사례
03 국내 공공 캐릭터 현황
04 국가적 축제의 상징, 호돌이와 꿈돌이
05 지역의 대표 상징, 해치와 홍길동
06 지역의 대표 상징, 고양고양이
07 기관의 정체성, 포돌이
08 문화도시의 상징, 둘리
09 기존 콘텐츠의 공공 캐릭터화
10 공공 캐릭터와 스토리텔링
목록
<만화·웹툰이론총서>
가상 콘텐츠와 에듀테인먼트 / 유해영
공공 캐릭터 / 류유희
그래픽 노블 / 이기진
슈퍼 빌런 / 이선영
스핀오프 / 강은원
애니메이션 기술론 / 김효용
애니메이션 미학과 연출론 / 이상원
애니메이션 스튜디어의 영웅 메커니즘 / 이혜원
애니메이션 영상 미학 / 류재형
웹툰 열 가지로 보기 / 이승진
웹툰 콘텐츠 플랫폼 / 박석환
웹툰 퍼포먼스와 독자의 즐거움 / 홍난지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가능성 / 박기수
웹툰의 매체 전환 / 채희상
인 게임 애니메이션의 기능과 콘텐츠 확장 / 이선영
중국 만화의 역사 / 석향란
크라우드소싱 웹툰 스토리텔링 / 황선태
키덜트 캐릭터 / 백란이
한국 TV 애니메이션의 역사 / 황선길
VR 영상 콘텐츠 / 김상일, 유미, 김광집
<만화·웹툰작가평론선>
강도하 / 박기수
강풀 / 이승진
고우영 / 김봉석
김동화 / 김성훈
김진 / 김소원
김혜린 / 한상정
네온비 / 김은정
무적핑크 / 김소원
박기정 / 서은영
양영순 / 이기진
윤태호 / 박기수
이두호 / 박인하
이말년 / 홍난지
이상무 / 박석환·김성훈
이현세 / 박인하
조석 / 김성훈
주호민 / 서은영
하일권 / 한상정
허영만 / 박석환
황미나 / 이기진
만화·웹툰총서는 계속됩니다.
책속으로
2010년 3월 일본에 신칸센(九州新幹線)이 개통되어 관서(関西)지방까지 고속전철로 연결되었다. 하지만 일본의 가장 서쪽 끝에 위치한 규슈의 구마모토현(くまもとけん)까지 신칸센이 연결되지 않자 지방자치단체와 주민들은 지역의 경제가 더욱 나빠지지 않을까 우려하게 되었다. 이에 지역의 인지도를 높이고 관광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기 시작했다. 이에 탄생한 것이 구마모토현을 대표하는 캐릭터 구마몬(くまモン )이다.
‘해외 공공 캐릭터 성공 사례’ 중에서
지방자치단체 캐릭터는 일반 기업의 캐릭터 사용의 궁극적 목표인 이익 창출과는 다른 기능을 갖고 있다. 지자체 캐릭터의 주된 기능이자 근본 목적은 지역을 알리는 홍보 기능을 하는 것으로, 지역 정체성을 제고해 지역의 이미지를 통일하고 지역 정체성을 순화해 소개한다. 그리고 지역민 간의 일체감이나 자긍심을 높여 애향심을 유발하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또한 지자체 캐릭터는 지역 마케팅의 요소로 지역의 특산물을 상품화하는 과정에서 부가가치를 높이는 기능을 담당하고, 타 지역민의 방문에서 캐릭터가 지역의 관광 자원과 지역 문화적 특성을 부각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국내 공공 캐릭터 현황’ 중에서
1999년 7월 6일 포돌이는 경찰청의 승인을 받아 공식 캐릭터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캐릭터에 알맞은 디자인과 대국민 홍보 방안을 결정했다. 광고 전문 회사, 컴퓨터그래픽 전문 회사와 협조해 8월 14일 포돌이의 여섯 가지 기본 모형과 142개 응용 모델을 확정하고, 8월 20일 서울경찰의 캐릭터로 공식적으로 국민 앞에 선을 보였고, 9월에는 특허청에 상표법상 업무표장으로 등록했다. 서울경찰의 상징으로 시작한 포돌이는, 1999년 11월 15일 이무영 경찰청장 취임과 함께 한국 경찰의 캐릭터로 발전했다. 또한 2000년 1월 27일에는 포돌이 관리규칙이 제정 발령(경찰청 예규 242호)되었다.
‘기관의 정체성, 포돌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