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만지한국문학의 <지역 고전학 총서>는 서울 지역의 주요 문인에 가려 소외되었던 빛나는 지역 학자의 고전을 발굴 번역합니다. ‘중심’과 ‘주변’이라는 권력에서 벗어나 모든 지역의 문화 자산이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지역 학문 발전에 이바지한 지역 지식인들의 치열한 삶과 그 성과를 통해 새로운 지식 지도를 만들어 나갑니다.
13세에서 19세, 조선 시사에 족적을 남기다
≪관복암 시고(觀復菴詩稿)≫는 관복암 김숭겸이 13세부터 19세까지 쓴 시를 엮은 것이다. 242제 299수의 시와 숙부인 삼연 김창흡이 지은 서문, 부친 농암 김창협이 지은 묘표가 함께 실려 있다. 10대에 지은 시들만으로도 시명이 널리 전했으니 유례를 찾기 어려운 일이다. 김창협은 그의 시를 ‘기발하고 노숙하며 낯익은 표현을 짓지 않았다’고 평했고, 김창흡은 ‘우뚝 초일한 기운이 법식의 구속을 받지 않고 능히 스스로 법을 이루었으며, 마음 내키는 대로 써 내려도 자연스레 대구를 이루고 평측이 공교롭게 드러났다’고 칭찬했다. 청장관 이덕무는 재기로 볼 때 취헌 김유보다도 월등하다고 평했다.
자연 가운데 홀로 외로움을 느끼다
관복암 김숭겸은 조선 후기 명문가에서 태어났다. 부친 농암 김창협은 당대의 문장가이자 유학자로 명망이 높았으며, 삼연 김창흡을 비롯한 그 형제들도 모두 학문과 문예가 뛰어나 소위 ‘6창(昌)’으로 불리며 칭송받았다. 김숭겸도 이러한 부친 및 백숙부들의 피를 이어받아 시에서 빼어난 재능을 보였다. 그런데 그의 시 세계는 ‘고적(孤寂)’으로 일관된다. 무엇이 그의 짧은 인생을 쓸쓸함과 우울함으로 채웠을까?
김숭겸의 시는 부친 농암 김창협을 모시고 영평 농암, 양주 석실 서원, 미호, 삼각산, 강도, 송도, 백운산, 삼주 등에서 강학하며 지내거나 홀로 유람하면서 지은 것들로, 태반이 자연시다. 그는 본연의 외로움을 강물과 새, 계절 변화를 통해 드러냈으며, 지인과 함께한 뒤에도 결국은 홀로 남을 수밖에 없는 존재의 고적함을 드러내 자신만의 서정 세계를 일궈 냈다.
200자평
19세로 요절한 조선의 천재 시인 관복암 김숭겸. 유학과 문장으로 명망 높은 집안에서 태어나 빼어난 시적 재능을 보였으나 병약한 몸으로 약관도 넘기지 못했다. 13세부터 19세까지 지은 시만으로 조선 시문학사에 빛나는 족적을 남겼다. 그의 시 242제 299수를 모두 실었다.
지은이
김숭겸(金崇謙, 1682∼1700)은 1682년(숙종 8) 10월 30일에 태어났다. 본관은 조선 후기의 명문 가운데 하나인 안동(安東)이고 자(字)는 군산(君山)이며, 호는 관복암(觀復菴)이다. 병자호란 때 높은 절의로 유명했던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의 후손으로, 조부는 문곡(文谷) 김수항(金壽恒)이고, 아버지는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 어머니는 부제학 이단상(李端相)의 딸 연안 이씨다. 어려서부터 부친 김창협과 숙부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에게 여러 영향을 받으면서 자랐으나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노론인 조부 김수항이 사사된 후 집안이 당화를 입자,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영평(永平)의 백운산(白雲山)·봉은암(奉恩庵) 등에서 학문에 전심했다. 1700년(숙종 26) 10월 20일 병으로 인해 1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유고로 ≪관복암 시고(觀復菴詩稿)≫가 있다.
옮긴이
노현정(盧炫姃)은 1993년 울산에서 태어나 경성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한 후 부산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같은 대학원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관복암 김숭겸에 대한 공부를 계기로 조선 후기의 한시사를 공부하기 시작했고, 한시 형식 가운데 ‘차운시(次韻詩)’를 주목하고 있다. 한시가 주는 아름다운 마음에 대해 느끼기 시작했다는 점이 근래 공부하면서 얻은 깨달음이었다. 한시 속의 마음을 세상에 알리는 작업을 하고 싶다. 지금은 두시 역주(杜詩譯註) 모임에 참여해 두보의 시와 그 비평서를 공부하고 있다. 논문에 <관복암(觀復菴) 김숭겸(金崇謙)의 한시 연구 : 고적(孤寂)을 중심으로>(2019), <관복암(觀復菴) 김숭겸(金崇謙)의 차운시(次韻詩) 작법과 운용의 실제>(2020)가 있다.
차례
관복암 시고 서문
갑술고(甲戌稿)
눈 온 뒤의 달빛 풍경
을해고(乙亥稿)
벗을 그리다
부친을 모시고 영평으로 가며 말 위에서 운대로 짓다
농암에서 벗에게 주다
난가대에 올라 짓다
병자고(丙子稿)
불러 준 운에 맞추어 짓다
봄날 백운산의 집을 그리다
늦은 봄 보름 뒤에 아버지를 모시고 영평으로 갔다. 이때 온갖 꽃들이 산에 가득히 피었고 봄기운이 화창하니 화현길에서 운대로 짓다
보개산 봉은암
배로 부모님을 모시고 한강을 타고 미호로 가다
배로 가다
일진 이섬에게 화운해 편지로 부치다
우연히 읊다
배를 띄우고서
석실 서원에서 숙부 삼연 선생의 시를 삼가 차운하다
12월 18일 밤, 큰 눈이 막 개었다. 안개는 귀산을 반쯤 가렸고 달이 서쪽 행랑으로 졌다. 뜻을 같이하는 이 10여 명과 함께 놀았다. 숙부 삼연 선생의 시에 삼가 차운하다
정축고(丁丑稿)
달밤
한익주가 서울로 가는 것을 전송하다
득초 송봉원이 도산으로 돌아가는 것을 보내다
집으로 돌아가기 전날 밤에 여러 벗들과 술을 마시며 이별을 이야기하다. 이에 오언 고시 두 수를 지어, 백온 이위에게 주다
회릉으로 가는 길에
3월 8일에 여러 벗을 데리고 배를 띄우다
서원의 여러 벗들이 배를 타고 서울로 가는 것을 보내다
삼각산에서 놀다가 저물녘 문수암에 이르다
조계사 폭포
도봉산으로 들어가다
벽에 걸린 우재 선생의 시에 삼가 차운하다
친구를 기다리다
감흥
강가에서 운을 짚어 함께 짓다
밤중에 부친이 나와 시냇가에 앉았는데 제생들이 줄지어 모셨다. 달빛 아래에서 술잔을 전하면서 만장봉을 바라보니 더욱 기이했다. 부친이 기꺼워하며 소(霄) 자를 운자로 삼도록 하니 함께 짓는다
밤중에 부친을 모시고 무우단에서 술을 마시며 여수례를 행하고, ‘텅 빈 산에 사람은 없지만 물은 흐르고 꽃은 핀다’는 시구로 운자를 나누었는데 공(空) 자를 얻었다
여러 벗들이 장차 차례로 산을 나서는데, 시냇가에 다다라 술을 따르며 헤어졌다. 당나라 사람의 운자를 써서 함께 짓다
또 짓다
부친의 시에 삼가 차운하다
산을 나오며
가을밤
밤에 북쪽 이웃집 술이 막 익었다는 소식을 듣고, 술동이 하나 사서 여러 사람들과 같이 마셨다. 반쯤 얼근해졌을 때 홍세태 시고 속의 시에 차운하다
강으로 난 울타리에서 국화를 보니 흥이 일어 아울러 시를 짓노라
저녁에 날이 개다
저녁 풍경, 당나라 사람의 시에 차운하다
밤, 당나라 사람의 시에 차운하다
8월
가을 산
7일
밤
백운산에서 지내던 것을 그리워하다
9일
가을 흥취
숲속에서 맑은 저녁에
바람
석실의 맑은 가을날, 사겸 장익형을 보내고 고향으로 돌아가다
회릉으로 가는 길에
밤에 앞 호수에 배를 띄우다
부친을 모시고 수종사로 향하다
수종사
강촌의 제야
무인고(戊寅稿)
춘첩
새벽 창
밤에 난간에서
운을 부르다
병중에 백온을 만나다
손님이 돌아가다
밭갈이를 보다
밤에 사겸을 만나 운을 부르고 함께 짓다
남한산성 회고
천주사에서 밤에 읊조리다
동쪽 암자
9월 9일, 높은 곳에 오르다
도봉산에 드니, 새벽 눈이 살짝 내렸다
침류각에서 밤에 시를 짓는데 운자는 심(深) 자다
하릴없이 읊다
가벼운 배
12월 17일
18일 밤, 숲속 언덕에서 홀로 바라보다
세모
숙부 삼연 선생의 운을 공경히 차운하다
섣달 그믐날 밤
기묘고(己卯稿)
사립문
정월 초파일에 숲속 연못에서 놀며 홀로 가다
봄날 농사
들판
2월 8일 밤, 제생들과 같이 부친 및 숙부 삼연 선생을 모시고, 걸어서 서원에서 삼주에 다다라 바라보며 선(船) 자를 운으로 해서 함께 시를 짓다
봄날 햇볕
호숫가
시절 걱정
그냥 읊다
강화도
적석사
일찍 강화도를 떠나서 달곶에 이르러 배에 오르다
후릉 재사에서 김 침랑에게 주다
송도
박연
태종대에서 석(石)을 운자로 짓다
영통사
숭양 서원
세심재에서
뜨락의 홰나무
배를 띄우다
종형인 김호겸이 죽어 돌아오는 것을 곡하다
도성을 나서다
집에 돌아오다
사립문
요란해라
외삼촌의 정자
쌍곡
쌍곡 마을에서 묵다
새벽에 신파를 지나다
산길을 가다
숲속에서 느지막이 일어나다
백운사에서 노닐다
백련암
조계사에서
산과 헤어지며
홀로 누워
남쪽을 바라보다
영령정
빈산
봉수령
밤에 돌로 쌓은 집에서 자는데, 샘물 소리가 졸졸졸 그치질 않아 마치 골짜기 깊은 곳에 자리한 띳집에 있는 것과 같다
배를 띄워 판사정에서 놀다
싸라기눈 잠깐 내리다
저녁 풍경
종형 태충 씨에게 보내다
9월 5일 저녁 종형 태충 씨를 맞이해서 함께 삼주의 초가에서 묵었다. 그때 초승달이 벼랑에 걸려 있고 국화도 또한 예뻐서 사랑할 만했다. 태충 씨는 바야흐로 벽계(蘗溪)의 옛집이 그리워 동이 트면 떠날 것이어서 중구일 술잔을 함께할 수 없기에 감회가 없을 수 없어 시를 지어 보이다
해 질 무렵
중양절에 강가에 비가 멎지 않았다. 이웃의 벗들이 약속을 했지만 모두 오지 않았다
10일
도적
만추에 성을 나섰다. 도중에 간재(簡齋)의 시를 차운해, 숙장 조문명에게 주다
집에 가까워지다
홀로 서서
초가집
가을날 종형 태충 씨에게 시를 부치며 같이 묵을 수 있는지 묻노라
가을이 저물다
빈 골짜기
북쪽 계곡에서 두 형과 함께 묵었다. 그때 눈이 살포시 내렸다
두보의 운을 사용해 함께 짓다
이씨의 잔치 자리에서 가무를 구경하다
임재에 새벽 눈이 오다
동짓달 15일 밤에, 부친이 제생과 함께 눈을 쓸고 땅에 앉았다. 화로를 가운데 두고 술을 데워서 마시고는 노(鑪) 자를 운으로 삼아 각각 짓도록 했다
외삼촌이 해주로 고을살이 가는 것을 떠나보내다
다시 율시 한 수를 드리다
눈이 내린 뒤, 서재의 제생들에게 부치다
서재에서 밤을 지내면서 함께 술을 먹고, 운자를 정해 짓다
눈을 맞으며 마을로 들어서다
춘첩
서재에서
서재에서 밤에 술을 마시다. 창명의 운으로 각각 시를 짓다
강물
사립문
홀로 지내는 밤
한밤중에 동음의 초가집을 생각하다
17일에 졸다 일어났다. 숲속에서 새들이 지저귀니, 참으로 봄 마음을 지닌 듯하다. 동쪽 언덕으로 백온을 찾아가서 잠깐 마시고는 시를 지어 기록한다
백온을 찾아가다
백온의 시가 근래에 더욱 크게 발전해, 기뻐하며 시를 짓는다
목곡의 제야에, 숙부 삼연 선생과 같이 운자를 찾아 시를 지었는데, 주(州) 자를 얻었다
경진고(庚辰稿)
초하루, 풍계의 족형 김시보를 만나 마을 집에서 같이 묵다
이별에 임해, 족형에게 써서 보이다
초3일에 강둑을 걷다
4일에 봄풀이 피었고, 종형인 호겸의 무덤에서 곡했다
6일, 우연히 읊다
해 질 무렵
7일, 가랑비에 몇몇 사람이 생각나다
비
8일, 그늘이 지다
삼주에 비가 온 뒤, 문득 만 리 밖으로 떠나고 싶은 생각이 나서, 작은 배를 띄워서 몇몇 사람과 강을 오르내리고 싶었지만, 그럴 수 없었다
사립문
9일, 날씨가 약간 개었다. 나귀를 보내 백온을 청했는데 마음대로 되지 않았다. 아마도 바람이 싫어 나오지 않은 듯하다. 그 편지에 “솔방울을 먹고 깊숙이 앉았다”는 말이 있었다
10일, 백온이 찾아왔다. 해 질 무렵 작은 배를 띄우고 강을 오르내리며 날을 마쳤다
10일, 저녁
15일, 강물이 붇다
18일
20일, 배를 타고 한양으로 돌아가는 벗을 전송하다
명손 김덕수가 문수암에서 찾아와 시 한 수 지어 보이다
22일, 숙장에게 주다
해 질 무렵 강에 배를 띄우다
편지로 김덕수에게 보이다
두보의 시에 차운하다
부친을 모시고 비를 무릅쓴 채 백운으로 향하다
외삼촌의 계정(溪亭)에서 묵다
쌍곡으로 가는 길
봉수령
봄 계곡
깊은 숲
계곡에서
조암에서 놀다
원화벽에 들어가다
덕여 임홍재에게 보이다
선유담
조계
절집에서 묵다
청 장로에게 편지로 주다
비를 맞으며 산을 내려왔다. 김석귀가 술을 갖고 맞아 주었는데, 부친의 시가 있어 삼가 차운한다
연곡을 찾았다. 첨지 김석범을 떠올리며 감회에 젖다
작은 마을
서쪽 계곡에서 숙장을 그리워하다
백온이 찾아왔다. 술에 취해 써 보이다
재대(載大) 이하곤에게 편지로 부치다
저녁에 강가로 돌아와 단(湍) 자를 얻다
우연히 읊다
미친 흥
소나무 아래에 붉은 작약꽃 몇 포기가 있었다. 새로 핀 꽃이 예뻐서 사기병 속에 옮겨 꽂고 저녁 내내 마주 보니, 내 마음을 아주 한가롭게 만들어 주었다. 작은 시를 지어 기록한다
석양
도봉 서원에서 백온과 함께 정(庭) 자로 짓다
계곡 가에서
스님을 만나다
우연히 짓다
명중 오진주를 만나다
기우단에서 밤에 앉아
서쪽 계곡을 찾다
14일 밤, 여러 사람들은 모두 깊이 잠들었는데, 소나무 아래에 홀로 앉아 달을 마주해 짓다
계곡 가에서 친구를 그리다
백온을 두고 떠나다
5월 13일에, 사촌 누이 이씨 부인을 쌍곡에서 장사 지냈다. 나는 마침 병이 심해 가 보지 못했다. 이날은 또한 비가 크게 내렸다. 슬프게 울며 지어서, 내 마음을 시로 보인다
정원을 걷다
우연히 진후산의 시에 차운하다
이씨의 산정(山亭)을 찾다
백온에게 부치며 부르다
그윽이 지내노라니
족형 사경 씨가 새로 홍산 원님이 되어 삼주를 찾아왔다. 부친을 모시고 서원에서 작은 술자리를 가졌는데, 운에 맞추어 짓다
이운(李澐)에게 부치다
수(愁) 자를 운으로 짓다
읍취헌의 시에 차운해 벗에게 보이다
강물
중양절 이틀 전에 재대에게 시를 부치다
백온이 찾아왔기에 읍취헌의 시에 차운해 보이다
밤이 되자 홀로 누우니 마음이 참으로 무료하다. 일찍이 재대와 중양절의 약속을 했는데, 비바람이 유달리 나를 싱숭생숭하게 만든다. 그러나 재대가 어찌 비가 두려워 약속을 저버릴 사람이리오? 시를 지어 삼가 보내노니 모름지기 화답하소서. 숭겸은 재대 족하에게 아뢰노라
9일에 모여 술을 마시다
송도에 가려는데, 일경 박도기가 찾아와 묵었다. 시를 지어 주었다
혜음령(惠陰嶺)을 넘다
만월대
산으로 들어가다
산으로 들어가며 일을 기록하다
박연
대흥동
관음굴을 찾다
적조사
산을 나서는 백온을 보내다
떠나보낸 뒤에 짓다
대흥사
강호
묘표
부록
1. 김숭겸의 가계
2. 김숭겸에 대한 기억들
해설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백련암 제2수
가을빛이 하마 깨끗할사
절집은 몇 겹 산속이어라.
나그네 찾아와 강물을 바라보나
늙은 스님은 외로운 봉우리를 아끼노라.
병든 노송은 바위에서 무너질 듯하고
차가운 꽃은 때때로 소나무에 어른대네.
돌아가려도 남은 뜻이 있는데
은은하게 동쪽 산자락에서 종소리가 들리네.
白蓮菴 其二
秋色淨如許 招提山幾重
客來見流水 僧老愛孤峰
病栝欲崩石 寒花時映松
言歸有餘意 嫋嫋東崖鐘
10일
지팡이 짚으며 오늘 다시 대를 오르니
강가 마을 주위로 땅거미가 지네.
국화꽃 무더기를 보노라니 또한 어느새 시들었고
소리 높여 노래 부르려 하니 절로 슬퍼지네.
삼주는 그저 기러기 소리 들리고
온갖 시름 어이 술잔에 떠나보내리오?
들판의 통곡 소리, 마을의 다듬이 소리에 해도 저물었거든
가을을 슬퍼하고 세상을 탄식하며 거듭 발길 주저하노라.
十日
杖藜今日又登臺 江上城邊暝色來
叢菊相看亦已老 高歌欲放自成哀
三洲只是聞鴻鴈 百慮何能去酒杯
野哭村砧俱薄暮 悲秋歎世重徘徊
읍취헌의 시에 차운해 벗에게 보이다
날 다 가도록 찾아와 문 두드리는 이 없거니와
서헌(書軒)에서 때때로 남산을 바라보노라.
술 한 잔에 뜻밖에 오늘 아침의 흥취가 피어나고
비바람에 또다시 어젯밤처럼 추울시고.
베 이불로 그저 혼자 누웠으니
국화가 어이 시름 서린 낯을 위로해 줄 수 있으리?
그대 만나면 본래 마음속을 열고 싶은데,
속정을 말하니 눈물이 문득 주르륵 떨어지는구려.
次挹翠軒韻示友人
終日人無來叩關 書軒時復看南山
杯樽偶發今朝興 風雨更從前夜寒
布被只應成獨臥 菊花何可慰愁顔
得君本欲開懷抱 說至深情涕却潸